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9.30 오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9-30 14:51
조회수 :
216

오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마리화나(대마), 조선, 조선기자재, 타이어,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전선, 니켈, LNG(액화천연가스),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철강 중소형, 피팅(관이음쇠)/밸브, 김밥(냉동김밥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카메라모듈/부품, 시스템반도체, 미용기기, 바이오인식(생체인식), 탈모 치료 등...


약세 테마 : 스테이블코인, NI(네트워크통합), 지역화폐, 전자결제(전자화폐), 애플페이, 퓨리오사AI, 핀테크(FinTech), 웹툰, 밥솥, STO(토큰증권 발행), 삼성페이, NFT(대체불가토큰), 가상현실(VR), 손해보험, 쿠팡(coupang), 음원/음반, 마이데이터, 전기차 화재 방지(배터리 열폭주 등), 리튬, 유심(USIM), 정유, SI(시스템통합), 무선충전기술, LPG(액화석유가스),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등...




[특징 테마]

양자암호/양자컴퓨팅 : 산업부, 양자기술 산업화 포럼 개최 속 상승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서울 롯데호텔에서 소부장 공급·수요기업, 학계, 산·학·연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양자기술 산업화 포럼'을 열고 양자 소부장 생태계 활성화와 공급망 자립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힘. 이번 포럼은 양자컴퓨터 제조사의 소부장 수요와 국내 공급기업 현황을 공유하고 양자 소부장 국산화를 앞당기기 위한 R&D, 실증기반 조성, 표준화 전략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음.


▷종합 토론에는 소재(우리로), 부품(Withwave), 통신장비(코위버), 제어 솔루션(SDT) 등 각 분야 양자 소부장 공급기업 대표들이 패널로 참석해 국내 양자 공급기업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산업수요 창출의 필요성과 글로벌 양자기술 패권 확보를 위한 핵심 소부장 국산화 방안 등 현장에서 느끼는 다양한 정책 요구사항을 제언했음. 산업부 관계자는 "양자 소부장은 수요와 공급이 긴밀히 연계돼야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라며, "극저온, 레이저, 광학, 반도체 기판 등 주요 품목의 국산화를 지원하고, 소부장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을 기반으로 실증 환경을 확충해 우리 기업의 소부장 기술이 조속히 상용화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포톤, 아이씨티케이, 아이윈플러스, 라닉스, 에이엘티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상승.


석유화학 : 업황 부진 지속 속 공급 과잉 장기화 전망 등에 하락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석유화학산업 다운사이클은 이미 4년째 지속되고 있는데, 여전히 반등의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고 밝힘. 2022년 이후 수요 개선과 유가 하락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업황은 여전히 부진하다고 언급.


▷특히, 문제는 공급이라며, 2025~2027년에도 중국 중심의 증설 사이클이 지속되면서 공급 과잉 상황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 구조조정 기대감과 달리 중국의 감산 의지는 포착되지 않는 상황에서, 신규 증설 전망치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밝힘. 중국의 2025~2030년 에틸렌 증설 규모 전망치는 2024년 8월 기준 1,943만톤에서 2025년 8월 2,782만톤으로 43% 높아졌고, 이와 함께 PE, PP 등 다운스트림 제품 생산설비 증설 전망치도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


▷이 같은 분석 속 SK케미칼, 롯데케미칼, 코오롱인더, 그린케미칼, 태광산업, 이수화학 등 석유화학 테마가 하락.


영화/ 영상콘텐츠 : 트럼프 대통령, 미국 밖에서 만든 영화에 100% 관세 예고 속 하락

▷2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밖에서 만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 부과를 예고했음.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을 통해 "우리의 영화 제작 사업은 아기한테서 사탕을 훔치는 것처럼 미국이 다른 나라들에 도둑맞았다"고 주장했으며, "나약하고 무능한 주지사를 둔 캘리포니아주가 특히 세게 타격을 입었다. 그러므로 난 이 오래됐고 끝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밖에서 만든 모든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힘.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밖에서 만든 영화'의 기준과 관세 부과 일정 등을 구체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았음.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에도 미국 영화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지만, 영화업계 반발에 부딪혀 하루 만에 번복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CJ ENM, 덱스터, NEW, 쎄니트, 콘텐트리중앙, 캔버스엔, 큐로홀딩스, 키이스트 등 영화/영상콘텐츠 테마가 하락.


해운 : 컨테이너 운임 조정세 지속 전망 등에 하락

▷삼성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컨테이너 운임 조정세가 장기화되고 있으며, 벌크 운임이 견조하긴 하나 성수기 이후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특히, 3Q25 평균 BDI는 1,972포인트로 전분기 대비 34% 상승했으며, 전통적인 계절성에 따라 1분기 이후 지속 개선 중인 반면,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성수기 임에도 불구하고 전분기 대비 10% 하락한 1,481포인트에 그치면서 3Q24 이후 4개 분기 연속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 9월 말 SCFI가 1,115포인트로 23년 1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중인데, 신조 인도에 따른 공급 과잉과 미국의 고관세 정책에 따른 수요 위축, 그리고 중국의 국경절 연휴를 앞둔 선사 간 물량 확보 경쟁이 운임 하락을 가속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전통적인 성수기 구간마저 끝나 감에 따라 당분간 SCFI의 조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


▷이어 미국의 고관세 정책에 따른 수요 불확실성과 신조 인도 지속에 따른 공급 과잉 우려가 상존한다고 밝힘. Clarksons에 따르면 컨테이너 물동량이 2.7%씩 증가하여 2026년 2억 2,520만 TEU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벌크는 58억 DWT(연평균 -0.2%)으로 성장이 정체될 것으로 예상되어 공급 우위 시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아울러 9월 누적 기준 월평균 수에즈 운하 통과 화물량이 여전히 4,700만 DWT 수준으로 2023년 평균 1억 5,600만 DWT의 30% 수준에 불과하다며, 따라서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시 톤-마일 감소에 따른 선복 확대 효과가 해상운임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HMM, 팬오션, STX그린로지스, 흥아해운 등 해운 테마가 하락.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KCC(002380) : 자기주식 활용계획 철회에 강세

▷수시공시의무관련사항(공정공시) 정정공시. 정정사유는 자기주식 활용계획 철회 안내로 기공시한 자기주식 활용계획(자기주식 소각, 교환사채 발행,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에 대해 전면 철회하기로 결정.

▷한편, 지난 24일 동사는 25년 4분기에 약 882,300주(총발행주식의 약 9.9%) 교환사채(EB)를 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음. 또한, 약 300,000주(총발행주식의 약 3.4%)를 사내근로복지기금으로 출연하고 약 350,000주(총발행주식의 약 3.9%)를 소각할 계획이었음.


휴니드(005870) : The Boeing Company와 757.21억원 규모 H-47 항공전자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The Boeing Company와 757.2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2.81%) 규모 공급계약(H-47 항공전자장비 공급) 체결(계약기간:2025-09-29~2032-04-01) 공시.


삼성중공업(010140) : 2,373억원 규모 원유 운반선 2척 수주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세아니아 지역 선주로부터 원유 운반선 2척을 2,373억원에 수주했다고 밝힘. 이 선박은 2028년 5월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며, 동사는 이번 계약으로 총 50억달러를 수주해 연초 제시한 연간 수주 목표 98억달러의 51%를 달성했다고 언급. 선종 별로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7척, 셔틀탱커 9척, 컨테이너선 2척, 에탄운반선 2척, 원유운반선 6척, 해양생산설비 1기 예비 작업계약 등 총 27척이라고 설명.


엘앤에프(066970) : 3분기 흑자전환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 실적을 기점으로 불확실성이 빠르게 소멸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3Q25 매출액은 6,626억원(YoY +88.4%), 영업이익은 106억원(YoY 흑전)을 기록할 것이라고 밝힘. 특히, 영업이익은 지난 3Q23이후 최초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언급. 동사의 최전방 고객사인 미국 EV업체의 SUV모델 신차효과가 재현되기 시작했으며, 3Q25 기준 양극재 불륨은 QoQ +30% 이상 기록한 것으로 추정.

▷한편, 소재 업체 전반으로 GM, BMW의 파이프라인 영향을 받는 가운데, 동사의 경우 차별화된 외형 흐름이 하반기에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동사는 현재 ESS에 대한 노출이 거의 없으나, 2026년 들어서는 ESS 수요반등의 행보에 참여가 기대되며, 수여처별 근황을 고려시, 업황이 저점을 통과한 시그널이 다방면에서 확인되기 시작했다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5,000원 -> 105,000원[상향]


코스맥스(192820) : 3분기 영업이익 컨센 하회 전망 등에 약세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E 실적은 매출액 5,780억원(+9% YoY), 영업이익 520억원(+20% YoY)으로 영업이익 시장기대치 589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실적 부진의 핵심 요인은 8월 수출 둔화와 색조 카테고리 약세로 판단된다고 밝힘. 제품 믹스 측면에서는 선케어 성수기(2Q) 이후 계절적 매출 둔화가 불가피했고, 마스크팩·겔 시리즈 등 원가율이 높은 품목 비중이 유지되며 수익성 개선 폭은 제한될 것으로 전망.

▷다만, 9월 들어 재주문이 유입되며 월별 출하량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거래선 재고 조정이 마무리되며 4분기에는 블랙프라이데이·아마존 프라임데이 등 주요 시즌성 이벤트를 앞두고 수요 모멘텀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88,000원[유지]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KS인더스트리(101000) : 유상증자를 통한 최대주주 변경 및 경영진 교체 추진 소식에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자이언트케미칼 대상 6,195,146주(80.04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292원, 상장예정:2025-11-07) 정정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유상증자를 통한 최대주주 변경과 경영진 교체를 추진한다고 밝힘. 절차가 마무리되면 소재 관련 기업인 자이언트케미칼이 최대주주에 올라 경영권을 확보할 예정임. 아울러 정관 변경과 경영진 교체 등을 골자로 한 임시주주총회 안건도 확정했으며, 새로운 경영진은 강동균 대표를 비롯해 자이언트케미칼 인사가 다수 포함됐음.

▷한편, 동사 관계자는 "지난 10일에 합류한 이사진들과 기존 이사진 모두 유상증자 납입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지만 납입이 계속지연된 것은 유감"이라며, "이사회에서 유상증자의 계속되는 연기에 따른 최근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결단을 내린 것으로 안다"고 밝힘.


라메디텍(462510) : 레이저 채혈·혈당측정 의료기기 식약처 인허가 신청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레이저 채혈 기반 혈당측정기 '핸디레이 글루(HandyRay-Glu)'가 고려대 안산병원에서 진행된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정식 인허가를 신청했다고 밝힘. 연말까지 인허가 절차 완료를 기대하며, 내년 초 국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언급. 또한, 향후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 CE 등 해외 인증 절차를 진행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핸디레이-글루는 일상에서 환자 스스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혈당을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며, "국내 시장은 물론 글로벌 당뇨 관리 시장에서도 변화를 이끌어갈 것"이라고 밝힘.


피플바이오(304840) : 혈액 기반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 제품, 中 하이난 의료특구 허가 소식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개발한 혈액 기반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 검사가 중국 하이난 자유무역항 러청 의료특구의 최종 승인을 획득한 것으로 전해짐. 혈액 기반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 제품 ‘알츠온 플러스’(알츠온의 수출 제품명)는 지난 23일 하이난성 약품감독관리국으로부터 공식 승인 통보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번 진출을 교두보 삼아 내년 상반기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품목허가에 도전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지난 5월 초 처음 허가를 신청한 지 4개월여 만의 성과이며, 이번 승인으로로 동사는 현지 대형 병원에 센트럴 랩(Central Lab)을 설치하고 곧바로 수탁검사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게 됐음.


로킷헬스케어(376900) : 자회사 로킷제노믹스,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서 '공간전사체 분석' 서비스 론칭 소식 속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정밀 오믹스 분석 전문기업 로킷제노믹스가 내달 2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개최되는 '2025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KSMCB 2025)'에 참가해 최신 '공간전사체 분석(Spatial Transcriptomics)' 서비스를 론칭한다고 밝힘. 공간전사체 분석은 기존의 유전체 분석 기술을 넘어 조직 내 세포의 유전자 발현 정보를 위치 정보와 함께 파악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임.

▷이와 관련, 로킷제노믹스 관계자는 "이번 학술대회 참가를 통해 국내 최고의 연구자들에게 로킷제노믹스의 앞선 기술력과 분석 노하우를 선보일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조직의 형태학적 정보와 전사체 데이터를 결합한 공간전사체 분석 서비스가 다양한 생명과학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핵심적인 도구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힘.


플레이위드(023770) : ‘로한2 글로벌’ 글로벌 정식 서비스 개시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넥써쓰와 공동 퍼블리싱하는 글로벌 MMORPG ‘로한2 글로벌’의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힘. 지난 5일 사전예약 시작 이후 11일 만에 글로벌 사전예약자 수 150만명을 돌파했으며, 정식 서비스 시점 기준으로 300만명을 넘어선 바 있음. 게임 내 핵심 재화인 ‘루비(Ruby)’의 사전 판매 역시 큰 호응을 얻으며 1~2차분 완판에 이어 3차 분도 판매가 성황리에 진행됐다고 언급.


SAMG엔터(419530) : '캐치! 티니핑' 시즌6 4분기 방영 예정 속 애니멀 하츄핑 품절 대란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기 애니메이션 '캐치! 티니핑'의 여섯 번째 시즌 '프린세스 캐치! 티니핑'이 올 4분기에 방영될 예정인 가운데, 시즌을 기다리는 팬들의 관심 속에 진행된 완구 프리오더와 애니멀 하츄핑굿즈도 잇달아 품절을 기록했다고 밝힘. 특히, 지난 18일 공개된 '하츄핑 애니멀 시리즈 서프라이즈 플러시 키링'은 사전 판매 하루 만에 완판돼 추가 주문 요청이 쇄도했으며, 24일 진행된 2차 판매분도 6시간 30분 만에 모두 소진됐다고 설명. 이어 23일 출시된 버니 하츄핑 인형 역시 사전 예약 물량이 모두 팔렸다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완구와 굿즈의 예상 물량이 단기간에 소진된 것은 시즌6에 대한 팬들의 기대와 함께 IP 타깃 연령층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프리오더 성과가 다가올 방송과 10월 완구 판매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밝힘.


툴젠(199800) : 中 유전자가위 특허 판결서 CVC 패소 소식 속 동사 선출원 지위 확보 기대감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근 중국 지식재산권법원이 크리스퍼 캐스9(CRISPR-Cas9) 원천 특허 무효 소송에서 다우드나 교수 등 노벨상 수상자들이 포함된 캘리포니아대그룹(CVC)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다고 전해짐. 법원은 CVC가 세균처럼 단순한 원핵세포 수준의 실험만 했을 뿐 사람이나 동물처럼 복잡한 진핵세포에서 실제로 작동한다는 근거를 충분히 제시하지 못했다고 판단했으며, Cas9 단백질이 DNA를 정확히 자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PAM’이라는 짧은 염기서열에 대한 설명도 부족하다고 본 것으로 알려짐.

▷CVC가 기술을 완전히 입증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서 먼저 구현해 특허를 낸 동사의 기술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CVC의 우선권이 중국에서 인정되지 않았다는 건 동사의 출원이 가장 빠르다는 뜻”이라며, “중국이 선출원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만큼 동사가 진핵세포 단계의 원천특허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힘.


제테마(216080) : 라틴 아메리카서 제15회 JAM 학술 심포지엄 성료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 학술 심포지엄 Jetema Academic Meeting(이하 JAM) 제15회 학술 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힘. 이번 JAM은 동사 제품을 활용한 최소 침습ㆍ최대 효과 전략을 공유하며 동사의 글로벌 리더십과 국제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JAM 웨비나는 단순한 제품 설명을 넘어 실제 시술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안티에이징 설루션에 대한 의료진의 이해와 신뢰를 더욱 심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JAM을 미용성형 분야 의료진을 위한 대표 글로벌 학술 교류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동사 제품의 실질적 가치와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고 글로벌 안티에이징 설루션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힘.


한국맥널티(222980) : 자회사 맥널티제약, 신의료기기 '엔도알컴' FDA 승인 신청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의 자회사 맥널티제약은 언론을 통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점막하 주입용 신의료기기 ‘엔도알컴(EndoAlcom)’에 대해 지난 29일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힘. 이번 FDA 신청은 국내 임상 및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첫 단계로, 향후 미국을 포함한 세계 소화기 내시경 의료기기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

▷아울러 맥널티제약은 FDA 승인 절차와 함께 유럽 CE 인증 및 아시아 주요국 허가 절차도 병행하여 준비 중이며,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힘. 또한, 해외 유통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미국과 유럽 현지 시장에서 조기 공급망을 구축하고, 글로벌 학회 및 전시회 참가, 의료진 대상 시연 프로그램을 통해 제품 인지도와 시장 수요를 빠르게 확보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짐.


그린리소스(402490) : 84.80억원 규모 팜혼합물 단기 물품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미라클에너지와 84.8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93%) 규모 공급계약(팜혼합물 단기 물품) 체결(계약기간:2025-09-30~2025-12-29) 공시.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