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9.25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9-25 11:27
조회수 :
217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인터넷 대표주, 캐릭터상품, 토스(toss), 강관업체(Steel pipe), 웹툰, 자원개발, 남-북-러 가스관사업, 4대강 복원, 태풍 및 장마, 리튬,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2차전지(생산), 자전거, IT 대표주,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영상콘텐츠, 2차전지(나트륨이온), 스테이블코인, 전기자전거, 광고, 철강 중소형, 엔터테인먼트,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


약세 테마 :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두나무(Dunamu), HBM(고대역폭메모리),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제대혈, 뉴로모픽 반도체, 유심(USIM), 유리 기판, 건설 대표주,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원자력발전소 해체,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갤럭시 부품주, 3D 낸드(NAND), 생명보험, 야놀자(Yanolja), 유전자 치료제/분석, 영화, 전선, 휴대폰부품, 반도체 장비, 전력설비 등...




[특징 테마]

알래스카 LNG 관련주 : 美 에너지부, 한국 기업과 알래스카 LNG 송유관 건설 사업 참여 여부 협의 소식 등에 상승

▷24일(현지시간)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이 뉴욕 외신센터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추진 중인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송유관 건설 사업에 한국 기업과 참여 여부를 협의 중이라고 밝힘. 라이트 장관은 "알래스카 LNG 사업의 가능성은 상당히 강해 보이며, 이 프로젝트는 향후 12개월 내로 착공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건설에는 몇 년 걸리겠지만, 가장 큰 장점은 동아시아의 일본 같은 우리의 훌륭한 동맹국까지 선박 운송 거리가 매우 짧다는 것이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그곳에서 생산될 가스는 다른 어떤 LNG 수출 터미널에서 나오는 가스보다 비싸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


▷해당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북단 프루도베이 가스전에서 추출한 천연가스를 송유관을 통해 앵커리지 인근 부동항까지 나른 뒤 액화해 아시아 등으로 수출하는 것임. 라이트 장관은 "다행스럽게도 우리는 50년 전 석유 수출을 위해 알래스카 북부 사면에서 해안 지역까지 석유 파이프라인을 건설했다. 2년 만에 건설했다"고 언급했으며, 프로젝트에 자본을 댈 주체로 "미국 기업과 아시아 기업이 혼합된 형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확신한다. 미국 에너지부가 신용 지원 등으로 일부를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


▷한편, 24일(현지시간) 대한민국 유엔대표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접견, 한미 간 관세협상에 대해 논의했음. 베선트 장관은 "미국이 핵심 분야로 강조하는 조선 분야에서 한국의 투자 협력이 매우 중요하며 적극적인 지원에 감사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트럼프 대통령 역시 한국이 미국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조선 분야에서 한국이 매우 중요한 파트너’라고 강조한 바 있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KBI동양철관, 하이스틸, 넥스틸, 이렘, 이엠코리아, 화성밸브, 성광벤드, 하이록코리아 등 알래스카 LNG 관련주가 상승.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HD현대마린솔루션, 한화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도 상승.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 삼성전자 AI 로봇 기대감 및 휴머노이드·로봇 산업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근 전자파 인증을 마친 삼성전자의 '홈 로봇'이 AI 로봇 '볼리(Ballie)'인 것으로 기정사실화되고 있다고 전해짐. 지난 17일 삼성전자는 모델명 'RO-BDF'의 전자파 인증 절차를 완료했으며, 해당 제품의 이름은 '홈 로봇'으로 등록돼 볼리가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왔음. 특히, 삼성전자는 파생모델로 'RO-BDFA'와 'RO-BDFAXKR'도 등록했다고 알려짐.


▷지난 23일(현지시간) 글로벌 투자은행 모간스탠리에 따르면, 2050년 4조7천억 달러(약 6,5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상당한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휴머노이드 로봇만으로 2050년 1,660억 달러에서 최대 5,060억 달러의 매출을 만들 기회가 있다며, 평균으로 삼성전자는 약 2,710억 달러(약 378조 원)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분석. 특히, 인공지능(AI)과 반도체, 가전 등에서 역량을 보유한 삼성전자는 가정용 휴머노이드 시장에서 15%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휴머노이드·로봇 산업 성장 기대감도 지속되고 있음. 근무시간 단축, 상법 및 노란봉투법 개정, 주요 기업 파업 여파 등으로 향후 산업 현장에서 자동화 부분에 투자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최근 대신증권은 휴머노이드·로봇 분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분석했으며, 현대모비스의 생산 전문 자회사인 모트라스와 유니투스가 전일부터 주야간 4시간씩 부분 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파업 영향에 따른 현대차 그룹 완성차 생산 중단 소식 속 무인 자동화 시스템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한편, 전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휴머노이드 로봇이 적용될 수 있는 현장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국내 최초로 실증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힘. 로봇산업진흥원은 의료, 자동차, 조선 등의 분야에 대해 3개 지원 과제를 확정했으며, 우선 항공, 의료 분야에는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주관하고 성균관대, 부산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이 자율 수술 작업에 필요한 영상언어액션(VLA) 모델 학습과 수술용 그리퍼 정밀 제어 기술을 실증한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레인보우로보틱스, 삼현, 이랜시스, 클로봇, TPC, 에브리봇, 에스비비테크, 두산로보틱스, 유디엠텍, 휴림로봇, 티로보틱스 등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리튬 : 리튬 아메리카스(+95.77%), 美 정부 지분 투자 추진 속 폭등 영향 등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캐나다 광산업체 리튬아메리카스의 지분 인수를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짐. 트럼프 행정부는 최대 10%의 지분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번 제안은 백악관과 리튬아메리카스가 미 네바다주의 리튬 광산 개발 사업인 ‘태커패스’에 대한 미 에너지부(DOE)의 대출 조건 재협상 과정에서 이뤄졌고 대출 규모는 약 22억 달러라고 전해짐. 미국 정부가 캐나다 기업에 대해 지분 투자를 제안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를 통해 희토류를 비롯한 핵심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려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리튬 아메리카스 주가는 95.77% 폭등했으며, 시그마 리튬 코퍼레이션(+7.62%), 알버말(+1.82%) 등 리튬 관련주도 상승 마감하는 모습.


▷한편, 이날 하이드로리튬은 언론을 통해 네바다리튬리소시스(Nevada Lithium Resources Inc.)와 손잡고 전웅 박사가 개발한 리튬추출 특허기술(CULX)를 이용해 핵심광물(Critical Minerals)을 추출하기로 하는 의향서(Letter of Intent; LOI)를 체결했다고 밝힘. 전웅 하이드로리튬 대표는 "미국에는 리튬을 포함한 많은 핵심광물 자원들이 대량 매장되어 있으나 경제적으로 핵심광물을 추출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우리 CULX 기술을 이러한 미국 핵심광물 자원들에 적용하면 경제성 있게 핵심광물들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의향서 체결을 통해 우리나라 기술로 미국 천연자원으로부터 핵심광물을 생산할 수 있다면 국내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는 것일 뿐 아니라 미국 내 핵심광물 생산에 따른 관세 면제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하이드로리튬, 리튬포어스, 유일에너테크, 포스코엠텍, 새빗켐, 퓨스코퓨처엠, LG에너지솔루션, 천보 등 리튬 테마가 상승.


2차전지/ 전기차 등 : 테슬라(+3.98%) 3분기 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현지시간 24일 울프 리서치는 테슬라에 대해 예상보다 강력한 3분기 실적이 기대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울프 리서치는 테슬라의 3분기 차량 인도 대수가 46만5천대~47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는 2분기 대비 22% 증가한 수준이고 컨센서스인 44만5천대를 대폭 상회. 이어 중국 인도 대수가 기존 전망치보다 약 1만대 많은 16만5천대~17만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미즈호증권은 테슬라 목표주가를 기존 375달러에서 450달러로 상향 조정한 것으로 전해짐. 비제이 라케시 미즈호증권 애널리스트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의 10억 달러 규모 자사주 매입과 1조달러 규모의 신규 급여 안이 테슬라 주가를 급등하게 하고 있다"며 "머스크의 새 급여 안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와 자율주행차 부분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테슬라(+3.98%), 루시드 그룹(+3.33%), 리비안(+1.67%) 등 전기차 관련주들이 상승.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코세스, 영화테크, 아이비젼웍스, 엠플러스, 에이아이코리아, 솔브레인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일정실업(008500) : 주식분할 결정에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1주당 가액 5,000원을 1,000원으로 분할하는 주식분할 결정(상장예정:2025-12-15) 공시.


만호제강(001080) : 경영권 분쟁 소송 속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소송 등의 제기ㆍ신청(경영권 분쟁 소송) 공시. 주식회사 엠케이에셋이 의결권행사금지가처분 소송을 제기했으며, 신청취지는 채무자인 동사가 오는 26일 개최되는 채무자의 제73회 정기주주총회(속회 및 연회 포함)에서 김*수(1945. 8.9.생) 명의의 의결권 있는 주식 82,145주에 관한 의결권을 행사하게 하여서는 아니된다는 내용임.


NAVER(035420) : 업비트 '두나무', 네이버 계열사 편입 소식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최대주주로 있는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과 두나무가 포괄적 주식교환을 추진한다고 전해짐. 이를 통해 두나무가 네이버파이낸셜의 100% 자회사로 거듭나 네이버그룹에 편입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두나무는 가까운 시일 내에 주요 주주에게 관련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며,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포괄적 주식교환 추진을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각각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번 포괄적 주식교환 거래는 네이버파이낸셜이 발행한 신주를 기존 두나무 주주가 보유한 지분과 맞바꾸는 방식으로 이뤄지며, 이로 인해 두나무 주주들은 네이버파이낸셜 주주로 전환되고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 100% 자회사가 된다고 전해짐.

▷업계에서는 두나무를 품은 동사와 네이버페이는 쇼핑부터 금융과 암호화폐 거래까지 소비자 일상 영역 대부분을 아우르는 슈퍼앱으로 거듭나게 된다며, 수익성이 우수한 두나무 실적이 동사 연결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


에이피알(278470) : 3분기에도 실적 성장 지속 전망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화장품 ‘메디큐브’ 브랜드 중심으로 미국과 일본 등에서 매출 세 자리 성장 중인 가운데, 3분기 연결매출 3,797억원, 영업이익 9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8%, 230% 성장할 것으로 전망. 아마존 뷰티 카테고리 Top100위 내 메디큐브만 6개 랭크 중인데, 금번 아마존 프라임데이 행사 성과도 ‘24년 블랙프라이데이 행사 성과와 유사한 것으로 파악돼 3분기 실적 눈높이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또한, 실리콘투 비롯한 유통사 통한 매출도 상반기 분기 평균 매출 700억원 수준에서 하반기 800억원 내외로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유통채널 믹스 변화로 오는 영업이익률 개선은 4분기에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 이어 미국향 관세 부담(관세율 평균 15%)에 따른 손익단 영향은 1%pt 수준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 -> 280,000원[상향]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 내년부터 영업이익 본격 성장 전망 등에 상승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Senex 3배 증산, 팜 Value Chain 확대, 구동모터코아 폴란드 공장 가동으로 2026년부터 본격적인 영업이익 증가가 예상되고, 영업이익이 2027년까지 1.4조원 (vs. 2025년 1.1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고객사를 이미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어 Capa 확장에 따른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LNG/팜 부문은 Value Chain을 확장하여 원자재 가격 변동에도 안정적인 실적이 예상된다고 설명.

▷이어 동사가 보유한 자원 및 에너지 개발 능력, 해외 네트워크 인프라는 자원/에너지 수입국인 한국에서 필수적이고, 또한 장기적으로 미국의 공급망 재편에 있어 희토류, 영구자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LNG 분야에서 Full Value Chain을 구축하여 장기 성장성을 모색하고 있다며, 일본의 경우 LNG 취급량의 40%가 트레이딩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동사도 중장기적으로 LNG 트레이딩에서 기회를 찾을 것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63,000원[신규]


현대엘리베이터(017800) : 734.76억원 규모 현대무벡스 주식 처분 결정 및 4,500억원 규모 유형자산 양도 결정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 등 목적으로 현대무벡스㈜(HYUNDAI MOVEX Co., Ltd.) 주식 7,800,000주를 734.76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후지분율:48.87%, 처분예정일:2025-11-22) 공시. 또한, 4,500.00억원 규모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양도 결정(양도기준일:2025-09-30) 공시.

▷한편, 이 같은 소식 속 현대무벡스는 하락세를 기록중임.


한미글로벌(053690) : 쿠웨이트·사우디 등 잇따른 중동 수주 소식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쿠웨이트 주거복지청(PAHW)이 발주한 공동주택·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의 공사 감리 용역 3건을 동시 수주했다고 밝힘. 수주액은 약 310억원으로 쿠웨이트 남서쪽 외곽 지역에 1,600가구의 공동주택 등을 짓는 프로젝트와 압둘라 시티 내 서부 지역 도로·기반 시설을 짓는 공사의 감리와 사업 컨설팅 용역을 맡는다고 언급.

▷아울러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그린 리야드 그룹7 프로젝트 PM 용역'을 160억원에 수주했다고 밝힘. 그린 리야드 프로젝트는 대규모 도시 재생 사업으로, '사우디 비전 2030'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이며, 7구역 약 22km의 녹지 공간 조성 사업 프로젝트 관리·감독과 품질 관리 등 발주처의 건설 사업 관리 지원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설명.

▷한편,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8/28 삼성전자 P4 변경계약(기간: 21개월 연장, 금액: 8억 원 증액)으로 수주 확장 신호가 확인됐고, P5 착공 모멘텀까지 겹치며 매출이 바닥을 통과해 반등하는 시작점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이어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1호기 설비개선 PM을 수주하며, 해외 원전 첫 레퍼런스를 확보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힘. 다만, 3Q25 연결 기준 매출은 1,081억원(YoY +5.7%), 영업이익은 78억원(YoY -1.3%)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1,000원 -> 32,000원[상향]


이수페타시스(007660)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E 연결 실적은 매출액 2,610원(+26.5% YoY), 영업이익 503억원(+94.1%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463억원)를 8.6% 상회할 것으로 전망. 2분기 제품 세대 전환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부진했던 주요 AI 고객사향 물량 반등과 800G향 수율 개선에 힘입은 마진 개선 영향이라고 설명.

▷이어 올해 내로 동사의 북미 NV사향 NVL72용 Switch Board 공급망 합류가 예상된다고 밝힘. 동사는 이미 Scale Out 시장에서 800G향 기판공급을 통해 주요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했으며, 이번 북미 NV사향 Switch Board 공급을 계기로 Scale Up 시장에서도 핵심 플레이어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

▷아울러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까지는 세대전환·물량 증가가 동시에 이뤄진다는 측면에서 TPU 밸류체인이 본격적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동사는 국내 유일한 TPU 밸류체인으로서 그 입지가 더욱 강조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7,000원 -> 89,000원[상향]


S-Oil(010950) : 3분기 흑자전환 전망 및 샤힌프로젝트 긍정적 분석 등에 소폭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실적은 국제유가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가운데, 3분기 유가상승으로 흑자전환이 예상된다고 밝힘. 3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8.2조원, 영업이익 1,660억원(영업이익률 2.0%), 지배주주 순이익 81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어 2026년 상반기 샤힌프로젝트(원유/나프타/부산물 원료로부터 에틸렌 생산) 완공을 앞두고 있다고 밝힘. 생산 제품은 ‘에틸렌 180만톤(PE 132만톤), 프로필렌 77만톤, 부타디엔 20만톤, 벤젠 28만톤, 초저유황연료유 37만톤’ 등으로, 에틸렌 1톤당 손익분기점 171$(원료비 제외)으로 추정된다며, NCC업체 250$ 대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 2026년 샤힌 프로젝트 완공은 분명 기업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0,000원[유지]


SNT모티브(064960) : 1,652.4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7.1%) 규모 방산공장 생산중단에 하락

▷1,652.4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7.1%) 규모 방산공장 생산중단(생산중단일:2025-09-25~2025-09-28) 공시. 생산중단사유는 인명사고에 따른 자체적인 생산중단결정임.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아이언디바이스(464500) : 'PCIM ASIA 2025'서 GaN 전력반도체 구동IC 공개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24일부터 26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전력전자 전시회 'PCIM(Power Conversion and Intelligent Motion) ASIA 2025'에서 세계 최소형 질화갈륨(GaN) 전력소자 내장 고성능 하프브릿지(Half-Bridge) 구동IC 'SMA6534'를 공개했다고 밝힘. 동사가 이번에 공개한 제품은 GaN 소자를 빠르고 정밀하게 제어하여 구동하는 부품이며, 48V 전원을 사용하는 로봇, 전기차, 데이터센터, 고출력 오디오앰프 등의 고성능 응용분야에 적합한 제품이라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는 동사의 GaN 전력반도체 기술력을 글로벌 시장에 알리고 고객사의 의견을 직접 들을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현장에서 얻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을 기획하고, 사업 확장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힘.


라닉스(317120) : 양자내성암호 반도체 시제품 긍정적 반응 모멘텀 지속, 30억원 규모 CB발행 결정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시너지 AI 테크놀로지 3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대상으로 3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577원, 전환청구일:2026-10-02 ~ 2029-09-02) 공시.

▷아울러 동사가 양자내성암호(PQC) 핵심 알고리즘 기술을 적용해 출시한 반도체 시제품이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점도 연일 긍정적으로 작용.


펄어비스(263750) : 신작 '붉은사막' 출시일 확정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날 진행된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의 신작 행사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에서 ‘붉은사막’을 내년 3월 19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힘. 붉은사막은 광대한 파이웰 대륙을 무대로, 주인공 클리프(Kliff)와 회색갈기 동료들과의 여정을 그린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오늘부터 사전 예약이 시작되며, 사전 예약은 플레이스테이션5, 엑스박스 시리즈 X|S(Xbox Series X|S), 스팀(Steam), 애플 맥(Mac)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전해짐.


삼현(437730) : Physical AI 시대에 액추에이터 기업으로 도약 기대감 등에 강세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Physical AI 시대에 액추에이터 기업으로의 도약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자동차 변속기의 모터 및 감속기 부품사로 출발해 로봇, 방산, 도심항공으로 사업을 확대했다며, 로봇 제어 기술 기업을 2곳 인수하면서 모터, 감속기, 제어기 통합 모듈(3-in-1) 생산이 가능해졌다고 언급. 이어 자동차에서 검증된 액추에이터 기술을 로봇, 방산, 도심항공 분야로 확대 중이라며, 신규 수주 증가로 창원 2공장(2025년말 가동)과 인도 공장(2026년 가동)을 건설 중이라고 분석. 특히, 탄탄한 전방 고객사와 수주를 기반으로, 2024년 매출 1천억원에서 2028년 매출 3천억원으로 도약을 예상한다고 밝힘.


케이엔제이(272110) : A/M 유통시장 확대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반도체 부품은 B/M(Before Market, 반도체 장비사 경유)과 A/M(After Market, 반도체 제조사 직접 구매) 두 가지 유통시장을 통해 공급된다며, 향후 A/M의 비중이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 현재 국내 반도체 제조사들의 A/M 채택률은 각각 48%, 30%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낮아 A/M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언급.

▷이어 낸드는 수백단의 적층이 필요하며 수직 채널을 뚫는 과정에서 플라즈마 부식 강도가 디램 대비 압도적으로 크다며, 포커스링 소재를 SiC를 채택해야 안정적으로 양산이 가능하다고 밝힘. 최근 QLC 관련 수요 급증 전망과 함께 V8부터는 SiC 채택이 표준화되면서 수요는 더 확대될 것이라고 언급.

▷아울러 동사는 향후 수요 증가를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CVD 챔버 제작이 들어갔다며, 현재 5대를 제작하고 있으며 2026년 상반기부터 실적에 기여할 예정이라고 밝힘.


엠젠솔루션(032790) : 자회사 AI화재탐지진압 시스템 '알파샷', 조달청 혁신시제품 지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현대인프라코어의 AI(인공지능)화재탐지진압 시스템인 알파샷이 조달청 혁신시제품으로 지정됐다고 밝힘. 혁신시제품 선정 제품은 조달사업법 및 관련 제도에 따라 각 공공기관에서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다며, 별도의 경쟁입찰 없이 수의계약으로 납품이 가능해 초기 판로 및 레퍼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사회적 우려가 커지면서 알파샷 관련 문의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고 밝힘.


이노스페이스(462350)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유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15,460원임.


우듬지팜(403490) : 유럽형 채소 첫 출하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유럽형 채소 온실에서 키워온 프리미엄 채소를 본격적으로 출하한다고 밝힘. 채소는 코스트코와 쿠팡, 카카오톡딜 등을 통해 판매 중인 것으로 전해짐. 유럽형 채소 온실은 동사가 지난 2023년부터 추진한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자체 보유한 반밀폐 유리온실 기술과 유럽 최신 원예 기술인 자동화설비(Mobile Gully System)를 결합해 로메인, 키이피라, 버터헤드, 프릴레터스 등의 유럽형 채소를 생산함. 동사는 연간 생산량이 3000톤(t)을 웃돌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기존 스테비아 토마토 브랜드인 ‘토망고’ 중심에서 유럽형 채소로 매출이 다변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온실 가동은 단순한 신제품 출하가 아니라 글로벌 농업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이라며 "토망고로 확보한 브랜드 경쟁력을 기반으로 유럽형 채소를 새로운 성장 축으로 키워내겠다"고 밝힘.


라온시큐어(042510) : 2025 블록체인&AI 해커톤 성료 소식 속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GDIN)와 공동 주관한 '2025 블록체인&AI 해커톤'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고 밝힘. 이번 대회는 한국디지털인증협회 주최, 행정안전부 후원으로 열렸으며 블록체인과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올해 처음 개최됐으며, 대회 결선은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시큐업&해커톤'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됐음.

▷이와 관련, 동사 이순형 대표는 "이번 대회는 모바일 신분증을 기반으로 구현된 혁신적인 서비스들을 확인할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모바일 신분증 확산을 통한 국가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K-DID의 글로벌 확산과 표준화를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 인증 생태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HLB이노베이션(024850) : 자회사 베리스모, 고형암 CAR-T 임상 2상 준비 가속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의 미국 자회사 베리스모 테라퓨틱스는 언론을 통해 고형암 CAR-T 치료제 'SynKIR-110'의 임상2상 진입과 상업화를 대비한 생산 인프라 구축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베리스모는 최근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 인프라 기업인 밀테니 바이오텍(Miltenyi Biotec)의 전담CDMO 부문인 '밀테니 바이오인더스트리'가 공급한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활용해 첫 번째 임상용 CAR-T 치료제 생산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베리스모 테라퓨틱스는 "렌티바이러스 벡터 변경 등 제조공정 전환에도 FDA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안정적으로 임상용 CAR-T 생산을 완수하며 개발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밝힘. 아울러 밀테니 바이오텍의 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스테판 밀테니(Stefan Miltenyi) 대표이사는 "바이럴 벡터 플랫폼을 통해 베리스모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게 돼 자랑스럽다"며 "차세대 CAR-T 치료제 분야에서 베리스모가 추진하는 혁신적 접근은 우리가 추구하는 목표와 맞닿아 있다"고 밝힘.


선익시스템(171090) : 신규시설 투자 결정 속 향후 수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전일 190.00억원(자기자본대비 40.93%) 규모 신규시설(공장신설) 투자 결정 공시. 이와 관련, 금일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이번 투자를 통해 양산용 증착기 기준 연간 4대 수준의 Capa를 확보했다며, 신규 Fab에서는 FMM 방식을 적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상존하나, 신규 기술의 양산 레퍼런스가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향후 수주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다고 밝힘. 또한 8세대 양산기 뿐 아니라 6세대, 연구용, OLEDoS 용 증착 장비 모두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당분간 추가 투자 필요성이 제한적이고, 기존 이용하던 임시 공장인 평택 Fab 1, 2(8,650㎡) 대비 부지 면적(13,000㎡)이 확장되어 장기간 안정적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한켐(457370) : 신규 첨단소재 개발 가속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올해 상반기 총 5종의 신규 양산 소재 개발을 완료했으며, 31종의 신규 소재를 파일럿 단계에 진입시켰다고 밝힘. 오는 2030년까지 연매출 1,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다양한 신규 소재 개발 및 양산화에 주력해 시장 내 영향력을 지속 확대한다는 방침임. 특히. 올해 상반기 동사가 달성한 총 31종의 파일럿 소재 성과는 전년동기대비 약 50% 증가한 수치로, 반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 달성에 크게 기여했으며, 회사 측은 현재 파일럿 단계에 있는 신규 소재들이 상용화될 경우 옥천 공장 증설과 맞물려 내년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달성한 신규 양산 및 파일럿 소재 개발 성과는당사가 보유한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유기화합물 합성 소재 빅데이터(DB)에 기반한 것”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첨단 소재 후보 물질 도출과정에 인공지능(AI)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동사의 빅데이터는 신규 소재 개발 속도를 높이고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역할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한국첨단소재(062970) : 31.50억원 규모 유형자산 양도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31.50억원(자산총액대비 10.03%) 규모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 양도 결정(양도기준일:2025-10-31) 공시.


유티아이(179900) : 52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등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210,101주(52.0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10-02) 공시. 아울러 시설자금 확보를 위해 세븐브릿지LS 유니크글래스신기술투자조합 대상으로 52.00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24,750원, 교환청구일:2025-11-02 ~ 2030-09-25) 공시.


노을(376930) : 350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14,344,263주(350.00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2,440원,1주당 약 0.39주 배정,청약예정:2025년 12월 04일~2025년 12월 05일(구주주),상장예정:2025-12-30) 공시. 동사는 이번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을 국내외 제조공장 확장·자동화 라인 증설, 원재료 매입, FDA 등 주요국 인허가·글로벌 사업 개발, 차세대 암 진단 솔루션의 연구개발, 자궁경부암 통합 솔루션 완성 등 성장과 직결되는 투자에 집중한다는 계획임.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