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10.01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10-01 11:29
조회수 :
214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유리 기판,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대표주(생산),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치매, HBM(고대역폭메모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피팅(관이음쇠)/밸브, 조선기자재, 3D 낸드(NAND),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재료/부품, 타이어, 뉴로모픽 반도체,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PCB(FPCB 등), 반도체 장비, 시멘트/레미콘, 무선충전기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원자력발전소 해체, 제대혈, 남북경협, 마이크로 LED, 폴더블폰, 화이자(PFIZER), 제약업체, 니켈, 전자파,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리튬 등...


약세 테마 : 면세점, 마이데이터, 인터넷 대표주, 전자결제(전자화폐), 애플페이, CCTV&DVR, STO(토큰증권 발행), 두나무(Dunamu), 스테이블코인, 야놀자(Yanolja), 지역화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백화점, 미용기기, 핀테크(FinTech), 토스(toss), 증권,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보안주(정보), 호텔/리조트, 보안주(물리), 삼성페이, 페인트,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등...




[특징 테마]

반도체 관련주 : 엔비디아, 시총 4.5조달러 돌파 및 9월 반도체 수출 역대 최대 기록 경신 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에서는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우려에도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지속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상승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4.71포인트(+0.87%) 오른 6,369.82를 기록. 마이크로소프트(+0.65%), 애플(+0.08%), 테슬라(+0.34%) 등 일부 대형 기술주도 상승.


▷특히, 인공지능(AI) 반도체 업체인 엔비디아가 2.60% 상승하면서 시가총액 4조5,000억달러(약 6,322조원)를 돌파했음. 이와 관련, 미국 데이터센터 운영사인 코어위브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와 142억달러(19조9,500억원) 규모 컴퓨팅 파워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으며,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 필수 구성 요소인 GPU 선두기업으로 코어위브 계약이 향후 실적 상승 기대감을 높여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또한, 씨티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인공지능(AI)에 대한 자본 지출이 2조8,0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며, 엔비디아가 최대 수혜주일 것이라고 전망.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날 발표한 9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9월 수출액은 659억5,000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2.7% 증가. 이는 2022년 3월 이후 3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월간 수출은 지난 6월부터 4개월 연속으로 ‘수출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음. 특히, 9월 주요 수출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 수출이 메모리 가격 상승효과에 힘입어 전년대비 22.0% 증가한 166억1,0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 AI 서버를 중심으로 HBM, DDR5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 수요가 강했고, 메모리 고정가격도 양호한 흐름을 지속.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해성디에스, 티이엠씨, 하나마이크론, 에스티아이, 미래반도체, 원익QnC, 디아이, 퀄리타스반도체, 어보브반도체, 코세스, 아이엠티, 유니셈, 네패스아크, 에이직랜드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 신규 발전소에 첨단 연료전지 공급 소식 속 블룸에너지(+14.90%) 급등 영향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블룸에너지(+14.90%)가 와이오밍주 신규 발전소에 첨단 연료전지를 공급한다는 소식 등에 급등. 발전소는 블룸에너지의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기술을 기반으로 와이오밍주 라라미카운티에 건설되며, 분산형 비하인드미터 방식으로 설계돼 1.8기가와트(GW) 규모 AI 데이터센터에 24시간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예정임. 미국 환경품질관리국(EQD)의 승인을 거쳐 2026년 착공이 가능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크리스토퍼 덴드리노스 RBC캐피털 애널리스트는 "이번 프로젝트가 데이터센터용 분산형 발전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열 것"이라고 밝힘. 이어 "블룸에너지의 연료전지는 빠른 설치와 높은 신뢰성, 낮은 배출량 측면에서 전통 전력망보다 우위에 있다"며 "AI 산업 확대로 인한 전력 인프라 패러다임 전환의 중심에 설 것"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SK디앤디, 한선엔지니어링, 아모센스, 두산퓨얼셀, 비에이치아이, 미코, 범한퓨얼셀, 비나텍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LNG(액화천연가스) : K-조선, LNG선 수주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LNG운반선 16척 중 14척을 한국 조선사가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해짐. 삼성중공업이 7척, HD현대삼호가 5척, 한화오션 2척이었으며, 나머지 2척은 미국 국적 선박이지만, 한화 오션의 자회사 한화쉬핑이 발주해 필리조선소에서 건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알려짐. 지난해 한국과 중국이 양분했던 시장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 조선사들의 기술력이 입증된 결과로 풀이되고 있으며, LNG운반선 시장에서 한국 조선사들의 강세가 계속되면서 최근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LNG 프로젝트를 국내 조선사가 수주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음.


▷한편, 조선·해운 전문지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호주석유·가스업체 우드사이드에너지는 LNG 운반선 16∼20척을 발주하는 방안을 조선사들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미국 에너지업체 셈프라는 최근 140억달러 규모 LNG 프로젝트와 관련한 최종투자결정(FID)을 내렸으며, 글로벌 선주 가스로그는 한화오션과 2억4,500만 달러 규모의 LNG선 건조 계약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음.


▷상상인증권은 조선사들의 선가 상승과 이익 확대가 지속됨에 따라 이를 후행하는 기자재 업체들 역시 같이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높은 주가 수준에도 여전히 추가 업사이드는 존재한다고 밝힘. 엔진 업체들은 3Q를 기점으로 2022년 수주 물량을 해소하고 2023년 이후 수주물량을 온전히 실적에 반영하게 된다고 설명. 2023~2024년의 선가 상승폭이 가장 가팔랐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향후 실적에서 드러날 가격 효과는 현재 예상 대비 더욱 강할 것으로 전망. 또한, 향후 엔진 수요 감안 시 캐파 확대는 불가피하고 그에 대한 추가 전개에 따라 Q 확장 모멘텀 역시 여전히 존재한다며, 이는 모두 전망치 상향 요인이라고 밝힘. 더 나아가 M&A를 통해 HD현대, 한화 등 대형 조선사 보유 그룹사에 편입하게 된 엔진사들은 향후 미국 조선업 협력 등 그룹사 차원의 미래 성장 전략의 동반자로서 해당 내러티브 전개에 따라 중장기 신규 수요 역시 추가될 여지가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엔진, 태광, HD현대마린엔진, 성광벤드, STX엔진,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SK가스 등 조선/ 조선기자재/ LNG(액화천연가스) 테마가 상승.


남북경협 등 : 美 백악관, 김정은 北 국무위원장과 전제조건 없는 대화 가능성 언급 속 상승

▷9월30일(현지시간)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전제조건 없이 대화할 의사를 갖고 있다고 밝힘.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는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거론한대로) 핵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도 북한과 대화하는 데 열려 있느냐'는 언론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어떤 전제 조건 없이 대화하는 것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답했음.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김정은과 한반도를 안정화시키는 3차례의 역사적 정상회담을 가졌다"고 언급. 이어 "미국의 대북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밝혔으며, 이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기존 미국 정부의 원칙과 목표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9월21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백악관 입장과 관련, '비핵화 포기'를 조건으로 제시한 북한의 대화 제안에 대해 '비핵화 견지'를 간접 시사하는 동시에 '전제조건 없는 대화'라는 '역제안'을 한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코데즈컴바인, 다스코, 좋은사람들, 인디에프, 일신석재, 현대건설, 아난티, 제이에스티나 등 남북경협 테마, 부산산업, 하이록코리아, 대아티아이, 우리기술, 우원개발 등 철도 테마 등 대북 관련주가 상승.


리튬 : 美 에너지부 장관 리튬아메리카스 지분 취득 발언, 리튬아메리카스(+34.67%) 시간외 급등 등에 상승

▷9월30일(현지시간)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리튬 아메리카스의 지분 5%와 이 회사가 추진하는 리튬 광산 개발 프로젝트의 지분 5%를 취득하기로 했다고 밝힘. 라이트 장관은 "미국 정부의 이 같은 지분 투자가 리튬 시장에 대한 중국의 지배력을 억제하는데 필요한 조치"라고 설명했으며, 아울러 "우리는 막대한 규모의 새로운 리튬 자원이 나오는 것을 볼 것이며 향후 2년 내에 이 광산에서 나오는 리튬이 수입 리튬을 대규모로 대체할 것"이라고 밝힘. 이에 리튬 아메리카스는 9월30일(현지시간) 뉴욕증시 시간외 거래에서 30% 넘게 급등했음.


▷한편, 리튬 아메리카스는 미국 네바다주에 위치한 미국 최대의 리튬 광산을 개발하는 섀커 패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9월23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지분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제기된 가운데 9월2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95.77% 급등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광무, 포스코엠텍, 미래산업, 하이드로리튬, 새빗켐, 앱튼, 중앙첨단소재 등 리튬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제이준코스메틱(025620) : 차바이오텍 계열사 차헬스케어, 동사 인수 예정 모멘텀 지속 등에 상한가

▷전일 언론에 따르면, 차바이오텍의 계열사 차헬스케어는 조만간 동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최대주주로 등극할 예정이라고 전해짐. 차헬스케어 외 다른 계열사도 이번 인수전에 참여할 예정이며,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1주당 3만원 안팎의 매매 대금을 지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짐.

▷전일 장 마감 후 기타자금 확보를 위해 와이투케이 컨소시엄 대상으로 40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8,874원, 전환청구일:2026-10-28 ~ 2028-09-28) 공시.


명인제약(317450)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58,000원을 상회한 119,8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중. 한편, 동사는 중추신경계(신경과, 정신과) 치료 약물 생산 및 판매업체로, 퇴행성질환인 치매, 파킨슨, 뇌전증등의 신경계 약물 시장과 정신질환인 조현병, 우울증, 불안 및 수면치료제 등의 정신계 약물 시장에서 국내 1위를 차지하고 있음. 또한, 잇몸약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한 '이가탄', 2015년 런칭한 변비약 '메이킨Q' 등 일반의약품 사업도 영위하고 있음.


SK디앤디(210980) : 한앤컴퍼니, SK디스커버리 보유 동사 지분 전량 인수 및 공개매수를 통한 자진상폐 추진 소식에 급등

▷최대주주 에스케이디스커버리 주식회사가 한앤코개발홀딩스 유한회사에 보유주식 5,821,751주를 742.27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공시.

▷이와 관련, 한앤코개발홀딩스 유한회사는 전자공시를 통해 동사 공동경영 지배주주인 SK디스커버리가 보유한 지분 전량(지분율 31.27%)을 주당 1만2,750원에 인수하는 내용의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아울러 잔여 상장 지분 전량을 공개매수로 취득해 자진 상장폐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언급. 주당 매매가격은 최대주주인 SK디스커버리 측 지분 인수가와 동일한 1만2,750원이며, 공개매수는 이날부터 오는 29일까지 진행될 예정.


두산(000150) : 전자BG 사업 지속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자BG 부문의 외형 성장 및 수익성 개선은 2027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는 현재 해당부문 성장을 이끌고 있는 네트워크 보드용 CCL의 Capacity가 2026년말까지 약 50% 증설이 예정되어 있는 점, 현재 전자BG 매출의 약 15~20%를 차지하는 반도체 패키지 CCL부문도 업황 개선에 따라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가 예상되는 점(과거 피크 사이클 대비 최근 매출은 약 50% 수준), AI 칩을 자체적으로 개발 및 공급하겠다는 빅테크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동사의 잠재 고객도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으로 분석.

▷전자BG 사업부문의 기업가치 증가 외에도 글로벌 원전 르네상스 시대의 도래와 로봇 시장의 확대에 따라 당사가 보유한 두산에너빌리티와 두산로보틱스의 지분가치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 특히, 이와 같은 흐름은 단기 테마성 이벤트가 아닌 중장기적인 변화라는 점에서 단기 Noise에 따른 주가 조정을 저가매수 기회로 활용할 것을 추천.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10,000원[유지]


GS리테일(007070) : '케데헌' 간편식 매출 급증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운영하는 편의점 GS25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컬래버 간편식이 외국인들의 '관광 필수템'으로 자리잡으며 인기를 끌고 있으며, 관련 상품들은 출시 2주만에 80만개 이상 판매되며 각 카테고리 매출 1위에 오른 것으로 전해짐. 지난달 17일 출시된 참치마요&전주비빔 반반김밥, 전주비빔&제육 커플 주 먹밥, 모둠 분식세트 등 케데헌 간편식 3종은 출시 첫날 5만개가 판매됐으며, 이어 지난달 24일과 26일 추가 출시된 불닭콘치즈 주먹밥, 클래식 핫도그 등 케데헌 컬래버 시리즈 5종은 출시 2주 만에 누적 판매량 80만개를 돌파했음.

▷GS25는 이러한 증가세가 케데헌 간편식이 외국인들에게 'K컬처 필수템'으로 인식됐기 때문이라고 설명.


콘텐트리중앙(036420) : 3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실적은 매출 3천억원(+31% yoy), 영업이익 27억원(흑전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방송의 경우 완연한 회복세로, 작품 수 상반기 6개, 하반기 13개이며, 예능도 풍부하다고 밝힘. 25년 주요 작품의 연평균 시청률은 6.8%(+1.1%p yoy)로 과거 평균 4.8%를 크게 상회한다고 언급. 아울러 극장의 경우 부진 점포 정리 등 수익 구조 개선으로 이익이 발생한다고 밝힘. 메가박스 관객수는 4Q 3천만명(+12% yoy) 포함 25E 1억명(-15%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하반기 개선 추세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7,000원[유지]


보령(003850) : 사노피(Sanofi)와 유방암 치료제 탁소텔(Taxotere)의 글로벌 비즈니스 인수 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사노피(Sanofi)와 유방암 치료제 탁소텔(Taxotere)의 글로벌 비즈니스 인수 계약의 건 체결 공시. 대한민국을 포함한 19개국 내에서 항암제 탁소텔(성분명 도세탁셀, docetaxel) 브랜드의 국내외 판권, 유통권, 허가권, 생산권, 상표권 등을 포함한 글로벌 비즈니스를 인수한다고 밝힘. 계약기간은 만료가 없고, 계약금액은 최대 2,877.87억원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김정균 동사 대표는 "이번 탁소텔 글로벌 비즈니스 인수는 보령이 처음으로 오리지널 의약품의 글로벌 사업권을 확보해 본격적인 해외 시장 진출을 여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단순한 기술 이전을 넘어 후속 제형 개발과 병용 전략, 새로운 적응증 연구 등 연구개발(R&D) 전반으로 확장해 탁소텔의 치료 가치를 발전시키겠다"고 밝힘.


크래프톤(259960) : 3분기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소폭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실적은 매출액 8,514 억원(+18.4% YoY, +28.6% QoQ), 영업이익 3,766 억원(+16.1% YoY, +53.1% QoQ), 지배주주순이익 2,716 억원(+122.4% YoY, +1691.0% QoQ)으로 영업이익은 컨센서스(3,530 억원)을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PC 매출은 3,166억원(+15.5% YoY)으로 에스파, 부가티, GD 콜라보를 진행해 전년 기저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지속 성장하고, 모바일 매출은 4,804 억원(+12.9% YoY)으로 펍지모바일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설명.

▷이어 PUBG IP 리소스 충원으로 4분기에도 프리미엄 차량 콜라보가 1회 더 예정되어 있어 4분기에도 견조한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올해 콘텐츠 수를 늘렸지만 여전히 유저들은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고 밝힘. 아울러 현 주가는 12MF P/E 13.0 배로 게임사 중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50,000원[유지]


한세실업(105630) : 관세 영향 본격화 속 3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118억원(-4%, yoy), 205억원(-55%,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관세 부과로 고객사 재고 축소에 따른 매출 감소와 비용 부담 영향으로 매출 원가율이 다시 한차례 더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여기에 현재 중미 현지법인 설비 확충으로 투자가 진행될수록 현지 비용, 인건비 등이 증가하며 원가율 상승 요인이 작용하는 것도 실적에 부정적 영향이라고 언급.

▷한편, 관세 영향은 2026년 상반기까지 지속되며 2026년 하반기부터는 실적 회복 가시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실적 회복이 내년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여 본격적인 주가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동사가 매년 주당 500원의 배당을 지급하는 점을 고려하면 주가는 당분간 횡보를 예상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원 -> 13,000원[하향]


화승엔터프라이즈(241590) : 관세 영향에 따른 3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248억원(-16%), 49억원(-7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2분기 오더 중 이연됐던 물량이 3분기 매출에 반영될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관세로 인한 고객사의 보수적인 재고 정책으로 3분기 매출 성장률이 예상 보다 크게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또한,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관세 부과가 시작되면서 고객사가 비용 부담을 벤더사에게 전가하는 과정에서 동사의 마진 하락이 불가피했던 상황이라고 설명.

▷아울러 2026년 상반기까지 관세 영향이 이어지면서 실적 회복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주가 흐름도 당분간 지지부진할 것으로 전망. 다만, 2026년 6월 북중미 월드컵 개막으로 2026년 상반기 중 고객사의 선제적인 재고 축소가 완료되고 본격적인 마케팅이 시작되면 2026년 2분기부터 수주 증가와 이에 따른 마진 회복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000원 -> 9,000원[하향]


엑시큐어하이트론(019490) : 최대주주 및 경영권 변경 수반 유상증자 결정 속 약세

▷최대주주 및 경영권 변경을 수반하는 유상증자 결정 공시. 이와 관련,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그로우스 앤 밸류 16호 투자조합 대상 12,195,121주(7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656원, 상장예정:2026-02-16) 공시.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그로우스 앤 밸류 15호 투자조합 대상 15,243,902주(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656원, 상장예정:2025-12-02) 공시.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탑런토탈솔루션(336680) : 中 지리자동차 주요 차종 적용 14.6인치 중앙 컨트롤 디스플레이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국 완성차 업체 지리자동차(GEELY) 주요 차종에 적용될 14.6인치 중앙 컨트롤 디스플레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수주는 중국 현지 고객사인 '스마트 윈(SMART WIN·骏成)'을 통해 지리자동차의 주요 모델에 적용된다며, 공급 대상 제품은 14.6인치 중앙 컨트롤 디스플레이로 차량 내 주요 주행 및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핵심 전장 디스플레이라고 설명.

▷계약에 따라 동사는 월 4만 대, 총 3년간 140만 대 규모의 제품을 공급하며, 양산은 내년 1분기부터 중국 남경 탕산 인근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라고 언급. 이번 계약은 지난달 체리자동차(CHERY) 전기차 라인업에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공급 계약을 체결한 데 이은 성과로 중국 주요 완성차 업체와의 연속적인 협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힘.

▷이와 관련, 박영근 동사 대표이사는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연이은 성과를 거둔 것은 회사의 글로벌 성장 전략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대형 전장 디스플레이 분야의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중국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외 고객사와 협력해 차량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존재감을 더욱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밝힘.


기가비스(420770) : AI 가속기향 수주 확대로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CoWoS용 인공지능(AI) 가속기향 플립칩 볼그리드 어레이(FC-BGA)의 경우 공급사 다변화가 이뤄지면서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 특히, ASIC 진영에서 벤더 다변화 움직임이 가속화되는 흐름이라며, 이는 기존 선두업체들이 엔비디아향 GPU 패키지 기판 수요 대응에 집중하고 있고 주요 원재료 수급이 타이트하게 유지되고 있는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분석. 이로 인해 ASIC향 공급 확대를 추구하는 전방 업체들의 가동률이 상승하고 투자 니즈가 확대되고 있다며, 일부 고객사와는 구체적인 협의 단계에도 진입한 것으로 파악돼 점진적인 AI 가속기향 수주 확대로 동사 매출은 25년 515억원(+97.0% YoY), 26년은 635억원(+23.3% YoY)으로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기존 FC-BGA 검사 장비 외에도 PLP(Panel-Level Package) RDL 검사 장비 신제품을 개발 중이라며, 기존에는 WLP용 장비를 중심으로 개발했으나, PLP로 전략을 전환하며 고객사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고 언급. 이어 내년에는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되며, 매출 발생 시 동사의 반도체향 진입이 현실화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밝힘.


리가켐바이오(141080) : ESMO 2025서 넥틴-4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 전임상 연구결과 처음 공개 소식 등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10월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넥틴-4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 전임상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할 것으로 전해짐. 이번 학회에서 동사는 넥틴-4 ADC 연구결과를 포함해 파트너사가 개발중인 총 4건의 포스터를 발표할 예정임.

▷HER2 ADC 후보물질 'LCB14(Caxmotabart Entudotin)'의 글로벌 임상1상 중간분석 결과와 HER2 ADC 후보물질 'FS-1502'의 중국 위암 임상2상(단독/병용요볍) 중간분석 결과가 공개될 예정. HER2-ADC는 올해 7월 열렸던 '리가켐 글로벌 R&D Day'에서 초기결과를 공개했던 글로벌 임상1상의 업데이트된 결과를 파트너사인 익수다 테라퓨틱스(IKSUDA)에서 발표할 예정이며, 중국 임상2상은 지난 ASCO 2024에서 공개됐던 위암 단독 임상 결과에 대한 업데이트와 함께 면역항암제인 '서플루리맙(serplulimab)'과의 병용요법 결과도 파트너사인 포순제약(Fosun)에서 공개할 예정.


고영(098460) : 하반기 매출, 수익성 회복 전망 등에 강세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 영업환경 개선 영향으로 2H25 매출액 17.6%, 영업이익률 7.8%pt 각각 전년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 동사의 비용단은 고정비적 성격이 강해 매출이 성장하면 수익성이 개선되기 쉬운 구조이며, 최근 신사업에 필요한 연구개발과 투자가 마무리되어 비용 감축 추세라고 분석. 연구개발비 최근 3년 분기당 110~120억원 수준에서 올해 1분기 92억원, 2분기 81억원으로 축소되었으며, 12MF PER 53배로 높은 편이나, 실적 개선 동반하며 고평가 해소될 전망.

▷한편, 올해 1월 뇌수술용 의료로봇 미국 FDA 획득 이후 도달한 주가 고점 대비 30% 이상 하락했으며, 현 주가는 과거 5년 평균 PBR에 해당하여 선반영 부담은 감소. 올해 10~11월 일본 허가 획득, 내년 한, 미, 일 30대 수술로봇 판매가 목표이며, 수술로봇의 성과는 중장기적으로 주가 하단을 높여 갈 전망.


뉴로메카(348340) : 국내 최초 '100% 부품 내재화 액추에이터' 협동로봇 공급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협동로봇 및 산업용 휴머노이드 적용을 위해 100% 자체 개발한 액추에이터 '뉴로드라이브'를 적용한 협동로봇 '옵티3(OPTi3)'를 공급한다고 밝힘. 이는 국내 로봇 기업 최초로 감속기-모터-드라이브 전(全) 부품 내재화에 성공해 제조 공정 자동화 레퍼런스를 확보하게 될 첫번째 사례이며, 향후 정밀 위치 및 힘제어가 중요한 뉴로메카의 협동로봇 라인업 전체로 확장할 계획.

▷이와 관련, 박종훈 대표이사는 "뉴로드라이브는 한국 로봇기업이 핵심 부품까지 내재화해 글로벌 시장에 진입할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대한민국 로봇산업에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로봇플랫폼 파운드리 서비스를 위해 관련 생태계 구축에 힘쓸 생각"이라고 밝힘. 이어 "'메이드 인 코리아'를 넘어 '메이드 인 뉴로메카'인 뉴로드라이브를 앞세워 글로벌산업용 휴머노이드 액추에이터 공급망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임.


지니너스(389030) : AI 접목 신약개발 전략 공개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9월30일 열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KSMCB 2025)'에서 공간오믹스(Spatial Omics)와 AI를 접목한 신약개발 전략을 공개했다고 밝힘. 이번 발표에서 동사는 AI 기반 신약개발 토털 솔루션, 대장암 면역항암제 반응 규명 연구, RNA·단백질 동시 분석 플랫폼인 '스페이스인사이트(SPACEINSIGHT)'를 소개하며, 임상 실패율을 낮추고 환자 맞춤형 치료를 앞당기겠다는 포부를 밝혔음. 또한, 한국과 일본의 주요 병원과 협력해 임상 주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약 후보 발굴부터 임상 설계, 환자 선별까지 원스톱 지원이 가능하다고 설명.

▷동사 관계자는 "RNA·단백질·병리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고 AI를 결합해 신약개발 성공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며, "이번 'KSMCB 2025' 발표는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 기반을 확장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힘.


엑셀세라퓨틱스(373110)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유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2,455원임.


바이젠셀(308080) : 테라베스트와 NK세포치료제 공동개발계약 체결에 상승

▷테라베스트와 iPSC(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NK세포치료제 공동개발계약 체결 공시. 이와 관련, 간세포암 적응증 대상의 GPC3 CAR 발현 iPSC(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NK세포치료제 TB-420에 대한 공동개발계약으로, 동사는 테라베스트에 계약금 및 임상개발 단계별 마일스톤을 지급하며, 국내 임상비용을 부담할 계획. 또한, 향후 제품화에 따른 수익 및 개발 과정에서 제3자에게 기술이전 및 자체 매출 발생 시 수익금을 배분하여 수취할 예정임.


실리콘투(257720) : 3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은 3,104억원(+66.3% YoY), 영업이익은 632억원(+48.4% YoY, OPM +20.4%)으로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3.6% 상회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2024년 4분기 기점으로 부진했던 동사의 미국 매출 또한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걸로 추정하며 3분기 미국 매출은 전분기대비 +33.3% 증가한 564억원(-5.9% YoY)을 예상한다고 밝힘.

▷또한, 화장품 기업들이 아쉬운 2분기 실적을 기록한 와중에 8월 화장품 수출 데이터까지 부진하면서 섹터의 투자 심리가 훼손되었으며, 특히 폴란드의 수출 데이터 회복이 더디면서 동사의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힘. 동사는 폴란드 물류센터에서 유럽 내 다양한 국가로 제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사업을 확장하는 초창기에는 단일 국가인 미국처럼 재고를 빠르게 소진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 다만, 재고를 소진하는 과정에서 수출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부진할 수 있으며, 이를 동사의 유럽 매출 부진으로 연결 짓는 것은 과도하다고 밝힘. 25년 3분기 유럽 매출은 2분기대비 +20.3% 증가한 1,290억원(+200.8% YoY)을 예상.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3,000원 -> 60,000원[상향]


씨어스테크놀로지(458870) : '씽크' 수주잔고 1만3,000병상 돌파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달 말 기준으로 입원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씽크'의 누적 수주잔고가 1만3,000병상을 돌파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상반기까지 누적 3,000병상을 설치한 데 이어, 하반기에만 1만병상 이상을 신규 수주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 동사는 확보한 수주 병상을 빠르게 씽크 플랫폼으로 전환해 연내 국내 주요 병동에 대한 보급 속도를 높일 계획임.

▷한편, 씽크는 환자의 심전도, 산소포화도, 혈압, 체온 등 주요 생체신호를 웨어러블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병동 중앙 모니터에서 24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병상 시스템이며, 전자의무기록(EMR)과 연동이 가능해 병원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가장 큰 강점임. 특히, 환자 안전 관리와 병상 운영 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어 의료 현장에서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동사 관계자는 "씽크의 누적 수주잔고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3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이어가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며, "4분기에는 모비케어검사 건수의 큰 폭 증가가 더해져 2009년 창사 이래 최대 실적 달성이 기대된다"고 밝힘.


앱클론(174900) : 252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등에 상승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디에스씨홈런펀드제2호 등 대상으로 252.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8,223원, 전환청구일:2026-10-28 ~ 2055-09-28) 공시.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디에스씨홈런펀드제2호 등 대상 우선주 592,655주(107.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8,223원, 상장예정:-) 공시.


큐라클(365270) :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 모멘텀 보유 분석 등에 소폭 상승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솔바디스, 이글스 두 플랫폼을 통해 미충족 수요가 높고 고성장이 예상되는 혈관내피 기능장애 차단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며, 세계 최초 경구용 습성 황반병성 및 당뇨병성 황반부종 치료제 Rivasterat ‘CU06’ 및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CU01’ 등 난치성 혈관 치료 후보물질 8개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맵틱스(지분 19.1%)와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서도 항체 신약 8개 파이프라인을 확보했다며, 이처럼 16개의 다양한 경구용 및 항체 신약 후보물질에서 향후 글로벌 First–in–Class 신약이 탄생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밝힘.


소룩스(290690) : 합병추진 아리바이오, 탈모 기능성화장품 '텔로액트' 식약처 허가 획득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와 합병을 추진중인 아리바이오는 언론을 통해 탈모 증상 완화 신기술이 적용된 솔루션 '텔로액트(Teloact)'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탈모 기능성화장품 허가를 받았다고 밝힘. 아리바이오는 신득용 전 단국대 교수팀과 산학 연구를 통해 모낭 줄기세포 활성화를 유도하는 특허 원료 개발에 성공했으며, 연구팀은 5년 간의 연구와 임상시험을 거쳐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했다고 알려짐. 현재 6건의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했고 올해 안으로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12개국에 국제 특허 출원을 진행할 예정임.

▷이와 관련, 서보승 아리바이오 바이오메디컬 연구소장은 "'텔로액트 식약처 허가로 국내외 시장에서 매출 확대를 본격화할 수 있는 핵심 성장 동력을 추가 확보했다"며, "글로벌 시장에 기능성 화장품을출시한 후 탈모 전문 의약품 개발 연구도 착수할 것"이라고 밝힘.


오성첨단소재(052420) : 100억원 규모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를 위해 한국채권투자운용(주) 대상으로 10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715원, 전환청구일:2026-10-23 ~ 2028-09-23) 공시.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