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10.01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10-01 14:45
조회수 :
215

오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뉴로모픽 반도체,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온디바이스 AI, 타이어, 반도체 대표주(생산), 조선기자재, 시스템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반도체 재료/부품, 유리 기판,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니켈, 반도체 장비, 피팅(관이음쇠)/밸브,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치매, PCB(FPCB 등), 3D 낸드(NAND), 무선충전기술, 남북경협, NI(네트워크통합), 캐릭터상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


약세 테마 : 지역화폐, 스테이블코인, CCTV&DVR, 인터넷 대표주, STO(토큰증권 발행), 토스(toss), 두나무(Dunamu), 야놀자(Yanolja), 면세점, 전자결제(전자화폐), 증권, 마이데이터, 보안주(물리),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미용기기, 핀테크(FinTech), 애플페이,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마리화나(대마), 항공/저가 항공사(LCC), 삼성페이, 전기차 화재 방지(배터리 열폭주 등), 창투사 등...




[특징 테마]

폴더블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삼성전자, APEC 정상회의 현장에서 '트라이폴드' 공개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현장에서 두 번 접는 새로운 폼팩터의 스마트폰 '트라이폴드'를 공개할 것으로 전해짐. 신제품 공개가 각국 정상과 글로벌 경제계 인사, 빅테크 수장들이 직접 지켜보는 자리에서 이뤄지는 만큼 단순한 신제품 발표를 넘어 한국의 첨단기술 경쟁력을 상징하는 무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음. 트라이폴드는 기존 양쪽 접이식 '폴드' 시리즈에서 한 단계 진화해, 화면을 한 번 더 접을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었으며, 펼치면 태블릿에 준하는 대화면을 제공하면서도 접으면 일반 스마트폰 수준의 휴대성을 갖추도록 한 것이 특징으로 전해짐.


▷한편, 트라이폴드폰은 지난해 9월 화웨이가 세계 최초로 '메이트 XT'를 출시한 바 있으며, 삼성전자는 출시 시점은 늦었지만 기술력과 완성도를 앞세워 차별화에 나선다는 전략임.


▷이 같은 소식 속 켐트로닉스, 인터플렉스, 삼성전자, 이녹스첨단소재, 유티아이, 코세스, AP시스템, 덕산네오룩스, 필옵틱스 등 폴더블폰/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테마가 상승.


드론(Drone) : 李 대통령, 내년도 국방예산서 드론 등 첨단기술 집중 투자 언급 속 일부 관련주 상승

▷이재명 대통령이 이날 충남 계룡대에서 제77주년 국군의날 기념사를 통해 "급변하는 안보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면 자주국방은 필연"이라며 "우리 국방력에 대한 높은 자부심과 굳건한 믿음에 기초해 강력한 자주국방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힘. 이어 "우리 국군을 미래 전장을 주도하고 반드시 승리하는 '스마트 정예 강군'으로 재편하겠다"며 "내년도 국방예산을 전년 대비 8.2%, 대폭 늘어난 66.3조원을 편성해 첨단 무기체계 도입과 게임체인저가 될 AI(인공지능), 드론, 로봇 등 첨단기술에 집중 투자하겠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베셀, 에이럭스, 제이씨현시스템, 피씨디렉트 등 일부 드론(Drone) 테마가 상승.


보안주(정보) 등 : NHN클라우드, 국정자원 화재 관련 업무시스템 재설치 국유재산임대사업자로 선정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전소된 96개 업무시스템 재설치를 위한 국유재산임대사업자로 NHN클라우드가 선정됐다고 전해짐. 정부는 지난 30일 대구센터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존으로 업무시스템을 이전하기 위한 시스템 재설치 공간 임대계약을 체결하고 이날부터 본격 이전을 추진한다고 알려짐. 정부는 전소된 업무시스템 정상화에 약 한 달 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현재 대구센터 PPP에는 삼성SDS,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가 입주해 있다며, 모두 국정원 보안 인증 '상'등급을 확보한 곳으로 3곳 중 NHN클라우드와 추가할당 계약을 체결해 시스템 이전·재설치를 위한 전산실 공간을 마련한 것이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기술적인 검토 등이 끝나면 단순한 시스템은 일주일 안에 (가동)될 수도 있고 복잡한 건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다"면서도 "대체적으로 4주 정도면 (정상화)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파이오링크, 한싹, 모코엠시스, 에스넷 등 일부 보안주(정보),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가 상승. 또한, 데이타솔루션, 모아데이타, 와이즈넛 등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도 상승. NHN클라우드를 종속회사로 보유한 NHN도 부각.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풍산(103140) : 3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은 1조2,770억원(QoQ -1.3%, YoY +13.1%), 영업이익은 950억원(QoQ +1.6%, YoY +27.9%)으로 시장 컨센서스(FnGuide 3개월 기준) 798억원을 19.2%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당사 기존 추정치 대비 영업이익이 11.1%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한 것인데, 미국 소재의 동가공사인 PMX가 구리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로 기존 전망 대비 더 많은 이익을 실현했을 것으로 가정을 변경했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현대로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열심히 K2와 K9을 팔면 동사는 가만히 앉아서 수혜를 받는다고 밝힘. 이에 대한 시장의 이해가 높아졌고, 155mm 대구경 포탄에 대한 생산능력이 두 배로 확대되면서 방산사업의 성장에 기대가 크다고 밝힘. 또한, 당사는 중국이 철강뿐만 아니라 비철산업에 대해서는 구조조정을 실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전세계 구리의 절반을 생산하는 중국의 비철산업이 구조조정되면 구리 생산량이 줄고, 이에 따라 구리 가격이 급등할 것 으로 예상.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04,000원[유지]


CJ제일제당(097950) : 사료·축산 자회사 CJ피드앤케어 매각 소식 속 소폭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사료·축산 자회사 CJ피드앤케어를 매각하는 것으로 전해짐. 매각가는 1조2천억원 안팎으로 알려짐. CJ피드앤케어 매각은 지난 몇 년간 여러 차례 추진된 바 있음.

▷이와 관련 CJ피드앤케어 주식회사 지분 매각 결정 공시. 동사의 이사회 의결 후, 동사 및 동사의 계열회사는 2025년 10월1일 동사 및 동사의 계열회사가 보유한 씨제이피드앤케어 주식회사 등 총 14개社 주식을 매도하는 Share Purchase Agreement(SPA)를 체결했다고 밝힘. 매수인은 De Heus Animal Nutrition B.V.등 4개社이고, 처분금액은 2,109억원이라고 밝힘.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제이엔케이글로벌(126880) : 4,066.1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93.29%)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Bharat Petroleum Corporation Limited와 4,066.1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93.29%) 규모 공급계약(Fired Heaters 공급) 체결(계약기간:2025-09-30~2028-01-16) 공시.


온코닉테라퓨틱스(476060) : 네수파립(JPI-547) 난소암 제2상 임상시험계획승인(변경승인) 신청에 급등

▷네수파립(JPI-547)의 난소암 제2상 임상시험계획승인(변경승인) 신청 공시. 이번 임상은 난소암 환자에서 PARP 저해제 단독 유지요법 이후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네수파립과 베그젤마 병용을 통한 '재유지요법' 가능성을 최초로 검증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동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병용 투여의 안전성, 내약성, 항종양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예정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IND 신청은 네수파립이 글로벌 시장에서 혁신 항암신약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베그젤마와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난치성 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생존 혜택을 제공하는 동시에 글로벌 시장에서 차세대 치료 패러다임을 선도하겠다"고 밝힘.


아이엠비디엑스(461030) : 다중암 조기 스크리닝 서비스 '캔서파인드' 업그레이드 출시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의 다중암 조기 스크리닝 서비스 '캔서파인드'의 암종과 성능을 업그레이드해 출시했다고 밝힘. 기존 8종 암 검진에 그치지 않고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신장암, 방광암 4종을 새로 포함해, 총 12종 암을 단 한 번의 혈액검사로 조기 스크리닝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전해짐. 이번 암종 확대를 통해 주요여성암(유방, 난소, 자궁경부, 자궁내막)을 모두 포함한 폭넓은 암 조기 스크리닝 수요를 충족하며, 검진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전망임.

▷이와 관련, 김태유 동사 대표이사는 "업그레이드 제품의 출시는 단순한 암종 확대를 넘어 국가 암 관리체계의 질을 높이는 새로운 이정표"라며 "특히 4대 여성암은 물론, 한국인에게 빈발하는 주요 암 종을 모두 망라하는 차세대 다중암 조기 스크리닝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게 됐다"고 밝힘.


샘씨엔에스(252990) : 3분기 호실적 전망 및 내년 해외 고객사 공급 기대감 등에 상승

▷LS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 예상 실적은 매출액 210억원(+33.3% yoy), 영업이익 45억원(+45.6% yoy)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이는 기존 추정치 Sales 192억원, OP 38억원을 각각 +9.3%, +18.3% 상향하는 것으로 3Q25 전방고객사로 DRAM & NAND ProbeCard 공급 상황이 모두 우호적인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이라고 분석.

▷이어 동사의 DRAM 세라믹 STF Sales는 2022년 7억원 → 2023년 30억원 → 2024년 122억원 → 2025년 198억원 전망, 1H24 49억원 → 1H25 90억원(+84.8% yoy) 수준의 고성장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글로벌 비메모리 ProbeCard의 강자인 T사가 HBM용 ProbeCard 생산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동사에게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언급. 기존 글로벌 선두권 ProbeCard 기업 F사와 M사는 동사의 세라믹STF를 채택하지 않은 반면, HBM ProbeCard 신규 공급을 계획하는 T사는 동사의 세라믹STF 적용할 계획이기 때문이라며, 이는 2026년에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노을(376930) : 유럽 대표 열대의학 학회서 마이랩 플랫폼 실사용 임상 공개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2일(현지시간)까지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유럽 열대의학 및 국제보건 학술대회'(European Congress on Tropical Medicine and International Health, ECTMIH 2025)에서 자사의 AI 기반말라리아 진단 플랫폼 miLab MAL의 최신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힘. 동사가 공개한 연구는 말라위 리롱궤에 위치한 브와일라(Bwaila) 병원에서 진행된 전향적 임상 시험으로, 총 6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마이랩(miLab™ MAL), 신속진단검사(RDT), 그리고 표준 현미경 검사의 말라리아 진단 정확도를 비교 분석했으며, 진단 결과 마이랩 AI 진단 시 민감도 98.4%, 특이도 99.8%, 정확도 99.5%의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임찬양 동사 대표는 "실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이번 임상 연구에서 완벽에 가까운 AI 진단 성능을 보여주며, 마이랩이 표준현미경 진단을 넘어서는 확실한 대안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며, "말라리아 솔루션은 미국에서 진행한 연구에서도 민감도, 특이도 각각 100%를 보여주며 완벽한 성능을 입증한 만큼, 비용·효율성이 중요한 선진국과 말라리아 발생이 많고 진단 접근성이 떨어지는 중저소득국 모두에서 최고의 옵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과 판매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힘.


모아라이프플러스(142760) : 180억 규모 브랜드 홍보 및 제품 공급계약 체결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180억원 규모의 브랜드 홍보 및 제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은 대표 브랜드 닥터스 피지에이(DOCTORS PGA)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화장품, 뷰티 디바이스 제품을 ㈜예원글로벌에이치의 전국 유통망에 공급하고, 제품 브랜드화 및 공동 마케팅을 통해 판매채널을 다변화하는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입체적 유통 전략을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한층 높여나갈 것"이라며 "매출 확대 및 순이익 실현에 한발 다가설 수 있게 됐다"고 밝힘.


루닛(328130) : 'ESMO 2025'서 AI 기반 '루닛 스코프' 연구 성과 발표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현지시간으로 오는 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는 '2025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활용한 연구초록 2편을 발표한다고 밝힘. 이번 학회에서는 정상 불일치 복구형 전이성 대장암(pMMR mCRC) 환자를 대상으로 '아테졸리주맙(티쎈트릭)' 병용요법의 치료 효과를 비교한 종양미세환경 기반 AI 바이오마커 연구가 구연 발표(Oral Presentation)로 채택돼 학회의 주요 연구로 인정받았으며, 이어 포스터 발표를 통해 AI 기반 면역표현형(IP) 바이오마커를 진행성투명세포형 신세포암(ccRCC) 환자 대상 니볼루맙(옵디보) 및 이필리무맙(여보이) 병용치료와 수니티닙(수텐) 단독치료 효과 예측에 적용한 연구를 공개할 예정.

▷이와 관련, 동사 서범석 대표는 "5년간의 ESMO 참가를 통해 축적된 연구 성과가 이제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로 연결되고 있다"며, "항암제 시장의 중요 과제 중 하나인 치료 반응 예측에 대한 선도적인 AI솔루션으로서 글로벌 제약사들 과의 본격적인 상업화 협력이 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에스티큐브(052020) : ESMO 2025 참가해 BTN1A1 연구성과 발표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17~21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는 ESMO에 참가해 넬마스토바트 관련 초록 2건을 발표한다고 밝힘. 첫 번째 초록은 'BTN1A1 표적 면역치료는 비소세포폐암 및 대장암에서 표준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제목으로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와 제브라피쉬 모델을 활용해 BTN1A1 억제제의 병용전략을 평가한 연구이며, 두 번째 초록 주제는 '넬마스토바트와 카페시타빈 병용요법의 임상적 유익을 예측하는 BTN1A1 H-Score 점수 및 다중 바이오마커 분석:전이성 대장암 대상 1b/2상 연구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BTN1A1은 PD-L1과 상호 배타적으로 발현되는 새로운 면역관문)으로 기존 면역항암제에 불응하거나 내성이 생긴 환자들의 반응률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타깃"이라며, "이제 실제 임상을 통해서도 넬마스토바트가 바이오마커 기반 정밀면역항암제로서 글로벌 First-in-class(계열 내 최초)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을 거듭 확인하고 있다"고 밝힘.


선익시스템(171090) : 116.38억원 규모 에너지산업용 증착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116.3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31%) 규모 공급계약(에너지산업용 증착장비) 체결(계약기간:2025-09-30~2027-07-31) 공시.


유바이오로직스(206650) : 미국 출자회사 팝바이오텍, 알츠하이머 치료백신 NIH 과제 선정 소식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미국 출자회사 팝바이오텍이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알츠하이머 치료 백신 개발 과제에 선정돼 250만 달러(약 35억 원)를 받는다고 밝힘. 이번 연구과제는 스냅 플랫폼을 적용해 베타아밀로이드·타우 기반 펩타이드 다중항원 치료백신을 개발하는 게 목표이며, 팝바이오텍이 주관하고 뉴욕주 기초연구소(IBR)와 푸에르토리코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짐. 과제 목표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주요 병인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을 함께 겨냥하는 '모자이크 항원 디스플레이' 기술을 통해 치료 백신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임.

▷한편, SARS-CoV-2 변이주 대응 mRNA백신 mCOV의 제1상 임상시험계획승인 신청(IND) 공시. 대상질환은 SARS-CoV-2 변이주에 의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이며, 임상시험목적은 19세 이상 64세 이하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mCOV 접종 후, 계획한 모든 용량군에서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확인임.


그린플러스(186230) : 86.95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하나종합건설(주), 아산건설(주)와 86.9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92%) 규모 공급계약(예천 지역특화 임대형스마트팜 조성사업 건축토목기계공사) 체결(계약기간:2025-09-30~2026-12-16) 공시.


비보존 제약(082800) : 관계사 비보존, 신약 후보물질 'VVZ-2471' 美 FDA 1상 IND 제출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 관계사 비보존은 언론을 통해 개발 중인 혁신신약 후보물질 'VVZ-2471'의 임상시험계획(IND)을 지난 30일(현지시각)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밝힘. 이번 임상 1상은 흡연자를 대상으로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하며, 동시에 흡연 충동 억제 효과를 탐색적으로 검증할 계획. 이와 관련, 비보존 관계자는 "VVZ-2471은 한국과 미국에서 통증과 중독이라는 미충족 의료수요가 큰 두 분야를 동시에 겨냥해 개발되고 있는 독창적 파이프라인"이라며 "이번 미국 임상 1상 IND 제출을 기점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힘.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