투자전략
25-10-20 원자재 데일리 리포트
- 작성자 :
- 오스틴 박
- 작성일 :
- 10-20 09:12
- 조회수 :
- 194
✔️ 에너지
유가는 공급 과잉 우려와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영향에 2.3% 하락 마감했습니다. 다만, 주말 사이 발생한 이스라엘-하마스 간 격돌과 러시아의 공세 강화 영향에 상승 압력이 우세할 전망입니다.
이스라엘군과 하마스 간의 격돌이 재개되었습니다. 미국의 중재로 1단계 휴전 협상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황에서 발생한 군사적 마찰인 만큼 1단계 휴전 협상 취소 우려가 다시 나오는 중입니다. 이로 인해 이스라엘 군인 2명이 사망했고, 최소 44명의 가자 주민이 사망했습니다.
일요일 저녁 이스라엘군은 다시 성명을 발표한 뒤 여전히 정전 합의를 적용할 것임을 강조하면서 인도적 지원은 금일부터 재개될 예정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양측은 여전히 인질 시신의 단계적 송환을 놓고 대치 중이며, 하마스는 지금까지 총 12구의 인질 시신을 이스라엘에 인도했지만 나머지 16구는 여전히 가자에 남아있습니다. 하마스 무장세력의 유일한 방패막이였던 이스라엘 인질 20명이 모두 석방된 만큼 명분만 생기면 이스라엘은 언제든 공격에 나설 가능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미국 천연가스 시장은 단기적으로 온화한 기후에 따른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생산량 감소와 LNG 수출 증가가 균형을 이루며 $3 부근에서 등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천연가스는 10월 들어 생산량이 감소하고 LNG 수출이 사상 최고 수준에 근접하면서 17일, 약 2% 상승한 $3.008로 마감했습니다. 다만 주간 기준으로는 약 3% 하락해 2주 연속 약세를 이어갔습니다.
한편 LNG 수출 물량은 10월 들어 164억 배럴로 급증해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고, 수출 수요가 가격을 지지했습니다. 천연가스 재고가 평년 대비 4% 높은 수준으로 공급 불안은 제한적입니다. 전반적인 생산 감소와 수출 호조가 가격 하단을 지지하는 한편, 온화한 기온과 높은 재고가 상승세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 금속
지난주 비철은 미-중 무역 갈등에 주목하면서 전반적으로 하락했습니다. 주 초반 트럼프 대통령이 SNS를 통해 중국과의 관세 전쟁을 원치 않는다고 시사하는 등 중국에 유화적 제스처를 취하면서 일부 품목은 상승했으나, 이후 미국-중국 양국이 상대국 소유 선박에 보복성 항만세를 부과하면서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주 중반에는 다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디커플링을 원하지 않는다고 언급하자 관계 개선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가격을 일부 회복했습니다. 다음 날 연준 인사들의 비둘기파적 발언 또한 달러화 가치 하락과 비철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으나, 금요일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또다시 중국을 향해 유화적인 제스처를 보낸 점이 달러화 강세 재료가 되었습니다. 이에 미-중 무역 긴장감이 완화되며 달러 인덱스는 98선 중반대까지 올라섰고, 비철 가격은 하락했습니다.
-알루미늄
블룸버그에 따르면 9월 머큐리아 에너지 그룹은 대규모 알루미늄 투자에서 철수했습니다. 머큐리아는 올해 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 평화협정이 러시아 금속에 대한 제재를 완화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LME 알루미늄 재고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점유했으나, 예상이 빗나가면서 이를 포기한 것입니다. 7~9월 LME 알루미늄 재고의 80% 이상을 보유하던 머큐리아는 9월 중순 이후 보유하고 있던 러시아산 재고의 상당 부분을 반출하고, 그 대신 비러시아산 알루미늄에 대한 포지션만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귀금속
지난주 귀금속은 미-중 무역 긴장 고조와 미국 지역은행의 부실 대출 우려에 안전자산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반적으로 상승했습니다. 다만 금요일에는 중국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유화적 제스처에 무역 긴장이 완화되며 크게 하락했습니다.
출처 : 삼성선물, 인베스팅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