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투자전략

[25.09.12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작성자 :
밥TV운영자
작성일 :
09-12 11:21
조회수 :
235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 3D 낸드(NAND), 인터넷 대표주, 제대혈, 김밥(냉동김밥 등), 사료, IT 대표주, HBM(고대역폭메모리), LED장비, 마이크로 LED, 반도체 장비, 시스템반도체, 스테이블코인, 온디바이스 AI, 뉴로모픽 반도체, NFT(대체불가토큰), 전자결제(전자화폐), 환율하락 수혜, 음식료업종, 마켓컬리(kurly), 캐릭터상품,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3D 프린터, 카카오뱅크(kakao BANK),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등...


약세 테마 : 조선기자재, 피팅(관이음쇠)/밸브, 조선, 원자력발전, LNG(액화천연가스), 유심(USIM), 셰일가스(Shale Gas), 항공기부품, 전선, 공작기계, 폐기물처리, 정유, 풍력에너지,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자동차 대표주, 사물인터넷, 페인트,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전력설비, 네옴시티, 건설 대표주, 건설기계, 통신, 윤활유, 증권, 건설 중소형, 우크라이나 재건,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등...




[특징 테마]

음식료업종/ 김밥(냉동김밥 등) : 라면 수출 호조 및 케이팝 데몬 헌터스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일(9/11) 9월 1~10일 한국산 라면 수출 금액 잠정치가 발표되었다며, 한국산 라면은 9월1~10일 동안 올해 1~8월 월평균 수출 금액(1.2억달러)의 41.3%에 해당하는 5,052만달러가 수출되었다고 밝힘. 9월 라면 수출 금액 증가율(1~10일 잠정치, 일평균 수출 금액 기준)은 전체의 경우 +46.0% YoY, +36.1% MoM, 비중 35.9%인 중국의 경우 +165.4% YoY, +60.5% MoM, 비중 15.7%인 미국의 경우 +20.1% YoY, +34.5% MoM이라고 설명.


▷특히, 삼양식품은 1~7월 누적 라면 수출 금액 중 삼양식품으로 추정되는 수출 금액이 66.4%를 차지했으며, 밀양 2공장 생산 물량은 9월부터 본격적으로 수출 물량 증가에 기여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농심은 가장 큰 수혜가 예상되는 신라면 콜라보 제품의 미국 판매 물량은 미국 현지 시설에서 직접 생산할 계획이기 때문에 9월 1~10일 수출데이터 잠정치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 콜라보 물량이 반영되어 있을 가능성은 제한적이지만, 해당 제품은 9월 중순부터 실적에 기여할 예정인 만큼 본격적인 해외 법인 실적 개선은 4분기 이후부터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언급.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 지속에 따른 수혜 기대감도 이어지고 있음. 유진투자증권은 지난 10일 보고서를 통해 최근 흥행 중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오징어게임 시즌 1 을 뛰어넘는 누적 시청수를 기록했다며, 콜라보 제품의 인기가 콘텐츠 트렌드에 좌우된다는 점은 유의가 필요하나, 원작의 시청 트렌드를 고려 시 우려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판단한다고 밝힘. ‘케데헌’ 효과가 한국 브랜드 전반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것이며, 이것이 K-푸드에 대한 수요로 연결된다면 국내 음식료 업체들도 리레이팅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이 같은 분석 속 엠에스씨, 사조동아원, 한탑, 우양, 농심, 오뚜기, 대한제분, 네오크레마, 바이오포트, 푸드웰 등 음식료업종, 김밥(냉동김밥 등)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7.55%) 주가 급등 및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양산 체제 구축 소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 주식시장이 CPI 소화, 고용 둔화 속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상승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7.30포인트(+0.63%) 오른 5,995.39를 기록. 특히, 마이크론 테크놀로지(+7.55%)가 큰 폭으로 상승. 씨티그룹은 마이크론에 대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큰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마이크론에 대해 매수 등급을 부여하고 목표주가를 150달러에서 175달러로 상향 조정.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오는 23일(현지시간) 실적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월가의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발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SK하이닉스가 언론을 통해 세계 최초로 최신 고대역폭메모리인 HBM4의 개발을 마무리하고,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고 밝힘. 6세대 제품인 이번 HBM4는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처리 속도와 전력 효율을 실현했다며, 이전 세대보다 2배 늘어난 2,048개의 데이터 전송 통로(I/O)를 적용해 대역폭을 2배로 확대했다고 설명. 이 제품을 고객 시스템에 도입 시 AI 서비스 성능을 최대 69%까지 향상시킬 수 있어, 데이터 병목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동시에 데이터센터 전력 비용도 크게 줄일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테스, 엠디바이스, 하나머티리얼즈, 티씨케이, 이오테크닉스, 한미반도체, 한화비전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퓨리오사AI : 퓨리오사AI, 오픈AI코리아 개소식서 AI칩 'RNGD' 기반 'gpt-oss' 시연 소식에 상승

▷전일 퓨리오사AI는 홈페이지를 통해 오픈AI코리아 개소식 행사에 초청돼 자사 인공지능(AI) 칩 '레니게이드(RNGD)'로 오픈AI 모델 'gpt-oss' 시연을 진행했다고 밝힘. 이번 행사에서 퓨리오사AI는 2세대 반도체 '레니게이드'(RNGD) 두 장만으로 오픈AI의 LLM 'GPT-OSS 120B' 기반의 챗봇을 실시간 구동하는 모습을 선보였으며, 퓨리오사AI는 오픈AI와 함께한 이번 시연에서 글로벌 AI 인프라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자리 잡았음을 증명했다고 강조했음.


▷이와 관련,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범용인공지능(AGI)가 인류 전체에 이롭도록 한다'는 오픈AI 미션과 'AI를 지속가능하고 접근가능하게 한다'는 퓨리오사의 미션은 상통한다"며, "RNGD와 gpt-oss의 결합은 전 세계 오픈소스 기반 AI 생태계를 더욱 빠르게 확산시킬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DSC인베스트먼트, 팬스타엔터프라이즈, 포바이포, 나우IB 등 퓨리오사AI 테마가 상승.


원자력발전 : 이재명 대통령, '신규 원전 백지화' 시사 등에 하락

▷이재명 정부가 전임 윤석열 정부에서 확정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백지화하고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방침을 시사했음. 이재명 대통령은 전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100일 기자회견에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담긴 신규 원전 건설 계획과 관련해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평가. 이어 "(신규 원전에 대한 의견은 내년 하반기 정도에 확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12차 전기본에 담길 것" 이라며,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사실상 백지화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되고 있음.


▷아울러 이 대통령은 "원자력 발전소 짓는 데 최하 15년이 걸리는데 지을 곳이 없다"며, "소형모듈원자로(SMR)도 아직 개술 개발이 안 됐다"고 지적했음. 그러면서 "당장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데 가장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는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라며, "인프라도 깔고 전력망도 깔고 재생에너지 산업을 대대적으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


▷이 같은 소식 속 금일 두산에너빌리티, 에스앤더블류, 디케이락, 삼영엠텍, 비에이치아이, 태광, 하이록코리아, 일진파워, 우진엔텍, 한전KPS, 한국전력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KBI동양철관(008970) : 주식병합 후 거래재개 첫날 급등

▷주식병합 결정에 따라 지난 8월22일부터 거래정지 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동사는 지난 6월16일 1주당 가액 500원을 1,000원으로 병합하는 주식병합 결정(상장예정:2025-09-12)한 바 있음.


엔씨소프트(036570) : 아이온2 출시 기대감 등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신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아이온2’를 11월19일 한국과 대만에 동시 출시한다고 밝힘. 동사는 전일 생방송 ‘AION2NIGHT’에서 아이온2의 모바일 시연을 진행했으며, 아이온2 개발진이 휴대폰을 활용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게임 조작법을 선보이며 게임의 완성도와 안정적인 플레이 경험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아이온2 성공을 매우 유력히 판단한다며, 이는 세차례 라이브를 통한 디테일한 게임성과 균형잡힌 PvE 및 PvP 콘텐츠,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및 의상, 무기, 날개 등 젠지 세대까지 소구할 트렌디한 외형 제품, 키나 중심 거래소 구축을 통한 방대한 AU 확보 등에 따른다고 설명. 이를 종합적으로 감안시 아이온2 성공 가능성을 의심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한 것으로 제시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 : 390,000원[유지]


풍산(103140) : 현대로템과 8,298.70억원 규모 대구경 탄약류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현대로템 주식회사(HYUNDAI ROTEM COMPANY)와 8,298.7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8.2%) 규모 공급계약(대구경 탄약류 계약) 체결(계약기간:2025-09-11~2031-09-30) 공시.


삼성에스디에스(018260) : AI 산업 수혜 전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금융/공공 클라우드에 본격적으로 침투하고 있다고 밝힘. 상반기 경찰청, 행안부 사업, 범정부 초거대AI 사업을 수주했으며, 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에도 참가를 검토 중이라고 밝힘.

▷아울러 연말부터 내년 상반기까지는 AX 전환, GPU 수요 확보 사업들이 구체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공공 클라우드에서 동사의 풀스택 생태계가 가진 강점이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90,000원[유지]


한올바이오파마(009420) : 프로바이오틱스 의약품 '바이오탑' 정장제 시장 1위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프로바이오틱스 의약품 '바이오탑'이 정장제 처방 시장 1위로 올라섰다고 밝힘. 바이오탑은 질병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를 받은 일반의약품으로, 지난 8월 바이오탑은 유비스트 미생물성 지사제 실적 기준 원외 처방액 15억2,000만원, 시장 점유율 20.2%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박수진 동사 대표는 "앞으로도 다양한 장 건강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치료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바이오탑을 시장 대표 품목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밝힘.


SNT모티브(064960) : 구조적 성장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상반기 HMG HEV 판매가 +24.8%(YoY) 증가하였으며, 하반기에도 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방산 부문은 기관총 교체 사이클과 중국/유럽산 무기 활용하던 중동·아시아 지역의 대체 수요 확산으로 외형 성장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밝힘.

▷또한, 25년 7월 신설된 SNT로보틱스를 통해 산업용 로봇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밝힘. 동사는 모터/인버터 부품 기술 보유하고 있으며, 감속기는 계열사에서 내재화 완료했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45,000원[신규]


팬오션(028670) : Non-Dry부문 안정적 실적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Dry-Bulk 부문은 시황 상승폭 대비 상대적으로 부진한 실적을 예상하지만, LNG, Tanker와 컨테이너부문은 3분기에도 650억원 이상의 안정적인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25년 상반기 동사의 Dry-Bulk와 Non Dry의 영업이익 기여도는 42.5%와 57.5%를 기록하며 Dry-Bulk 전문 선사의 이미지를 탈피했다며, Non-Dry부문의 안정적인 실적은 Dry-Bulk의 시황과 실적의 높은 변동성에 따른 Valuation 할인율을 축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

▷한편, 3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치에는 부합, 당사의 직전 추정은 소폭 하회할 것으로 전망. 높은 견조한 시황이 유지되고 있지만 7월~8월 비수기 예상 밖의 시황 강세에 운영 선대를 늘리지 못한 영향으로 시황 상승의 수혜를 크게 보지 못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000원[유지]


HMM(011200) : Vale International SA와 4,303.41억원 규모 장기화물운송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Vale International SA와 4,303.41억원(최근 매출액대비 3.68%) 규모 공급계약(장기화물운송계약) 체결(계약기간:2026-04-01~2036-03-31) 공시.


삼화전자(011230) : 글로벌 전기차 기업에 초급속 충전기용 부품 공급 관련 논의 소식에 소폭 상승

▷풍문 또는 보도(삼화전자,글로벌 전기차 고객사에 300억 수주..."희토류 대체 페라이트로 핵심 부품사 도약")에 대한 해명(미확정)으로 글로벌 전기차 기업에 초급속 충전기용 부품의 공급 관련하여 논의중이며, 현재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힘.


삼영전자(005680) :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LS증권은 동사에 대해 순현금은 2023년 2,730억원 -> 2024년 2,976억원 -> 2Q25 3,023억원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영업이익을 상회하는 이자수익(2024년 100억원, 1H25 47억원)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힘. 이는 동사의 시가총액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으로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라고 언급. 또한, 동사의 DPS는 2021년 이후 300원을 유지하고 있으며, 과거 3년 평균 Payout Ratio 42.3% 수준으로 배당 메리트가 높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가 2025년 2분기에 하이브리드 콘덴서 생산을 시작(Line 1개)했고, 2028년까지 점진적인 Capa 확대(7개 Line)를 통해 물량을 증가시킬 계획이라며, 하이브리드 콘덴서로 성장성이 확대될 듯하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원[유지]


태영건설(009410) : 175.50억원 규모 주식회사 하이서울147청년주택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 취득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서울 성동구 용답동 청년주택의 운영 및 임대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된 부동산투자회사의 신주 인수 목적으로 주식회사 하이서울147청년주택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주식 3,510,000주를 175.50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7.9%, 취득예정일:2028-01-31) 공시.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메디포스트(078160) : 최대 2,500억원 규모 자금 조달 추진 소식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현재 BDA파트너스를 통해 1,000억~1,500억원의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해짐. 여기에 기존 주주인 스카이레이크PE와 크레센도PE가 각각 500억원을 출자해 최대 2,500억원을 조달하는 구조라고 알려짐. 이번 자금 조달 규모는 회사 전체 시가총액(약 4,200억원(전일 종가기준))을 감안할 때 상당히 큰 수준으로 투자 방식 및 조건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시장에서는 전환사채(CB)로 조달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음.

▷대규모 투자 유치를 추진하는 이유는 대표 상품 '카티스템'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마지막 단계인 임상 3상 준비 차원으로 알려지고 있음. 카티스템은 동종 제대혈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주성분으로 하는 의약품으로,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 필요한 무릎 연골결손 치료제로, 국내에선 품목 허가를 받아 판매 중이지만, 미국에선 임상 3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해짐.


코오롱티슈진(950160) : 골관절염 신약 'TG-C' 가치 주목 분석 및 임상 3상 결과 기대감 등에 급등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TG-C’의 가치에 주목해야한다고 밝힘. TG-C의 신약 가치를 8조 3,000억 원으로 제시한다며, 연간 도매가 1만 2,500달러에 임상 결과와 장기 추적 결과를 통해 확인된 TG-C의 안전성, 통증 감소·기능 개선 효능, 인공관절수술 지연 효과를 반영해 약가 추정치 상향 필요성을 인지했다고 분석. 이어 생산능력을 고려하면 2041년 적격 환자의 8% 즉 40만명에 처방될 경우 피크세일즈는 13조원, 순이익은 7.2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아울러 내년 6~7월 임상 3상 결과 발표가 주요 모멘텀이라며, 모멘텀 공백을 고려해도 지금 관심 가질 만한 바이오 중형주는 동사라고 언급. 환자 수 많고, 경쟁약 없는 미국 OA 신약 시장에서 성공 가능성 높은 임상 3상 중인데 시총은 3.8조원에 불과하다고 밝힘. 특히, TG-C가 미국 시장에서 의미 있는 초기 점유율 0.5%를 달성할 시점은 2030년이며 매출 1.2조원, 순이익 2,910억원이 전망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00,000원[유지]


나우로보틱스(459510) : K-휴머노이드 연합 신규 참여기업 선정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K-휴머노이드 연합 신규 참가기업에 선정됐다고 밝힘. K-휴머노이드 연합의 기업·전문가 평가를 거쳐, 최종 총괄위 의결을 통해 신규 구성원으로 선정됐다며, K-휴머노이드 연합의 구성원으로는 서울대, 카이스트(KAIST), 연세대, 포스텍 등 연구기관과 삼성전자, LG전자, SK, 포스코 등 주요 대기업이 참여하고 있다고 언급. 동사는 지난달부터 다양한 산업 현장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며, 정밀도·내구성·경량화 측면에서 획기적인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신개념 감속장치를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K-휴머노이드 연합에 신규 구성원으로 선정돼 대한민국 로봇 기술 발전에 힘쓰겠다"며, "즉시 활용 가능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겠다"고 밝힘.


누리플랜(069140) : 과도한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2019년 인수한 유니슨 HKR은 2023년 빅베스(Big Bath)를 거친 이후 본격적으로 잠재력이 드러나기 시작했다며, 유니슨 HKR의 주력 제품인 Expansion Joint 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인프라 모듈 부품들의 쓰임새가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힘. 건물의 진동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교량 등에서 주로 활용되어 왔지만, 확실한 안전 확보가 중요한 원전 비상센터, 데이터센터 등으로 수요처가 확대되고 있다며, 국내외 SMR 및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참여 확대가 기대된다고 언급.

▷이어 올해 연간 1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 달성이 기대되는 상황에서 현재 기업가치는 과도한 저평가 국면이라고 판단. 지자체 수주 이력과 관련된 테마주로 언급되기에는 기초 체력이 탄탄하며, 전방 산업에 대한 이해와 진출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뤄진 상황에서 사업 영역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설명.


케어젠(214370) : 튀르키예 ‘아타바이’ 와 펩타이드 건기식 3종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튀르키예의 전통 제약사 아타바이(Atabay)와 ‘코글루타이드(Korglutide)’, ‘마이오키(Myoki)’, ‘프로지스테롤(ProGsterol)’ 3종의 제품에 대해 총 760만 달러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계약은 우선 2년간 병원 채널을 중심으로 테스트 마케팅 형태로 진행되며, 이후 3~5년간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전 채널을 통한 대규모 장기 공급 계약으로 전환될 예정. 이를 통해 동사는 중동과 유럽을 잇는 전략 요충지인 튀르키예 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

▷이와 관련, 정용지 동사 대표는 “동사의 펩타이드 기반 건기식 포트폴리오는 체중관리·근육건강·혈당 균형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최근 체결하는 파트너십은 업계 내 위상과 네트워크가 높은 기업들과 이뤄지고 있다. 아타바이 전국 유통망과 영업조직은 당사 제품의 빠른 시장 안착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힘.


라온텍(418420) : 스마트글래스 보급 확산 수혜 기대감 등에 강세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LCoS가 중장기적으로 스마트글래스 시장에서 주류 디스플레이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며, LCoS 시장에서 기술경쟁력을 보유한 동사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중 기술 성숙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최근 양산이 가능해진 LEDoS 대비 해상도, 풀컬러 구현, 가격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고 밝힘. 스마트글래스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현재, LCoS를 탑재한 기기의 출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

▷이어 LCoS의 본격적인 개화는 2H25에 예정된 Meta의 신규 모델 출시가 기점이 될 것이라고 밝힘. Meta의 진입은 다른 빅테크 업체들의 LCoS 탑재 모델 출시 가속화를 이끌어 낼 것으로 전망. 현재는 주로 중국의 중소형 스마트글래스 업체들이 1,000~2,000대 수준의 적은 물량을 생산하며 소비자의 반응을 탐색하는 수준이지만, 빅테크 업체들의 대규모 양산 돌입과 진입으로 물량이 확대된다면, 동사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케이엔에스(432470) : CTNS에 AX 기반 AI 자율형 제조 시스템 납품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다품종 이차전지팩 전문기업 씨티엔에스(CTNS)에 AX(인공지능 전환) 기반 AI 자율형 제조 시스템 'CAMS V2'를 성공적으로 납품했다고 밝힘. CAMS V2는 900종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별도 조정 없이 연속 생산할 수 있는 AI 자율형 제조 시스템으로 생산 라인의 설비 제어부터 공정 설계, 품질 검사와 물류까지 모든 과정에 AI가 적용돼 시스템이 스스로 학습하고 제어하는 체계를 구현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정봉진 대표는 "AX 기반 자율형 제조 시스템 상용화는 당사가 가진 이차전지 자동화 역량을 한 단계 확장한 사례"라며 "향후에도 글로벌 배터리 산업 변화에 발맞춰 시장을 선도하는 자동화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밝힘.


알에스오토메이션(140670) : 美 로크웰과 피지컬 AI 전략 본격화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로크웰오토메이션과 차세대 스마트 모터 컨트롤러 출시를 위한 최종 전략회의를 연다고 밝힘. 이번 회의에서 양사는 제품 테스트 현황 점검, 사이버 시큐리티 등 각종인증 진행 상황, 최종 제품 출시 일정 등을 심도 있게 협의할 예정. 동사는 이번 전략회의를 통해 로크웰오토메이션 및 글로벌 파트너십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차세대 스마트 팩토리 및 인공지능(AI) 자동화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

▷이와 관련, 강덕현 대표는 "차세대 스마트 모터 컨트롤러는 당사의 피지컬 AI 전략의 핵심 축"이라며 "상위 컨트롤러와의 실시간 통신은 물론 온머신(On-Machine), 온디바이스(On-Device) 솔루션의 중심이 될 제품"이라고 강조.


쓰리빌리언(394800) : 사업 모델 긍정적 분석 및 연간 가이던스 달성 전망 등에 강세

▷iM증권은 동사에 대해 현재 추진하는 주요 사업 모델은 양질의 데이터 확보에 이점이 있다고 밝힘. 주요 매출은 의사로부터 직접 검사 의뢰를 받아 의료진에게 결과를 제공하는 형태의 full service로부터 발생한다며, 현재 약 70여개국 이상에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어, 다인종/다기관/다국가의 희귀질환 데이터들이 지속적으로 쌓이고 있어 긍정적이라고 설명.

▷이어 최근 희귀 유전질환 진단 검사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며, 최근 미국 소아과학회에서도 WGS/WES를 초기 검사로 권고한다고 발표했다는 점은 동사가 추구하는 사업 모델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실적 측면에서도 회사가 상장 시 제시했던 실적 가이던스를 잘 지키고 있는 상황이라며, 약 90억원의 2025년 연간 가이던스 대비 상반기 실적은 46억원으로 해당 추세 유지 시 충분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

▷한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개최한 'AWS 퍼블릭 섹터 데이(AWS Public Sector Day 2025)'에 참가해 인공지능 유전체 해석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구축사례를 발표했다고 밝힘.


SCL사이언스(246960) : 펜타메딕스 지분 60.31% 취득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발행 회사의 경영권 확보 및 암 백신 사업 진출 목적으로 (주)펜타메딕스 주식 115,869주를 16.04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60.31%, 취득예정일:2025-09-22) 공시.


에스티팜(237690) : 하반기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5년 연결 영업실적은 매출액 3,267억 원(+19.3% YoY), 영업이익 486억 원(+75.6 YoY, 영업이익률 14.9%)으로 추정한다며, 하반기에도 성장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 3분기는 일시적인 성장 둔화가 예상되지만, 4분기에는 상업용 물량 생산이 본격화되며 매출 확대와 함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이어 동사의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다고 언급. 6월 말 기준 올리고 원료의약품 수주잔고는 2억 4,322만 달러로 전체 수주의 82.4%를 차지하며 2024년 말 대비 57.7% 증가한 수준이라고 밝힘. 또한, 미국 아이오니스의 희귀질환 치료제 올레자르센이 중증 고중성지방혈증에서 긍정적인 임상 3상 Top-line 데이터를 발표하며, 향후 적응증 확장에 따른 원료 공급 확대가 기대된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12,000원 -> 130,000원[상향]


씨티케이(260930) : 계열사 씨티케이바이오, 미국에서 생분해성 패키지 최초 공개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계열사 친환경 소재 전문기업 씨티케이바이오(CTK BIO CANADA)는 강화되는 글로벌 규제에 발맞춰 개발한 생분해성 패키징 제품, 어스에디션팩(Earth Edition Pack)을 미국에서 소개하고 상용화한다고 밝힘. 씨티케이바이오는 현지시간으로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메이크업 인 뉴욕(MakeUp in New York)'에 참가해 기존 화장품 종이단상자를 대체 가능한 어스에디션팩을 글로벌 브랜드와 바이어에게 최초로 선보일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씨티케이바이오는 어스에디션팩으로 만든 생분해성 제품이 종이 단상자 시장을 대체할 것"이라며 "해당 제품은 크기와 모양을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며 로고를 음각으로 새길 수 있어 독창적인 패키징이필요한 화장품 시장에서 큰 이목을 끌 것"이라고 밝힘.


서진시스템(178320) : 내년 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SK증권은 동사의 NDR 후기에 대해 중대형 ESS의 경우 국내외 고객사 발주 증가 및 협력 관계 강화로 내년에는 올해 이연된 실적까지 얹어질 것으로 전망. 아울러 반도체 전공정 장비 투자 증가세를 확인했으며, 글로벌 고객사 대규모 LOI 러브콜, 신규 고객사도 내년부터 유의미한 실적을 보일 것으로 분석.

▷또한, 최근 뜨거운 관심 받는 글로벌 SOFC 연료전지 업체 양산 시작, 데이터센터 MLB PCB도 품질 인증을 통과했으며, 우주항공 분야도 순항, 발사체 부품까지 확대, 전기차 차체 생산 내년 본격화, 글로벌 전기차 업체 협력도 가시권이라고 밝힘.


정원엔시스(045510) : 엠키스코어와 238.27억원 규모 국가AI사업용 인프라 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엠키스코어와 238.2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48%) 규모 공급계약(국가AI사업용 인프라 장비 공급) 체결(계약기간:2025-09-11~2026-03-31) 공시.


디알텍(214680) : 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속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비제이 대상 2,375,296주(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2,105원, 상장예정:2025-10-02) 공시.


펄어비스(263750) : AMD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고성능 컴퓨팅의 선두 주자 AMD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힘.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처 '붉은사막'의 최적화된 게이밍 경험과 성공적인 글로벌 론칭을 위한 협력이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AMD의 최신 CPU와 GPU를 기반으로 붉은사막의 몰입감 있는 게임 플레이와 뛰어난 그래픽을 제공하고, 프로모션, 쇼케이스 등 다양한 출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계획.


제일테크노스(038010) : 30억원 규모 교환사채 발행 및 자사주 처분 결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확보를 위해 IBKC 교보 메자닌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1호 대상으로 30.00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8,509원, 교환청구일:2025-09-26 ~ 2030-08-19) 공시.

▷보통주 352,567주(30.0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9-19) 공시.


소니드(060230) : 90% 비율 감자 결정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90.00%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5-10-13, 상장예정:2025-11-04) 공시. 감자사유는 결손금 보전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으로 감자방법은 기명식 보통주 10주를 동일한 액면주식 1주로 무상병합임.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