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10.16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10-16 11:18
조회수 :
4773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자동차 대표주, 리튬, 2차전지, 조선기자재, 폐배터리, 정유, 반도체 대표주(생산), 전기차, 증권, 석유화학, 리비안(RIVIAN), 남북경협, IT 대표주, 자원개발, 타이어, 자동차부품, 보톡스(보툴리눔톡신), 3D 프린터, 탄소나노튜브(CNT),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조선, 전기자전거,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미용기기, 전력저장장치(ESS), 국내 상장 중국기업,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태풍 및 장마, 시멘트/레미콘, 페인트, 풍력에너지 등...


약세 테마 : 밥솥, 셰일가스(Shale Gas),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NI(네트워크통합), 유리 기판, 양자암호/양자컴퓨팅,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공작기계, 제대혈,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요소수, 시스템반도체,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사물인터넷, 캐릭터상품, SI(시스템통합),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항공기부품, 희귀금속(희토류 등) 등...




[특징 테마]

자동차/ 조선/ 철강 등 : 한미 관세협상 타결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대미 투자 약속과 관련한 이견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난 이견들이 해소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베선트 장관은 "우리는 현재 대화하고 있으며, 난 향후 10일 내로 무엇인가를 예상한다"고 발언.


▷또한, 베선트 장관은 앞서 CNBC방송 대담에서도 '현재 어떤 무역 협상에 가장 집중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한국과 마무리하려는 참이다"고 답했으며, '한국의 대미 투자를 두고 이견이 있지 않으냐'는 질문에는 "악마는 디테일에 있지만, 우리는 디테일을 해결하고 있다"고 답했음. 베선트 장관은 '디테일'의 구체적 내용은 밝히지 않았지만, 한미 간 주요 쟁점으로 꼽혔던 3천500억달러 대미 투자 패키지의 구성 및 방식과 대규모 달러화 조달에 따른 외환시장 안전장치 등 세부 사항에서 의견이 접근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한온시스템, 현대차, 기아, KG모빌리티, 현대위아, HL만도, 현대모비스 등 자동차 대표주/자동차부품 테마, HJ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KS인더스트리, 삼영엠텍, 일승, 케이프, 씨피시스템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현대제철, POSCO홀딩스, 동국제강, 포스코스틸리온, KBI동양철관, TCC스틸, 넥스틸, 한국특강 등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가 상승.


증권 : 코스피지수 사상 최초 3,700선 돌파 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中 갈등 지속, 금리 인하 기대감, 은행주 실적 호조 등이 엇갈리며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국내증시는 상승세를 기록중. 한미 관세협상 타결 기대감 및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투자 심리가 개선되는 모습. 특히, 코스피지수는 3,700선을 사상 처음으로 돌파하는 등 연일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음.


▷한편, 전일 김용범 대통령정책실장이 주식시장 활성화를 위해 고배당 상장기업으로부터 받은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최고세율을 25%로 낮추겠다는 방침을 밝힘. 김용범 실장은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출연, "정부안은 ‘배당 성향 35% 이상’ 기준이지만 25% 이상이면서 현금 배당액이 많은 초우량 기업도 있다. 그 기업들도 포함되길 바란다"며 "최고 구간 세율 35%가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25% 정도로 낮춰야 배당을 할 것 아니냐는 의견도 일리가 있다"고 밝힘. 아울러 정부가 3차 고강도 부동산 대출 규제를 내놓은 가운데, 부동산에 묶일 뻔했던 시중 유동자금이 새 투자처를 찾으며 증시가 반사 이익을 볼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음.


▷전일 메리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커버리지 합산 증권사들의 3Q25 순이익 1.53조원(-12.5% QoQ, +26.2% YoY)으로 컨센서스를 9.2% 상회할 것으로 전망. 우호적인 증시 환경 기반 브로커리지 및 IB 수익 양호한 흐름세가 지속되었다며, 브로커리지 수수료 수익은 전년동기대비 30.0% 증가를, IB 부문 관련 수수료 수익(인수/주선 및 기타 수수료 합산)은 전년동기대비 25.1% 증가를, 순상품운용손익 및 기타 손익은 전년동기대비 26.4% 증가를 추정한다고 밝힘. 이어 우호적인 영업환경은 지속되고 있고, 자본시장 선진화,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방안 등 추가 성장 동력 확보에 따른 이익 확대 기대감 또한 유효하며, 해당 성장동력을 보유한 증권사 중심으로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기대하기 충분하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한국금융지주, SK증권, 부국증권, 미래에셋증권, 유진투자증권, 상상인증권, DB증권, 대신증권 등 증권 테마가 상승.


원자력발전 : 美, 육군 기지에 '초소형원자로' 설치 추진 소식 속 뉴스케일 파워(+16.68%) 급등 영향 등에 상승

▷14일(현지시간) 美 육군은 ‘야누스(Janus)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발전 용량 20㎿(메가와트) 미만 초소형원자로를 개발해 2028년부터 본토 핵심 육군 기지에 전력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음. 20㎿급 초소형 원자로는 기가와트(GW)급 일반 상업용 원자로와 비교하면 발전 용량이 작지만, 일반 컨테이너나 군 수송기 등으로 손쉽게 실어 나를 수 있는 작은 크기가 최대 장점임. 특히,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초소형원자로는 민간기업이 소유·운영하게 되며, 육군과 미 에너지부(DOE)가 우라늄 핵연료 공급을 돕고 기술도 지원할 예정임. 이 같은 소식 속 지난밤 美 증시에서 뉴스케일 파워가 16.68% 급등 마감했음.


▷이와 관련, 한국투자증권은 미 육군은 수주 내에 세부 계획을 추가로 발표할 예정이라며 현재까지 협력 원자로에 대한 공식적인 언급은 부재하지만, 채택 가능한 후보는 상당 부분 추론이 가능하다고 밝힘. 미 국방부, 육군, 공군이 공동으로 추진한 ANPI(Advanced Nuclear Power for Installations, 기술 선정 및 타당성 평가 위주) 프로그램에 선정된 업체는 이미 군과의 협력 경험이 있고 기술적 검증을 통과한 이력이 있어 ANPI의 확장판 격인 Janus에서의 채택이 유력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에스앤더블류, 우진, 금양그린파워, 태웅, 강원에너지, 제일테크노스, 디케이락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석유화학 : 다운사이크 리스크 제한적 및 NCC 영업환경 개선 분석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4년간의 다운사이클로 업종 밸류에이션(PBR)은 역대 최저 수준이지만, 실적 및 스프레드 저점 통과한 상황에서 채워지고 있는 반등의 조건들로 다운사이드 리스크가 제한적이라고 밝힘. 유럽과 일본 중심의 구조조정 움직임이 한국 및 중국(공급과잉 주범)까지 확산되며 공급과잉이 점차 완화되고 있고, OPEC+ 감산 완화(=증산)에 따른 공급 증가로 하방 압력 지속되며 국제유가가 하향 안정화되었다고 설명. 또한, 미-중 갈등 지속되나 최악은 지난 상황에서 中 정치 이벤트(10월 양회 등)에 따른 부양책 등으로 수요 기대감이 있다고 언급.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NCC 업체의 전반적인 영업환경 개선이 나타나고 있다며, 유가는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고, 업황 부진에 따른 가동률 조정과 구조조정이 구체화되고 있다고 밝힘. 유가/물가 안정화에 따른 금리인하도 수요 개선에 긍정적인 포인트라고 언급. 특히, 2026년 미국 LNG 수출 확대에 따른 미국 천연가스 강세 가능성, 러시아/이란 원유 도입에 따른 중국/인도 제재도 상대적인 경쟁력 회복 관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밝힘. 또한, 저가 원료가 투입되면서 NCC업체의 실적 개선이 나타나고 있다며, 감가상각비가 낮고 가동률이 높은 대한유화의 2년 만의 흑자전환은 의미가 있다고 언급.


▷이 같은 분석 속 대한유화, SK이노베이션, LG화학,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코오롱인더, 애경케미칼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정유 : 내년 정제마진 강세 전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정제마진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며, 2Q25 아시아 평균 정제마진은 9.5$/bbl이었으나, 현재 정제마진은 14$/bbl 수준으로 QoQ +4.5$/bbl 개선되었다고 밝힘. 연말~연초 현재 수준의 정제마진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며, 2026년에도 정제마진 강세는 불가피하다고 언급. 중기적으로 2025~26년 글로벌 정제설비 순증설은 매년 30~50만b/d 수준에 불과해 수요 증분 80~100만b/d를 하회하고, 단기적으로는 러시아의 드론 공격에 따른 정제설비 타격으로 러시아 휘발유, 디젤 수출 통제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설명. 아울러 미국은 정기보수 시즌임에도 불구하고 가동률이 90%를 상회한다며, 자국 내 공급 부족 현상 때문이고, 이에 따라 수출량이 감소하고 있고 언급. 정제마진 강세 지속 시 정유업체의 실적 추정치는 추가로 상향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분석 속 SK이노베이션, GS, S-Oil 등 정유 테마가 상승.


남북경협 :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 등에 상승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전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결심한다면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계기에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고 거듭 밝혔음. 이와 관련, 정 장관은 MBC '손석희의 질문들'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만나게 된다면 장소는 판문점의 북쪽일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 그는 백악관의 ‘조건 없는 대화’ 의사 표명, 트럼프 대통령의 연내 회담 의지, 김정은 위원장의 비핵화 의제 배제 발언, 이후의 대미 메시지 관리 등을 근거로 최근 포착된 외교적 움직임이 북미 회담 재개의 징후라고 분석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코데즈컴바인, 좋은사람들, 제이에스티나, 아난티, 인디에프, 일신석재, 신원 등 남북경협 테마가 상승.


비만치료제 : 정부, 비만약 위고비·마운자로 오남용 관리·감독 강화 예고 속 일부 관련주 하락

▷언론에 따르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비만치료제 위고비와 마운자로, 삭센다 등 GLP-1 계열(GIP/GLP-1 이중작용제 포함)의 무분별한 처방 실태가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정상 체중자·임부·청소년 등 금기·비대상군 처방 의혹과 부작용 급증이 잇따라 제기되자, 정부는 관리 미흡과 오남용 방지, 사후 감시를 약속하며 '제동'을 시사했음. 전날 복지위 국감 질의에서 의원들이 위고비의 과다 처방과 금기군 처방, 부작용 관련 수치를 제시하며 강하게 질책했음. 이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료계와 협의해 처방 관행 조정, 식약처 제도 활용" 등을 언급하며 관리·감독 강화를 예고.


▷비만치료제는 정상 체중자도 비교적 쉽게, 수 분 내 처방·구매가 가능했다는 사례가 많다며, 처방이 쉬운 만큼 마운자로 출시 초기 품귀현상도 곳곳에서 발생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허가·투여 기준(전문의약품, BMI 30 이상 또는 27 이상+동반질환)에 어긋나는 임신부 194건, 만 12세 어린이 69건 처방 의혹이 제시됐음. 비만과 직접 연관이 낮은 진료과에서의 처방 사례도 다수였다며, 이는 정신건강의학과·비뇨의학과·안과·치과 등 다양한 과에서 수천 건이 처방된 정황이 확인된 것임.


▷이 같은 소식 속 지투지바이오, 인벤티지랩, 올릭스, 라파스, 펩트론 등 일부 비만치료제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한국금융지주(071050)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 연결 지배주주순이익은 4,601억원(YoY +47.2%, QoQ -14.6%)으로 컨센서스를 약 25.7% 상회할 것으로 전망. 상반기에 이어 3분기에도 우수한 운용 능력을 바탕으로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연간 지배주주순이익 1.7조원 달성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 특히,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가 조성되며 4분기 IMA 인가 취득 후 본격적인 운용수익 확대를 기대할 수 있어,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이익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밝힘. 발행어음 잔고는 2분기 기준 약 18.0조원(별도 자기자본대비 약 171%), 발행어음 마진은 200bp 수준으로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

▷아울러 현 정부의 증시 부양 의지(국민성장펀드, BDC 제도화 논의 등)에 따른 자본활용 및 투자기회 확대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멀티플 상승 여력이 높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90,000원 -> 200,000원[상향]


남광토건(001260) : 총 2,046.84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금광동 3936-1번지 일대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과 553.8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98%) 규모 공급계약(금광동 3936-1번지 일대 가로주택정비사업) 체결 공시. 금광동 4246번지 일대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과 596.2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82%) 규모 공급계약(금광동 4246번지 일대 가로주택정비사업) 체결 공시. 금광동 4232번지 일대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과 896.7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7.78%) 규모 공급계약(금광동 4232번지 일대 가로주택정비사업) 체결 공시.


엑시큐어하이트론(019490) : 24.51억원 규모 7호선 노후 모니터링 시스템 개량사업 수주에 상승

▷서울교통공사와 24.5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7.25%) 규모 공급계약(7호선 노후 모니터링 시스템 개량 사업) 체결(계약기간:2025-10-15~2026-08-11) 공시.


현대글로비스(086280) : 3분기 견조한 실적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 7조6,012억원(+1.8% YoY) 및 영업이익 5,231억원(+11.5%, OPM 6.9%)으로 컨센서스(OP 5,380억원)를 부합할 것으로 전망. 무역 분쟁이 지속되는 한 수출입 물류 기업에 잡음은 끊임없이 생성됐지만, 그럼에도 비계열 PCTC 중심의 이익 성장과 ROE 개선이라는 펀더멘털 방향성은 명확하다고 밝힘.

▷또한, 배당소득 분리과세안의 배당성향 기준 완화 가능성은 업사이드 요인으로 작용(現 글로비스 환원 정책은 배당성향 25% 이상)할 수 있다고 밝힘. 9월 이후 주가 조정으로 밸류에이션은 12MF PER 6.8배까지 하락했다며, 과거대비 개선된 이익 체력 감안 시 매력적인 주가 수준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05,000원[유지]


현대오토에버(307950) : 3분기 양호한 실적 전망 및 신사업 GPUaaS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승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은 10,271억원(YoY +13.5%), 영업이익은 638억원(YoY +21.6%)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양호한 실적 시현을 전망한다고 밝힘. 탑라인은 SI가 ERP 및 클라우드 중심의 구축 사업 호조로 YoY +17.8% 고성장이 기대되고, ITO 및 차량 SW도 YoY +9~14% 수준으로 각각 상반기 이상의 성장률을 마크할 것으로 추정. 이어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인건비 인상분의 일시 반영에 따른 기저 영향으로, 마진개선에 따른 22% 증익이 전망된다고 분석.

▷아울러 신사업 GPUaaS 본격화, 전장SW 사업기회 확대, 해외 ERP 구축 및 스마트팩토리 확산 수혜를 반영함에 따라 2026년 EPS 추정치를 동일폭 상향해 목표주가를 기존대비 18% 상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60,000원 -> 190,000원[상향]


미원상사(002840) : 자사주 취득 및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29,566주(44.99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10-16~2026-01-15) 공시.

▷아울러 보통주 1주당 500원(시가배당율 0.32%)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9-30) 공시.


대원제약(003220) :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식약처 제3상 임상시험 계획 승인 속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개발중인 DW4421의 식약처(MFDS) 제3상 임상시험 계획 승인(미란성) 공시. 이번 임상에서는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DW4421 투여 후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


LX인터내셔널(001120) : 3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실적은 매출액 3조9,843억원(-12.6% YoY 이하 YoY), 영업이익 678억원(-56.2%)으로 시장 기대치(영업이익 778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자원 부문 영업이익은 123억원(-64.8%)으로 2분기에 발생한 GAM 광산 폐석처리 비용의 소멸에 따른 전분기대비 증익 예상하지만, 중국 연료탄 공급 과잉으로 더딘 회복이 나타난 인도네시아 연료탄 가격은 40불대 초반에 머무른 것으로 추정되어 전년대비 감익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트레이딩/신성장 부문 영업이익은 178억원(-56.2%)으로 계절적 성수기에 따른 물량 증가로 전분기대비 반등을 기대하지만 연료탄 시황 약세로 인한 수익성 둔화, 자회사 실적 부진 지속으로 전년대비 감익을 예상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6,000원[유지]


달바글로벌(483650) :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하락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1,221억원(+65.7% YoY, -4.9% QoQ), 영업이익은 236억원(+67.8% YoY, -19.3% QoQ, OPM +19.3%)을 기록하여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17% 하회할 것으로 전망. 수익성이 양호한 국내와 일본이 다소 아쉬운 매출 흐름을 보여주는 와중에, 회사가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면서 3분기에 아쉬운 수익성을 기록할 걸로 예상한다고 밝힘.

▷다만, 섹터의 투자심리가 회복되지 못한 점은 아쉽지만, 회사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힘. 9월에 미국 코스트코와의 공급계약(초도물량 금액 29억원) 및 미국 얼타뷰티 납품을 위한 공급계약(초도물량 금액 19억원)을 체결했고, 상반기와 달리 7월부터 미국 아마존에서의 퍼포먼스가 눈에 띄게 양호한 점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85,000원 -> 240,000원[하향]


SK(034730) : 대법원, 최태원-노소영 1.4조원 규모 재산분할 파기환송 결정 속 약세

▷대법원 1부(주심 서경환 대법관)는 금일 오전 10시 최태원 SK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간 이혼소송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재산분할 등 일부 파기환송을 결정. 이날 판결은 최 회장이 2017년 7월 이혼 조정을 신청한 지 8년 3개월 만이자, 지난해 5월 2심이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위자료 20억원, 재산분할로 1조3,808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지 1년 5개월 만에 내려진 것임. 법조계에서는 이번 판결이 최 회장의 손을 들어준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음.

▷한편, 최 회장이 재산분할에 필요한 막대한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 배당을 확대하거나 주식담보대출 여력을 높일 수 있는 주가 상승이 뒤따를 수 있을 것이란 투자심리가 작용하며 지난해 5월 2심 판결 이후 동사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인 바 있음.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로킷헬스케어(376900) : 美 대형병원서 당뇨발 재생 치료 관련 '공공 보험 수령' 공식 확인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대형 3차 병원(HOPD·Hospital Outpatient Department)에서 당뇨발 재생 치료에 대한 공공 보험 수령을 공식 확인했다고 밝힘. 이번 사례는 동사의 AI 자가조직 재생치료가 미국 공공 보험 체계(CPT 코드) 내에서 공식 의료행위로 인정받은 첫 실적이며, 첫 공적 보험 수령이라는 점에서 AI 기반 재생의료의 제도권 진입을 의미하는 역사적 이정표로 평가된다고 전해짐. 동사는 향후 미국·유럽·중동 시장에서 피부·연골·신장 등 AI 초개인화 장기재생 플랫폼을 순차 상용화할 계획임.

▷이와 관련, 유석환 동사 대표는 "AI 기반 재생의료가 미국 공식 제도권 보험체계에 편입된 첫 사례로, 글로벌 보험 승인 속도가 급격히 가속될 것"이라며, "AI와 자가재생기술을 결합한 초개인화 플랫폼을 통해 '대량치료의 시대에서 맞춤 재생의 시대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힘.


씨엑스아이(900120) : 앤서가든 브랜드 中 총판 계약 체결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씨케이에이치건강산업을 통해 국내 화장품 제조사 코빅스와 ‘앤서가든(Answer Garden)’ 브랜드의 중국시장 진출에 대한 총판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는 ‘앤서가든’의 앰플, 토너, 폼클렌저, 수분크림, 미스트, 마스크팩 등 총 15종의 제품을 중국에서 유통하게 되며, 기존 온·오프라인 판매망을 효율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전담 TF조직을 중심으로 신규 유통 채널을 체계적으로 확장해 판매량을 단기간 내에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임.

▷동사 관계자는 “중국시장에서 수많은 브랜드가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차별화된 정체성과 혁신적 성분, 현지화 전략을 강점으로 내세운 K-인디 브랜드가 향후 시장 공략의 핵심 무기가 될 것”이라고 밝힘.


삼영엠텍(054540) : 동아화성 지분 추가 양수 결정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사업 다각화 목적으로 동아화성 주식 6,664,802주를 1,332.96억원에 추가 양수키로 결정(양수후지분율:43.50%, 양수예정일자:2025-12-16) 공시.

▷아울러 삼영파트너스 주식회사 주식 3,000,000주를 150.00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 취득예정일:2025-10-22) 공시.

▷한편, 이 같은 소식 속 동아화성은 하락.


HLB생명과학(067630) : 美 '앨리슨 메디컬'향 동물용 하드팩 주사기 첫 선적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동물용 하드팩 주사기(Veterinary syringe in hard plastic case)'의 미국 수출을 위한 첫 선적을 개시한다고 밝힘. 이번에 수출하는 동물용 하드팩 주사기는 앨리슨 메디컬의 요청에 따라 설비 투자를 감행, 전용 라인을 구축한 후 수출하는 제품이며, 동사는 하드팩 주사기가 프리미엄 제품으로 동물용 주사기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군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전략적 투자를 진행했다고 설명. 이번에 선적하는 물량은 8t 규모이며, 올해 말까지 총 180t 규모의 제품을 미국에 수출할 계획임.

▷이와 관련 이광희 동사 의료기기 사업본부 부사장은 "최근 공동상태에 봉착해 있던 미국 내 동물용 하드팩 시장에 발 빠르게 진입할 수 있었던 것이 큰 기회가 됐다"며, "당사가 협력중인 앨리슨 메디컬은 미국 내 동물용 의료기기 유통 분야 1위 업체와 계약 관계를 맺고 있어, 앞으로 수출 규모는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엘앤씨바이오(290650) : 美 AATB서 글로벌 조직은행과 국제 네트워크 확대 및 미국 시장 진출 전략 구체화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12일부터 15일까지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2025 AATB Annual Meeting'에 참가해 글로벌 조직은행 전문가들과 교류하며 국제 네트워크 확대 및 미국 시장 진출 전략을 구체화했다고 밝힘. AATB(American Association of TissueBanks)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조직 관련 규정 '21 CFR Part 1271'을 기반으로, 그보다 더 엄격한 품질관리와 안전성 기준을 제시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조직은행 인증 기관이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이환철 동사 대표는 "AATB는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조직 인증기관으로, 동사가 인증 기업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은 한국의 조직이식 기술이 글로벌 기준을 충족했다는 의미"라며, "이번 회의를 통해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L&C USA' 설립 추진과 수출 확대 등 실질적 협력 방향을 구체화할 수 있었다"고 설명. 이어 "앞으로도 국제 인증에 부합하는 품질관리 체계를 기반으로 글로벌 조직은행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한국 조직이식 산업의 위상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힘.


쓰리빌리언(394800) : 미국유전학회서 AI 유전변이 해석 기술 관련 연구 초록 4편 발표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14일부터 18일까지(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2025 미국유전학회(ASHG 2025)’에 참가해 AI 유전변이 해석 기술 관련 연구 초록 4편을 발표한다고 밝힘. AI 통합 변이 해석 모델 ‘3ASC 2.0’,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한 자동 ACMG 판정 시스템 ‘AIVARI(AI VARiant Interpreter)’, AI 유전체 분석 플랫폼 ‘GEBRA’, 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한 전장유전체 기반 희귀질환 임상 연구 결과 등 총 4편의 연구 초록을 공개했다고 언급.

▷이 가운데 ‘3ASC 2.0’ 연구는 학회에 제출된 3,000여 편의 포스터 중 상위 60편에 선정돼, 구두 발표 기회를 제공하는 ‘라이트닝 토크(Lightning Talk)’ 세션에서 소개되며 학회의 주요 연구로 인정받았다고 밝힘. 라이트닝 토크는 과학적 혁신성과 임상적 기여도가 높은 연구에만 주어지는 발표 세션으로, 올해 새롭게 신설된 ‘최상위 포스터 발표’ 형식이라고 설명.


알체라(347860) : 현대모비스와 18.7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현대모비스(주)와 18.7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84%) 규모 공급계약(RS4 PE 차종 PRK3 BEV 데이터 수집 및 가공) 체결(계약기간:2025-12-17~2026-12-16) 공시.


신테카바이오(226330) : 글로벌 암 연구 센터와 차세대 항암 치료제 개발 공동연구 추가 진행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암 연구 센터인 미국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MSKCC)와 차세대 항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가로 진행한다고 밝힘. MSKCC는 최대 규모의 암 전문 센터 중 하나로 암 연구와 치료, 진단, 수술, 임상시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혁신적인 암 연구와 교육에도 특화돼 있는 세계적인 암 전문 병원 중 하나라고 언급. 이에 동사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AI 신약개발 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를 활용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초기단계의 물질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정종선 동사 대표이사는 “MSKCC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두번째 암 치료제 개발에 대한 공동개발을 진행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 세계적인 암 센터와 지속적인 업무협력을 통해 소분자 약물 개발 가속화로 인한 시간, 비용 단축과 당사 플랫폼에 대한 기술력이 입증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힘.


비아이매트릭스(413640) : 국내 대기업에 AI 인재추천 HR시스템 구축 사업 수주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주요 대기업에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인재추천 HR분석시스템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주, 자사 생성형 AI 솔루션 ‘트리니티(TRINITY)’의 시장 확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힘. 이번 프로젝트는 고객사가 자연어로 질의하면 기업 내 인재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추천할 수 있는 지능형 AI 에이전틱(Agentic) 시스템 구축이 핵심인 것으로 전해짐. 동사의 TRINITY는 이런 프로세스를 AI기반으로 자동화해 고객사의 의사결정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나아가 운영비용(COST) 절감 효과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AI 제품은 이미 다양한 산업 군으로의 확장을 추진 중이며, 다수의 고객사와 기술검증(PoC)을 진행하고 있다"며, "고객사의 방대한 자료 분석, 정제, 시각화, 보고서 작성 등 데이터 노동 업무를 AI가 대신함으로써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힘.


티에스이(131290) : 보통주 275,909주(139.44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운영 및 시설 자금의 조달 목적으로 보통주 275,909주(139.44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10-16) 공시.


골드앤에스(035290) : 50% 비율의 감자 결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50.00%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5-12-10, 상장예정:2026-01-06) 공시.


시지트로닉스(429270) : 79.83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1,800,000주(79.83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4,435원,1주당 약 0.39주 배정,청약예정:2025년 12월 18일~2025년 12월 19일(구주주),상장예정:2026-01-08) 공시.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