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9.16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9-16 11:32
- 조회수 :
- 71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반도체 대표주(생산), 웹툰, IT 대표주, 유리 기판, 항공기부품,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아이폰, 원자력발전, 폴더블폰, 건설 대표주, 건설 대표주, 의료AI, 무선충전기술, 김밥(냉동김밥 등), LNG(액화천연가스),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스마트카(SMART CAR),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드론(Drone), 조선기자재, 조선,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전자파,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피팅(관이음쇠)/밸브, 보안주(정보) 등...
약세 테마 : 화이자(PFIZER), 모더나(MODERNA), 3D 프린터,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밥솥, 지역화폐, mRNA(메신저 리보핵산), 애플페이, 제대혈,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퓨리오사AI, 정유, 슈퍼박테리아, 증권,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시멘트/레미콘,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보톡스(보툴리눔톡신), 고령화 사회(노인복지), 면역항암제, 페인트 등...
[특징 테마]
반도체 관련주 : 범용 메모리 온기 확산에 따른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국내 장비사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전환 투자에 힘입어 긍정적인 실적을 이어가고 있으며, 2026년 신규 라인 투자 모멘텀 또한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힘. 이에 국내 전공정 장비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언급. 아울러 2026년 신규라인 증설과 범용 메모리까지 확산된 우호적인 업황으로 소재 업체들의 실적 개선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메모리 시장은 상반기 중국 이구환신 정책과 선제 재고 확보 영향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다운사이클에서 벗어났다며, 상반기 재고 축적의 영향으로 하반기 수요는 통상적인 계절성보다 낮은 수준을 예상했다고 밝힘. 하지만 DDR4 EOL(생산종료)에 따른 재고 확보, PC 교체수요, 일반 서버 수요에 힘입어 긍정적인 상황이 확인되고 있다며, 이에 4분기에도 제한된 공급과 재고로 가격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 또한, 2026년 메모리 시장은 제한적인 공급 증가, 다양한 메모리 증가, 대당 탑재량 증가 등으로 우호적인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전반적인 환경 개선에 따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수혜를 입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한편,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 규모(매출 기준)는 8,000억달러(1,111조7,600억원)로 예상되고 있음. 당초 올해 성장률을 15.5%로 전망했으나, 최근 17.6%로 상향 조정했으며, 이에 따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성장세가 이어진다고 내다봤음. 성장의 중심에는 AI 데이터센터와 AI 가속기 등 '컴퓨트(compute) 부문'이 꼽히고 있으며, 컴퓨트 부문의 올해 매출은 지난해 대비 36% 증가한 3,490억달러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성장세에 힘입어 2028년 반도체 시장이 1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으며, 이는 기존 추정치보다 약 2년 빠른 시점임.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예스티, 덕산하이메탈, 원익머트리얼즈, ISC, 한솔아이원스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웹툰/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 네이버웹툰-디즈니 협력 소식에 상승
▷네이버웹툰의 미국 본사인 웹툰 엔터가 15일(현지시간) 디즈니와 새 디지털 만화 플랫폼 개발을 위한 비구속적 조건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밝힘. 해당 플랫폼은 마블과 스타워즈, 디즈니, 픽사, 20세기 스튜디오 지식재산(IP)을 활용한 만화 약 3만5천 편을 디지털로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웹툰 엔터가 개발과 운영을 맡으며 네이버웹툰이 북미에서 발굴한 오리지널 웹툰도 일부 제공할 예정. 디즈니는 해당 플랫폼이 마블의 기존 디지털 코믹스 구독 서비스인 '마블 언리미티드'를 확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음.
▷이어 플랫폼 개발 협력을 위해 디즈니는 웹툰 엔터의 지분 2%를 인수하기로 했으며, 이에 뉴욕증시에서 웹툰 엔터는 시간외 거래에서 50% 넘게 폭등했음. 이와 관련, 김준구 웹툰 엔터 대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스토리텔링 유산을 가진 디즈니와 함께 디지털 만화의 미래를 만들어가게 돼 큰 영광"이라며 "이번 협력은 우리 글로벌 사업 성장의 중요한 한 걸음이자, 앞으로 디즈니와 더욱 큰 협력을 이어가기 위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미스터블루, 와이랩, 탑코미디어, 핑거스토리, 대원미디어, 디앤씨미디어, 인포뱅크, 키다리스튜디오 등 웹툰,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테마가 상승.
원자력발전 : 美-英 원자력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이 오는 16일(현지시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을 계기로 원자력 확대에 속도를 내기로 한 것으로 전해짐. 15일(현지시간) 영국 정부는 양국에서 신규 원자력 발전소를 더 빨리 건설할 수 있도록 원자력 프로젝트 승인에 소요되는 기간을 3∼4년에서 2년으로 대폭 단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 협정을 트럼프 대통령 방문 기간 체결할 계획이라고 밝힘. 양국 정부는 '첨단 원자력 에너지를 위한 대서양 파트너십'으로 불릴 이 협정이 자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원전 신설 등에 민간 투자와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 아울러 양국의 전문성과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하는 첨단 시뮬레이션 도구를 개발하는 공동 실험 프로그램을 통해 융합 에너지로 협력도 확대하기로 했다고 언급.
▷한편, 영국 기업 센트리카와 미국 기업 엑스에너지는 잉글랜드 하틀리풀에 최대 12개의 첨단 모듈형 원자로를 건설할 예정이며, 영국 트라이택스와 프랑스 국영전력(EDF), 미국 홀텍은 노팅엄셔에 있는 옛 석탄화력발전소 부지에 소형모듈원자로(SMR)로 가동되는 데이터 센터를 건설할 예정임. 미국 래스트에너지와 영국 DP월드는 초소형 모듈형 원전을 조성할 계획이며, 영국 합작사 유렌코 그룹과 미국 레이디언트는 미국 시장에 고순도 저농축 우라늄(HALEU)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할 예정임.
▷이 같은 소식에 보성파워텍, 우진, 강원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 지투파워, 에너토크, 오르비텍, 우리기술, 현대건설, 일진파워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 이스라엘, 가자시티 지상작전 개시 소식 등에 상승
▷이스라엘이 15일(현지시간) 가자지구 최대 도시 가자시티를 점령하기 위한 지상 공격을 시작했음. 외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공군의 대규모 공습 이후 이스라엘 전차들이 가자시티로 진입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스라엘 정부 관계자들은 이번 작전의 목적이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를 몰아내는 것이라고 밝힘. 이번 지상작전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이스라엘을 방문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내각 관계자들과 회담을 한 뒤 불과 몇 시간 후 시작됐으며, 루비오 장관은 네타냐후 총리에게 "트럼프 행정부는 지상작전을 지지하지만 가능한 빨리 끝내기를 원한다"고 설명.
▷이와 관련, 한 미국 당국자도 "트럼프 행정부는 이스라엘을 막지 않을 것이며, 전쟁 관련 결정은 이스라엘이 스스로 내리는 것"이라고 언급. 한편,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을 마친 뒤 카타르 수도 도하를 방문할 계획임.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코츠테크놀로지, 풍산, 덕산하이메탈, 쎄트렉아이, 엠앤씨솔루션, RF머트리얼즈, 우리기술, 현대로템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백화점/ 면세점/ 소매유통/ 화장품 : 외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른 한국 유통산업 르네상스 전망 등에 상승
▷대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불어닥친 케데헌(Kpop Demon Hunters) 열풍 등 K-컬쳐 영향으로 올해 입국하는 외국인은 최초로 2,000만명에 달하며 2019년 최고치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 우리보다 외국인 방문객 회복이 앞서 나타났던 일본의 경우 외국인 방문객수가 증가하면서 일본의 내수 소매시장 성장률은 GDP 성장률을 상회했으며 일본의 주요 유통사 주가가 크게 상승했다고 밝힘. 이들 기업의 외국인 매출 비중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약 5-7% 내외였다가 2024년 12-15%까지 상승한 가운데, 한국도 현재 백화점의 외국인 매출 비중이 5-6%인데 중장기적으로 10% 이상을 넘어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힘.
▷특히, K-뷰티의 글로벌 침투율 확대에 맞춰 화장품은 여전히 방한 외국인이 구매하는 대표 품목이라고 밝힘. 과거 단체관광 중심의 방한 관광객은 면세점 중심으로 화장품 소비가 이뤄졌으나, 최근에는 20~30대 여성 자유 관광객이 증가하며 올리브영, 다이소, 개별 브랜드의 플래그십 매장 등으로 화장품 수요가 이동하고 있다고 밝힘. 한국에서 구매한 K뷰티 제품은 귀국 후에도 온라인 역직구몰이나 현지 유통망을 통해 반복적으로 구매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해외 현지에서의 재구매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는 중장기적으로 한국 화장품 수요를 뒷받침 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신세계, 현대백화점, 롯데쇼핑, 글로벌텍스프리 등 백화점/면세점/소매유통 테마와 달바글로벌, 실리콘투 등 일부 화장품 테마가 상승.
광고 : 美-中 틱톡 처분 방안 관련 프레임워크 확인 소식 속 상승
▷언론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이 스페인에서 개최한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미국 내 안보 우려가 제기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처분 방안에 대해 큰 틀에서 합의한 것으로 전해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무역 협상이 "매우 잘 됐다"면서 "우리나라의 젊은이들이 정말로 구해내고 싶어 했던 '특정' 기업에 대해서도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특정 기업은 틱톡임.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협상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양측이 틱톡과 관련해 프레임워크(틀)에 합의했다고 확인하고서는 "프레임워크는 틱톡을 미국이 통제하는 소유(구조)로 바꾸는 것"이라고 밝힘. 리청강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협상 대표 겸 부부장도 기자회견에서 미국과 틱톡을 포함한 경제·무역 문제에 대해 "솔직하고 심도 있으며 건설적인 소통을 진행했다"면서 "협력을 통해 기본적 합의에 도달했다"고 언급.
▷외신에 따르면, 틱톡 지분을 인수할 가능성이 가장 큰 기업으로 오라클을 꼽고 있음. 오라클은 이미 틱톡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래리 엘리슨 오라클 최고경영자를 지지해온 바 있음.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서 오라클 주가가 3.41% 상승.
▷이 같은 소식 속 애드포러스, 엔비티, 모비데이즈, 와이즈버즈 등 광고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LG디스플레이(034220) : 애플 아이폰용 OLED 패널 수주 확대 기대감 및 하반기 대규모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급등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애플 아이폰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수주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 파주 소재 AP4 공장 라인 증설에 나선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지난달 파주 AP4 라인 증설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렸으며, AP4는 LG디스플레이 6세대 모바일 OLED 생산라인으로, 아이폰용 패널에 들어가는 박막트랜지스터(TFT) 기판을 가공하는 곳임. TF는 이달 중 장비 선정을 마친 뒤 10월부터 장비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발주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P-OLED 계절적 성수기 진입, Smartwatch 신제품 출시 효과, W-OLED 가동률 증가 등 OLED 전 라인업에서의 Top-line 성장이 예상되고, 원가구조 혁신 등으로 인해 수익성 역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하반기 실적은 대규모 Turn-around를 시현할 것이라고 밝힘. 이러한 실적 개선세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고 계절성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며, 구조적인 성장기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 3분기 연결 매출액은 6조7,389억원(YoY -0.5%), 영업이익은 3,470억원(YoY 흑자전환, OPM +5.1%)으로 기존 추정치와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2,000원 -> 15,500원[상향]
미스토홀딩스(081660) : 2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496,277주(2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9-16~2025-12-15) 공시. 이는 동사가 올해 초 발표한 '3년간 최대 5,000억원 규모의 중장기 주주환원' 계획의 일환으로, 앞서 동사는 올해 상반기에만 약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의결한 바 있음.
▷아울러 현금ㆍ현물배당을 위한주주명부폐쇄(기준일) 결정 공시(기준일:2025-09-30).
▷이와 관련, 이호연 동사 경영전략본부장은 "2025년 총 1,7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4년 연속 특별배당을 이어가는 것은 주주가치 제고를 향한 회사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자사주 매입, 배당 등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신뢰받는 주주친화 경영을 실천하고 장기적성장 기반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힘.
TKG휴켐스(069260) : 올해 호실적 전망 및 8개년 만에 DNT 설비 풀가동 소식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예상 실적은 ‘매출액 1.2조원, 영업이익 772억원(영업이익률 6.8%), 지배주주 순이익 73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영업이익은 기존 추정치 650억원 대비 19% 상향 조정한다고 밝힘. 전년 하반기 증설된 MNB(경성우레탄원료) 30만톤 가동률이 90% 이상으로 높아지며, 수익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
▷또한, 2025년 8월 DNT 26만톤 설비가 풀가동을 시작했는데, 2017년 이후 8개년 만이라고 밝힘. 올해 7월 하순, 경쟁업체인 독일의 Covestro㈜에서 변압기 화재로 전기분해 설비에서 염소 생산이 멈추면서, 우레탄 30만톤 설비가 중단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는 전세계 TDI/DNT 캐파 344만톤에서 9%에 해당한다며, 유럽 Covestro㈜ 생산량 감소분을 한국과 중국에서 커버하면서, 8월부터 동사의 DNT 가동율도 100%(1분기 52%)로 높아졌다고 밝힘. Covestro㈜ 변압기 교체/정부 승인 등을 고려하면, 4분기 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5,000원[유지]
엘앤에프(066970) : 3분기 흑자전환 전망 등에 소폭 상승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3분기 실적은 매출액 6,709억원(+91% YoY), 영업이익 188억원(흑자전환, 영업이익률 2.8%)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2년 만의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힘. 양극재 판매 가격은 상반기 리튬 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5%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판매량은 테슬라 모델Y 주니퍼 본격 인도 영향으로 NCMA95 출하량이 확대되면서 전분기 대비 +38% 증가할 것으로 전망. 연내 차량 인도가 시작될 예정인 모델Y 롱바디와 모델3 플러스 등 테슬라의 신모델에도 NCMA95 채용이 확정됨에 따라 타 업체와 차별화되는 출하 흐름은 연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테슬라와의 강력한 파트너십(매출비중 80%)은 테슬라의 신사업 전개 과정에서도 빛을 발할 전망이고, 미국 ESS용 LFP 수요 급증 관련 최대 수혜주라고 언급. 이에 2차전지 업종 Top Pick 관점을 유지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0,000원[유지]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나노실리칸첨단소재(286750) : 이차전지 실리콘 나노섬유 복합체 핵심 특허 확보 소식에 상한가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이차전지 음극재 신사업을 위한 핵심 특허 3종을 모두 확보하며 본격적인 양산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 5월 실리콘과 탄소나노섬유(CNF), 그래핀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리튬 이차전지 아노드용 복합체 제조방법 및 리튬이온 전지 제조방법 등 2종의 특허를 확보한 바 있으며, 이번 특허는 '질소 도핑 및 탄소 매트릭스 캡슐화된 실리콘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특허 확보로 핵심 특허·인력·설비를 모두 갖춘 명실상부한 이차전지 실리콘 음극재 전문 제조 기업임을 증명했다"면서 "차별화된 기술 및 가격 경쟁력으로 시장 진입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밝힘.
노을(376930) : 북미/유럽 대규모 공급 계약 체결 임박 소식에 상한가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북미와 유럽에서 연내 대규모 공급 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자궁경부암 진단과 혈액 분석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선진국 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으로, 동사는 2년가량의 협상 끝에 조만간 미국 진단 시장의 30%를 차지하는 현지 대표 기업과 혈액 분석 제품의 공급 계약을 맺을 예정이며, 연내 유럽 헬스케어 선두 기업과도 자궁경부암 진단 제품 공급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와 관련, 임찬양 동사 대표는 "유럽과 중남미에서 다음달 세계 유일의 자궁경부암 원스톱 AI 진단 제품을, 오는 12월 세계 유일 최소혈액(손끝 체혈) 원스톱 AI 진단 제품을 출시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동사는 최근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이 방한하면서 해당 재단과 국제 보건 협력을 논의한 바 있음.
뉴로핏(380550) : 뇌 영상 검출·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아쿠아 AD 플러스' 혁신의료기술 선정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뇌 영상 검출·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뉴로핏 아쿠아 AD 플러스(Neurophet AQUA AD Plus)'가 혁신의료기술로 선정됐다고 밝힘. 이번 선정은 지난 '개인 맞춤형 뇌전기자극 솔루션' 이후 동사의 두 번째 혁신의료기술 성과로, 뉴로핏 아쿠아 AD 플러스는 기술 혁신성과 임상적 유용성을 인정받아 안전성과 잠재성이 있는 혁신의료기술(비침습)로 승인되며 시장 진입 및 확대를 위한 정부의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김동현 동사 공동대표이사는 "이번 혁신의료기술 선정으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처방 시장에 한층 빠르게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의료진이 보다 정밀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품 개발 고도화와 사용 환경 개선에 더욱 집중하겠다"고 밝힘.
아이씨티케이(456010) : KT 해킹 사태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SKT에 이어 KT도 해킹 사태가 발생했다며, 이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번 KT 해킹의 원인은 무허가 펨토셀로 거론 중인데, 통신사가 공식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개인이 소형 중계기를 설치하여 망에 연결할 수 있단 의혹이라고 밝힘. 동사의 VIA-PUF칩은 무허가 중계기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망 보안을 강화해준다며, 통신사 역시 VIA-PUF칩이 중계기 보안용으로 사용 가능하단 걸 인지하여 동사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언급. 이어 KT가 10만 대 이상 펨토셀을 보유 중이고, 전국 5G 중계기 수가 30만 대 이상인 만큼 동사 매출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
▷아울러 글로벌 차원에서는 양자컴퓨터 활성화가 더욱 촉진 중이고, 보이지 않는 보안 리스크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동사와 같은 양자암호 업체에 유리한 산업 생태계가 지금도 조성 중인 셈이라고 밝힘. 글로벌 빅테크향 공급이 확정되거나 이번 사태처럼 통신장비향 PUF칩의 유효성이 널리 입증되면 실적은 금방 늘어날 것이고, 주가는 대응하기 전에 급등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8,000원[유지]
켐트로닉스(089010) : IT(반도체 소재, 유리기판) 중심 성장 전망 등에 급등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기존 전자, 유통 사업 중심에서 반도체 소재(PMA, PM), 디스플레이 식각(8.6G Glass Etching), TGV 중심의 IT 사업의 핵심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힘. 신사업 진행에 있어 전 사업부 순항 중으로 실적은 올해를 저점으로 IT부문 매출 확대되며,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가운데, 본업에서의 실적 성장과 더불어 유리기판 등의 포트폴리오 확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
▷내년 매출액 7,840억원(YoY +18.3%), 영업이익 620억원(YoY +52.3%, OPM +7.9%)을 시현할 것으로 추정되며, 여기에 더해 27년 이후에도 반도체 소재 및 Display 식각 매출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반도체 소재는 고객사향 매출이 27-28년부터 급증할 것으로 에상되고, Display는 아직까지 15K Capa 중 일부 라인 가동으로 발생하는 매출임을 감안한다면, 충분한 Upside가 있다고 판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0,000원 -> 44,000원[상향]
▷한편, 최근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지난 8월 말 유리관통전극(TGV) 공정 기반의 파일럿 라인 구축을 위한 장비 발주에 들어갔다고 전해짐. 독일 LPKF사의 레이저 가공 장비를 비롯해 자동광학검사(AOI), X-레이 검사 설비 등을 잇따라 발주했으며, 오는 10월 말까지 파일럿 라인을 완성한다는 계획임.
플레이위드(023770) : ‘로한2 글로벌’ 사전예약자수 150만명 돌파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넥써쓰와 공동 퍼블리싱하는 블록체인 기반 MMORPG ‘로한2 글로벌’의 사전예약자수가 150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힘. 지난 5일 사전예약을 시작 이후 11일만에 달성한 수치로 특히, 지난 15일 기준 117만명을 기록한 이후 단 하루 만에 33만명이 추가 유입되며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고 언급.
센서뷰(321370) : 한화시스템과 17.78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
▷한화시스템 주식회사와 17.7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4%) 규모 공급계약([수출] 사우디 MSAM-Ⅱ MFR 수출사업_하모니필터2외 9건계약) 체결(계약기간:2025-09-15~2027-09-22) 공시.
유디엠텍(389680) : 도요타 계열사 아이신과 스마트팩토리 PoC 협의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일본 도요타그룹 핵심 계열사인 '아이신(Aisin)'과 스마트팩토리, 디지털 트윈 솔루션의 도입 검토 및 개념검증(PoC)을 진행하기로 협의했다고 밝힘. 이번 협의는 오는 10~11월 중 아이신 생산라인에서 PoC를 진행하는 것에 대한 것이며, 유디엠텍 솔루션의 고속 데이터 수집, 패턴 분석, 이상 탐지기능에 대한 기술 경쟁력 검증이 핵심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왕지남 대표는 "아이신과의 PoC는 유디엠텍 솔루션이 글로벌 제조 현장에서 통용되는 표준형 AI 플랫폼임을 입증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키엔스, 지멘스, 미쯔비시, 락웰, 옴론, LS일렉트릭 등 다양한 멀티 벤더 PLC와의 호환성을 더욱 강화해 스마트팩토리, 디지털트윈, 자율제조 분야의 글로벌 파트너십과 적용 거점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힘.
펨트론(168360) : 내년 호실적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 9월5일 SK하이닉스향 ‘8800WIR HBM’ 검사장비 수주를 공시했다며, 이번 수주는 동사의 기술력이 글로벌 IDM으로부터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중장기 성장성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메모리 모듈 검사 장비인 MARS 또한 성장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밝힘. 6월과 7월 2차례 납품을 완료했으며, 현재 고객사 퀄 테스트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 연내 최종 검증을 통과할 경우 향후 수주는 더 확대될 것이고, 특히 고객사 내 노후 장비 교체 수요가 확인된 만큼 투자는 더 빠르게 이루어질 것이라고 언급.
▷2026년 실적은 매출액 1,547억원(+121% YoY), 영업이익 315억원(+1,464% YoY, OPM 20.4%)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현재 주가는 2026년 기준 PER 14배로 글로벌 동종업체 및 국내 검사장비업체 평균(20~25배) 대비 저평가된 상태라고 언급.
RFHIC(218410) : 자회사 호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본사에 이어 자회사 실적도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타나고 있어 2025년 하반기 및 2026년도에도 양호한 실적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동사가 지분 41%를 보유한 연결 자회사인 RF머트리얼즈 실적이 이미 크게 호전되고 있고, 하반기 계절성과 현 추세를 감안하면 RF머트리얼즈의 연간 매출액은 600억원을 넘고 연결 영업이익이 7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통신부분에선 삼성전자향 매출 증가와 더불어 미국/국내에서 스토리가 나와주고 있고 방산 실적이 예상보다도 더 호조 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미국/국내 주파수 경매 이벤트만 터져준다면 과거와 같은 Multiple 할증이 가능해 보인다고 언급. 이에 PER 50배, PBR 6배까지 오를 수 있다고 보면 아직도 적극 매수 관점에서의 대응이 필요해 보인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0,000원[유지]
하이퍼코퍼레이션(065650) : 자회사 에이아이마인드봇에쿼티 지분 전량 양도 결정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유동성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 목적으로 자회사 에이아이마인드봇에쿼티 지분(21,000주) 전량을 84.99억원에 양도하기로 결정(양도예정일:2025-11-07) 공시.
씨이랩(189330) : 'K-휴머노이드 연합' 참여기업 선정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K-휴머노이드 연합'의 신규 참여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힘. K-휴머노이드 연합은 오는 2030년까지 대한민국의 글로벌 휴머노이드 최강국 실현을 목표로 지난 4월 출범한 국가 주도 연합체라고 알려짐. 동사는 이번 연합에서 비전 AI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휴머노이드 로봇과 자율이동로봇(AMR)이 산업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협업 환경 구축에 기여할 예정임.
▷이와 관련, 윤세혁 동사 대표는 "비전 AI와 디지털 트윈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지능과 안전성을 뒷받침하는 핵심 기술"이라며, "이번 연합 참여를 통해 피지컬 AI 구현을 앞당기고 대한민국이 휴머노이드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밝힘.
동양이엔피(079960) :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LS증권은 동사에 대해 자산가치를 고려할 때 주가가 저평가 구간에 있다고 분석. 이와 관련, 동사의 올해 상반기 실적은 Sales 3,046억원(+14.1% yoy), OP 294억원(+19.9%, yoy)을 기록하였으며, 동사의 순현금은 1,256억원 + 장기투자증권(해외채권 & 지분상품) 834억원을 합산하면 2,090억원 규모로 시가총액을 상회한다고 밝힘. 이는 배당의 재원 등으로 사용되고 있고 DPS는 2022년 300원(Payout Ratio 10.3%) → 2023년 400원(Payout Ratio 6.8%) → 2024년 600원(Payout Ratio 6.6%)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현재 배당성향을 고려하면 향후 추가적인 DPS 상승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
▷아울러 동사의 OP Margin은 2022년 5.0% → 2023년 8.0% → 2024년 9.4%, 1H24 9.2% → 1H25 9.7%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 이를 반영하여 영업이익은 2022년 278억원 → 2023년 430억원 → 2024년 516억원, 1H24 245억원 → 1H25 294억원(+19.9% yoy)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힘.
휴먼테크놀로지(175140) : 자회사 휴먼아고스, 불법 드론 탐지장비 구매설치 사업 수주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휴먼아고스가 한국공항공사의 ‘불법드론 탐지장비 구매설치’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힘. 이번 선정에 따라 휴먼아고스는 드론 탐지에 최적화된 레이더와 운영서버, 통합관제 시스템을 제주공항과 김포공항에 구축할 예정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휴먼아고스 관계자는 "안티드론 시스템은 '탐지-식별·추적-방어·무력화'의 3단계로 구성된 통합 체계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당사의 솔루션은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토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다"고 밝힘.
아셈스(136410) : 무수염색사 글로벌 브랜드 제품 등록 완료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의 무수염색사가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의 재봉사 제품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힘. 동사가 개발한 무수염색사는 물 없이 염색이 가능한 섬유 원사로, 염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기존 습식 염색 대비 100% 줄일 수 있는 꿈의 친환경 염색 기술임. 동사는 이번 등록을 통해 초도 물량 납품을 준비 중이며, 자수사 및 염색 원단용 무수사에 대한 추가 문의도 이어지고 있는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장지상 동사 대표이사는 "무수염색사는 기술적으로도 까다롭고 상용화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지만, 실제 글로벌 브랜드 제품에 적용되며 시장성을 입증했다"며, "향후 나이키, 아디다스, 뉴발란스 등 주요 브랜드를 비롯해 다양한 프리미엄 스포츠·패션 라인에 적용을 넓혀갈 계획"이라고 설명.
솔트룩스(304100) : LUXIA3 및 GOOVER 서비스 성장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리딩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자체LLM LUXIA 3.0은 전반적인 운영비용이 글로벌 LLM 대비 약 1/10 수준에 불과하다며, 설계 단계부터 파라미터 효율화 및 복잡한 질문에 대한 연산량 등을 기술적으로 증진시켜, 전반적인 클라우드의 비용 자체가 효율적으로 통제가 가능하다고 설명. 향후 정부의 S/W 관련 예산 집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30년까지 약 95%의 공공 AI도입률 목표에 따라서 AI관련 B2G 시장의 구조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동사 매출의 약 70%가 공공부분이라 동사의 실적에서도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LUXIA LLM을 활용한 AI에이전트 GOOVER는 출시 2~3개월만에 1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돌파하였고, 올해 연말에는 약 3~4백만 수준의 사용자 수가 예상된다고 밝힘. 복잡한 정보 수집과 분석, 추론, 보고서 자동 생성 기능(RAG 등)을 갖추고 있어, 마케팅, 연구, 투자 기획 등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에서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는 혁신적 도구로 평가받고 있다고 언급.
제이에스링크(127120) : 최대주주의 최대주주 대상 2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확보 목적으로 박진수(최대주주의 최대주주) 대상 1,308,045주(20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5,290원, 상장예정:2026-02-25) 공시.
소룩스(290690) : 90억원 규모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를 위해 주식회사 코이시마 대상으로 9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5,102원, 전환청구일:2026-09-24 ~ 2028-09-23) 공시.
퓨쳐켐(220100) : 방사성의약품 FC705 국내 2상 임상시험 결과 추가 기재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전립선암 치료용 [Lu-177]Ludotadipep 방사성의약품 FC705의 국내 2상 임상시험 결과[임상시험결과보고서(Clinical Study Report, CSR) 수령]) 정정공시.
▷정정사유는 추가 기술로 투여 전 대비 [177Lu]루도타다이펩 투여 후의 PCWG3 modified RECIST V1.1로 평가한 객관적 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PCWG3 modified RECIST V1.1로 평가되는 전체 반응이 CR과 PR인 경우를 포함함 FAS에서 객관적 반응률(ORR)은 14.29%(2/14명, 95% CI: 1.78, 42.81)이었으며, 모두 CR로 확인됐다고 밝힘. 다만, 평가 불가인 시험대상자가 57.14%(8/14명)로 결과의 해석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판단(추가).
코이즈(121850) : 90% 비율 무상감자 결정 및 152.40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등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90%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5-11-18, 상장예정:2025-12-10) 공시.
▷또한,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3,000,000주(152.40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5,080원,1주당 약 0.99주 배정,청약예정:2026년 01월 07일~2026년 01월 08일(구주주),상장예정:2026-01-22) 공시.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