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9.04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9-04 11:23
- 조회수 :
- 568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피팅(관이음쇠)/밸브, 조선기자재, 폐배터리, 원자력발전소 해체, 캐릭터상품, 지역화폐, 원자력발전, 건설 대표주, 니켈,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리튬,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핵융합에너지, 면역항암제, 3D 낸드(NAND), 재난/안전(지진/화재 등), HBM(고대역폭메모리), 유리 기판,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반도체 장비, 맥신(MXene), 콜드체인(저온 유통), 줄기세포, LED장비, 2차전지(전고체), 인터넷 대표주, 풍력에너지, 뉴로모픽 반도체, 2차전지(나트륨이온), 유전자 치료제/분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온디바이스 AI 등...
약세 테마 : 김밥(냉동김밥 등), 은행,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마리화나(대마), 자전거, 손해보험, 자동차 대표주, 종합 물류 등...
[특징 테마]
원자력발전 : 美 뉴스케일파워 대규모 SMR 수주계약 및 한수원 원자력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테네시밸리당국(TVA)과 엔트라원 에너지(ENTRA1 Energy)는 미국 남동부 7개 주에 뉴스케일사의 SMR 총 6GW를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TVA는 연방정부가 설립한 미국 최대 공공 전력공급기관으로, 테네시주를 포함한 남동부 7개 주 약 1,000만 명에게 전기를 공급한다고 알려짐. 이에 뉴스케일(NuScale)의 2대 주주이자 전략적 파트너인 두산에너빌리티 등 한국 기업들의 수혜가 기대되고 있음.
▷아울러 한수원은 지난 2일(현지시간) 세르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에서 세르비아 에너지광업부(MoME)와 원자력 및 수소 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 이번 협약을 통해 한수원과 MoME는 세르비아 원전 기반 마련,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그린수소 실증 프로젝트 실현 등에 협력하는 한편, 다양한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발굴에도 함께 나서기로 했음.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날 뉴스케일의 소형모듈원자로(SMR) 수주 소식에 주가가 8%대 강세를 보였고, 국내 원자력 관련주 투심 개선도 기대된다고 밝힘.
▷한편, 이날 한수원은 언론을 통해 지난 3일(현지시간)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설비개선사업'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힘. 사업은 루마니아 원자력공사가 발주했으며 월성 원전과 동일한 캔두(CANDU)형 중수로인 체르나보다 원전 1호기의 30년 계속운전을 위해 진행한다고 알려짐. 총 사업규모는 2조8,000억원, 사업기간은 약 65개월임.
▷이 같은 소식 속 에스앤더블류, 우리기술, 일진파워, 에너토크, 오르비텍, 한신기계, 대우건설, 한전기술, DL이앤씨, 한전산업, 두산에너빌리티, 지투파워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또한, 조선, 원전, 광산 플랜트 기자재 중심 모멘텀 기대감 등에 삼영엠텍도 상승.
2차전지/ ESS/ 리튬 등 : SK온, 美 대규모 ESS 수주 소식 및 LG엔솔, 카이스트와 리튬메탈전지 급속 충전 기술 개발 성공 소식 등에 상승
▷이날 SK온은 미국 콜로라도주에 본사를 둔 재생에너지 기업 ‘플랫아이언 에너지 개발’(Flatiron Energy Development)과 1기가와트시(GWh) 규모의 ESS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으로 SK온은 플랫아이언이 추진하는 매사추세츠주 프로젝트에 LFP 배터리가 탑재된 컨테이너형 ESS 제품을 2026년에 공급할 예정임. 추가로 플랫아이언이 오는 2030년까지 매사추세츠주를 포함한 미국에서 추진하는 6.2GWh 규모의 프로젝트에 대한 ‘우선 협상권’(Right of First Offer)을 확보했다며, 양사 협의를 통해 2026년부터 4년간 최대 7.2GWh 규모의 ESS 제품을 공급하게 된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최대진 SK온 ESS사업실장은 "이번 계약은 SK온이 배터리 케미스트리와 사업 포트폴리오를 동시에 확장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첨단 배터리 기술과 현지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추가 고객사를 확보해 북미 ESS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힘.
▷아울러 LG에너지솔루션과 카이스트(KAIST)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프론티어 리서치랩(FRL) 연구팀은 언론을 통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리튬메탈전지의 충전 속도를 혁신적으로 단축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FRL 연구팀은 1회 충전에 800㎞ 이상 주행, 누적 주행거리 30만㎞ 이상의 수명을 확보하면서 충전 시간을 12분까지 단축할 수 있는 리튬메탈전지 연구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Nature Energy)'에 게재했으며, 방전 효율과 에너지 밀도 개선은 물론 리튬메탈전지의 난제로 꼽히던 '충전 속도'에서 진일보한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알려짐.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전일 Mercedes-Benz 계열사, Mercedes-Benz AG와 각각 75GWh, 32GWh, 총 107GWh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한 바 있음.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튀르키예에서 전기차 판매가 급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1.44% 상승. 테슬라는 튀르키예에서 지난 8월 전월 대비 86% 급증한 8,730대의 모델Y 차량을 판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튀르키예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자동차 브랜드라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이브이첨단소재, 대진첨단소재, 유일에너테크, 코세스, 한중엔시에스, 나인테크, 피아이이, 필옵틱스, 자이글, 엠플러스 등 2차전지 등/ 전기차/ 리튬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 관련주 : 美 금리인하 기대감 등에 상승
▷3일(현지시간) 美 노동부에 따르면, 7월 계절조정 구인 건수는 718만1,000건으로 전월대비 17만6,000건 감소한 것으로 집계. 이는 지난해 9월 이후 10개월 만에 최저치로, 시장 예상치(740만건)도 하회. 6월 수치는 743만7,000건에서 735만7,000건으로 하향 수정. 에버코어ISI는 "7월 JOLTS의 부진은 이미 높은 연방준비제도(Fed)의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더욱 강화해 오는 5일(현지시간) 8월 고용보고서가 금리 인하를 무산시키기 어렵게 만들었다"고 분석했음. 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뉴욕 장 마감 무렵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5.6%로 반영.
▷전일 언론에 따르면, '마운자로' 처방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비만 치료제 시장이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고 전해짐. 지난달 14일 출시된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성분명 티르제파타이드)는 2주 만에 1차 물량이 모두 소진됐으며, 대부분 유통업체에서 재고가 소진돼 이번 주 중 추가 물량이 공급될 예정. 업계 관계자는 "초도물량이 제한적이었던 점도 작용했겠지만 이번 완판 현상은 비만 치료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고바이오랩, 제넥신, 삼천당제약, 메드팩토, 신라젠, 앱클론, 더블유에스아이, 비보존제약, 삼일제약, 일동제약, 일양약품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또한, 파트너사 이뮤노반트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토클리맙'이 임상 2상서 그레이브스병 치료 확인 소식 등에 한올바이오파마도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GS피앤엘(499790) : 호텔 산업 구조적 호황에 따른 실적 모멘텀 확대 전망 등에 급등
▷하나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호텔 산업의 수요 증가와 공급부족이라는 구조적 호황 국면에서 서울 내 독보적 위치와 규모(5성급 기준 강남 최대), 리뉴얼 효과에 따라 실적 모멘텀이 가파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특히, 5성급 호텔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를 보유하고 있고, 동일한 브랜드를 사용하던 코엑스 호텔은 웨스틴 브랜드로 리모델링 중에 있다고 밝힘. 이와 더불어, 명동/인사동/동대문/판교/용산 등 서울 핵심 지역에 나인트리 브랜드로 총 6개의 비즈니스호텔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
▷한편, 실적 안정성에 근거한 안정적 캐시카우 역할만으로 15배 적용이 가능, 향후 중국인까지 본격적으로 들어오면서 추가 성장 여력 기대되는 바 적정 PER 20배를 적용했다고 밝힘. 현재 주가 12MF PER 17배로 높아 보이지만, 호텔의 실적 개선 폭과 가시성은 높기 때문에 2027년 실적까지 미리 당겨서 주가에 선반영할 수 있으며, 부동산가치(1.2조원)으로 산정할 경우 추가 기업가치 제고도 가능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67,000원[신규]
성안머티리얼스(011300) : 관계사 우성금속, 러시아 광산 기업에 620억 규모 튜빙 세그먼트 수주 관련 샘플 공급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관계사 우성금속이 러시아 광산 기업에 620억원 규모의 '튜빙 세그먼트' 수주를 위한 샘플을 공급한다고 밝힘. '튜빙 세그먼트'는 광산 터널에 설치하는 철제 주물 설비로, 블록 조각을 원형 형태의 링(Lining Ring)으로 조립해 제작하는 방식의 제품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우성금속 관계자는 "과거 우크라이나의 주물 기업이 '튜빙 세그먼트'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해당 공장의 기반 시설이 파괴된 상황"이라며, "영국의 글로벌 광산기업인 앵글로 아메리칸(Anglo American)이 대체 제조 기업을 찾던 중 당사의 기술력에 주목해 작년에 첫 주문을 발주했고 해당 신규사업으로 실적 고성장이 가능했다"고 밝힘.
한올바이오파마(009420) : 파트너사 이뮤노반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토클리맙' 임상 2상서 그레이브스병 치료 확인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파트너사 이뮤노반트가 지난 3일(현지시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토클리맙'(HL161BKN)의 그레이브스병 대상 임상 2상에서 치료 종료 후 6개월간 유지 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밝힘. 이번 임상 결과에 따르면, 바토클리맙 치료 종료 후 약 80%(17명)의 환자에서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6개월간 정상 수준으로 유지됐다고 설명. 이 중 약 50%(8명)가 항갑상선제 없이도 안정적인 호르몬 수치를 유지했으며, 30%(5명)는 소량의 항갑상선제를 복용하면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보였고 안전성과 내약성은 이전 연구들과 일관되게 나타났다고 언급.
▷이와 관련, 정승원 동사 대표는 "이번 데이터는 HL161이 그레이브스병에서 질환 조절 가능성을 입증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있다"며, "향후 예정된 임상 결과를 통해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혁신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힘.
동원산업(006040) : 식품성장 동력 확보 분석 등에 상승
▷iM증권은 동사에 대해 동원F&B 합병 완료에 따라 식품부문이 강화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고 분석. 특히, 글로벌 식품부문 구축에 따라 기존에 미국 스타키스트 - 한국 가공식품으로 나뉘어져 있던 식품사업을 아우르는 장기 비전 제시 가능한 체제로 변화했으며, 미국 내 가공식품 사업 확장을 위한 계획도 구체화 중이라고 분석. 추진속도 감안시 단기 가시화 가능성에 무게.
▷한편, 반기 배당 550원 지급 실시, 배당성향의 순차확대 계획을 제시(현재 10% 중후반 수준 → 점진적으로 30%까지 확대)했으며, 배당 상향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흐름을 고려, 주주환원 측면에서의 매력 또한 부각되고 있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70,000원[신규]
삼성전기(009150) : MLCC 가격 인상 기대감 및 ASIC 시장 개화 수혜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MLCC 업계 전반의 가동률이 매우 높다며, 추가적인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밝힘. 3분기가 IT 성수기임을 감안하더라도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특히 올해는 상반기 관세로 인한 선출하로 성수기 효과가 약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3~24년 3분기 대비 더 높은 가동률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라고 밝힘.
▷아울러 2026년부터 본격화될 ASIC 시장의 개화는 동사의 FC-BGA 비즈니스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 이는 기존 선두 업체들이 엔비디아향 GPU 패키지 기판 수요 대응에 집중하고 있어, ASIC향 대응 여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으로 분석. 동사는 베트남 공장의 유휴 공간을 활용한 Capa 증설이 가능해, 신규 수주확보에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90,000원 -> 210,000원[상향]
신성이엔지(011930) : 새만금 햇빛나눔사업에 73MW 태양광 모듈 공급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새만금 햇빛나눔사업에 73MW(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모듈을 공급한다고 밝힘. 73MW 규모의 이번 납품은 새만금에서 최초로 진행하는 수상태양광 사업 중 단일 공급업체 기준 최대 물량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연간 100GWh 이상 친환경 전력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국내 대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인 새만금 햇빛나눔사업에서 다시 한 번 기술력과 경쟁력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힘.
한국콜마(161890) : 롯데면세점과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롯데면세점은 언론을 통해 국내 대표 화장품 제조자개발생산(ODM) 기업인 동사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K뷰티 브랜드의 글로벌 판로 확대 지원에 나선다고 밝힘. 이번 MOU는 양사 간 상생협력 활동을 활성화해 K뷰티 브랜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동사 제조 고객사를 대상으로 롯데면세점 입점 컨설팅 및 글로벌 세일즈 채널 확대 지원에 나설 예정. 특히, 양사는 롯데면세점 명동본점에 K뷰티관을 선보인다는 계획.
대양금속(009190) : 96.61억원 규모 영풍제지 주식 처분 결정 속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재무구조 및 경영손익 개선 목적으로 영풍제지 주식회사 주식 3,895,915주를 96.61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처분후지분율:6.97%, 처분예정일:2025-09-18) 공시.
▷한편, 영풍제지 주가도 상승세를 기록.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이지트로닉스(377330) : 인도 최대 자동차 부품제조기업 마더슨그룹과 합작법인 설립 소식에 상한가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도 최대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 마더슨 그룹과 함께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인도 전기차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힘. 동사는 합자회사에 총 2,697,900,000원의 자본금을 출자하며, 지분율은 상호협의에 따라 마더슨 51%, 동사 49%로 설정했다고 언급. 이번 합자회사 출범은 동사의 전기차용 DC,DC 컨버터(Converter) 제품을 인도 현지 전기차 제조사에 대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범하며, 법인 위치는 인도 노이다에 위치할 예정.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급속도로 성장하는 인도 전기차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현지 기업과의 여러 협력을 진행했으며, 이번 합자회사 출범으로 인도시장에서의 사업 확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삼영엠텍(054540) : 조선, 원전, 광산 플랜트 기자재 중심 모멘텀 기대감 등에 급등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마스가(MASGA)’ 프로젝트, 글로벌 선박 발주 증가 등 조선업 부흥 기대감이 실적 및 주가 모멘텀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현재 국내 대형 선박 엔진의 핵심 구조재인 MBS(Main Bearing Support)를 생산, HD현대중공업 등으로 전량 납품하고 있다며, 향후 국내 조선 빅3(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MBS 부문 필수 밸류체인으로 구축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아울러 핵심 캐시카우인 광산 플랜트 기자재 ‘Pallet Car’의 안정적 성장이 예상되고, 원전기기에 사용되는 펌프, 밸브 등 주요 발전 관련 기자재부품은 아직 매출이 미미하지만, 향후 원전 사업 본격 진행 시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25년 예상 실적 기준 현재 주가는 P/E 12배 수준으로 조선업체 및 동종 기자재 업체 대비 현저한 저평가 상태에 있다고 분석.
프로티나(468530) : JP모건, 동사 지분 매입 소식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전자공시를 통해 JPMorgan Asset Management (Asia Pacific) Limited가 동사 지분 5.16%(560,500주)를 취득했다고 밝힘. 보고사유는 신규보고의무 발생이며, 보유목적은 단순투자임.
슈프리마(236200) : 스마트 빌딩 시장 확대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LS증권은 동사에 대해 스마트 빌딩 성장에 따라 견조한 수요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 동사는 2020년 9월 온디바이스 AI 안면인식 제품(FS-f2) 판매 개시 이후 BS3, W3 등 신제품을 출시하였으며, 동사의 AI 제품 매출 비중은 2020년 7.3% → 2024년 43.0%로 증가하였다고 언급. 특히, 동사의 AI 제품 평균 ASP는 비AI 제품 대비 2배 수준 & 마진율이 높음에 따라 GPM이 2020년 58.8% → 2024년 65.1%로 개선되었다고 분석.
▷동사의 AI 제품 매출 비중 상승은 북미·유럽 지역 재건축 투자 확대 흐름, 중동 스마트 시티 구축 프로젝트 진행, 인도 생산기지 이전 등 글로벌 스마트 빌딩 시장 확대 흐름에 따른 AI 제품 수요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 당사는 향후에도 동 제품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전망하는데, 이는 동사의 AI 제품은 연간 +15% 이상 성장하는 스마트 빌딩 내 보안 시스템에서 주요 구성품이 되기 때문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51,000원[신규]
유니셈(036200) : 삼성전자 투자 수혜 기대감, 신규 장비 모멘텀 부각 등에 강세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실적은 전분기 기고 효과로 숨고르기에 들어가겠으나, P4 효과가 4Q25에 쏠리면서 크게 반등할 것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삼성전자 P4 투자가 한창 진행 중이라며, 상반기 Phase1 에 대한 투자 이후 Phase3 의 장비 발주가 곧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P4 효과는 3분기말을 시작으로 4Q25-1Q26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삼성전자 테일러는 내년 20K/m 수준의 투자로 1H26 주요 공정 장비 입고가 시작될 것으로 보여 동사의 스크러버와 칠러도 1Q26 셋업이 완료될 것으로 추정.
▷아울러 테일러 Fab의 미국 내 고객사는 향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추가 투자 확대도 가시적이라고 언급. 전방 투자 사이클과 더불어 신규 장비 모멘텀까지 붙고 있다며, 2026년 NAND V10 투자를 앞두고 초저온 식각 장비 대응을 위한 칠러 공급을 준비 중에 있다고 설명. 또한, RE100 이후 제조사의 친환경 장비에 대한 관심이 커졌는데 본격적인 도입을 위한 평가가 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며, 동사 역시 CO2 칠러, 히터/촉매 타입의 스크러버 개발을 통해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8,500원 -> 11,000원[상향]
이브이첨단소재(131400) : 투자사 프롤로지움, CEA와 분해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 공개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동사가 투자한 대만의 프롤로지움이 프랑스 원자력 및 대체에너지청(CEA)과 공동 개발한 분해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를 공개했다고 밝힘. 프롤로지움은 "이 배터리 모듈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컴팩트한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셀 단위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비접합(non-welded) 설계를 채택했고, 수리성과 재활용성, 재사용성이 크게 향상됐다"고 설명.
▷한편, 동사는 21년8월 대만 전고체배터리 업체 프롤로지움 주식을 취득하기 위해 New Epoch Capital LP의 시리즈E 우선주 청약해 참여하는 방식으로 850만 달러(약 98억원)를 투자한 바 있음.
이노와이어리스(073490) : 매수 진입 적기 분석 등에 강세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까지는 부진한 실적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나, 4분기엔 2021년/2023년에 버금가는 역대급 분기 실적 달성이 예상된다며, 2025년 실적 기준 PBR 1배 미만으로 여전히 저평가되어 있다고 밝힘. 아울러 2026년 미국/한국 주파수 재할당 및 신규 할당 예정으로 2025~2026년 미국 AT&T CAPEX 가이던스 상향 조정 등 통신장비 업황 개선 가능성이 감지되고 있고, 국내/일본/미국을 중심으로 매출처가 확대되는 양상이라고 설명. 또한, LIG 계열사로 편입 후 M&A를 통한 성장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2026년 방산 매출 증가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이에 밸류에이션으로 보면 강한 주가 하방 경직성이 나타나는 가운데, 점차 재료/실적을 기반으로 주가 상승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중/장기적인 관점 하에 매수에 나설 것을 권고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0,000원[유지]
엘앤씨바이오(290650) : 방콕 국제학술 컨퍼런스 ASLS 참가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태국 방콕 아바니 플러스 리버사이드 호텔에서 열린 'ASLS BANGKOK 2025 국제미용학술대회'에 참가해 ECM 기반 스킨부스터 '리투오(Re2O)'를 선보였다고 밝힘. 동사 부스에는 400여명의 의료진이 방문했으며, 학회에 연자로 참여한 피어나의원 최호성 원장은 'hADM Injection'을 차세대 피부재생 기술(Breakthroughs)로 소개하면서 리투오의 임상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발표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싱가포르 세미나에 이어 태국 학회에서도 리투오에 대한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었다"며 "임상적 근거와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아세안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학회 및 파트너십을 통해 해외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힘.
오상헬스케어(036220) : 실적 턴어라운드 모범사례 및 주가 매력 충분 분석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턴어라운드의 모범사례라고 밝힘. 올해 상반기 실적 개선의 지속 가능성과 확장성을 확인했으며, 1월 콤보키트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으로 실적 안정성을 확보했고, 알레 헬스(Allez Health)와 전략적 투자를 통해 CGM(연속혈당측정기)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라고 설명.
▷또한,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82.3% 늘어난 741억원,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한 105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글로벌 의료기기 업체와 콤보키트 독점 공급 계약 효과가 실적에 반영됐으며, 코로나19 및 독감 발생 추이에 따라 다년간의 계약 조건으로 안정적인 실적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또한, 2~3년간 콤보키트 중심의 안정적인 매출 흐름이 지속되어 실적 변동성은 축소될 것이라며, 주요 고객사와의 계약은 추후에도 지속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현재 주가는 25년 예상 실적 기준 주가영업이익비율(POR) 10배 이하로, 단기 계절적 성수기 진입과 중장기 CGM 시장 진출 가능성 감안 시 주가 매력은 충분하다고 분석.
한중엔시에스(107640) : 149.99억원 규모 유상증자 및 150억원 규모 CB발행 결정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라이프-JB우리 한중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등 대상 우선주 446,054주(1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3,628원, 상장예정:-) 공시.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를 위해 라이프-JB우리 한중신기술투자조합 제1호(투자자) 대상으로 15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33,628원, 전환청구일:2026-09-11 ~ 2030-08-11) 공시.
에이치시티(072990) : 국토부로부터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능 시험기관으로 공식 지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토교통부로부터 '전기차 배터리 안전 성능 시험' 기관으로 공식 지정됐다고 밝힘. 지난 2월부터 시행된 전기차의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도' 유예 기간이 끝나는 오는 2026년 2월부터 제조사의 자가 인증 방식이 아닌 국토부가 지정한 기관의 안전 성능 시험을 통과해야만 전기차 출고가 가능한 가운데, 동사는 국내 최초로 전기차(EV)와 에너지 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인증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시험기관이 됐다고 설명.
▷허봉재 대표는 "전기차와 ESS 분야의 동시 인증 역량은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으로 도약하는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며, "K-배터리의 세계 시장 진출을 돕는 중추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밝힘.
알파녹스(043100) : 최대주주 변경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에이아이(AI)혁신성장에쿼티로 변경 공시. 변경사유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변경후 소유주식수는 3,003,004주, 소유비율은 14.93%임.
앱튼(270520) : 코인거래소 빗크몬 운영 골든퓨쳐스 인수 결정 등에 상승
▷신사업 추진을 통한 신성장동력 추가 목적으로 (주)골든퓨쳐스 주식 8,750,000주를 51.25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69.1%, 취득예정일:2025-09-23) 공시.
▷동사는 언론을 통해 코인거래소 '빗크몬'을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서 기업가치 10조원 이상의 데카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발판으로 삼기 위해 빗크몬을 국내외 굴지의 거래소로 성장시킨다는 목표라고 언급. 단기간 내에 빗크몬의 연간 코인 거래액을 최소 5,000억원 이상으로 늘리기 위해 대규모의 코인 블록거래 계획을 이미 확립했다며, 이를 위해 이미 글로벌 거래소와의 협력도 추진하고 있고 경영권 양수가 마무리되면 주요 시중은행 또는 인터넷전문은행과 실명연계계좌 제휴도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도로시 신기술조합제81호 대상 21,000,000주(201.81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961원, 상장예정:2026-06-19) 공시.
쿠콘(294570) : 글로벌 결제·스테이블코인 신사업 확대 전망 등에 상승
▷지엘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국내 최대 수준의 200만여개의 오프라인 QR 결제, 전국 4만여개의 ATM, 7만여개의 대표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 다양한 결제 인프라를 기반으로 국내외 페이 업체들과 협력해 결제 및 출금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동시에,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온/온프라인 결제망 구축을 병행하고 있다고 밝힘. 동사는 이러한 인프라 고도화와 레그테크 확장을 토대로 향후 3~4년 내 전체 결제, 정산 규모 40조원 달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스테이블코인 기반 국제 결제, 정산 시장의 핵심 인프라 제공자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의 데이터 서비스 부문은 금융, 공공, 의료, 유통, 통신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요한 개인, 기업, 글로벌 정보를 API 형태로 제공하며, 국내 최대 규모의 데이터 API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밝힘.
씨어스테크놀로지(458870) : 웨어러블 AI심전도 ‘모비케어’ 사용 50만건 돌파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부정맥을 진단하는 자사의 국내 1위 심전도 분석 솔루션 ‘모비케어(mobiCARE™)’ 진단 건수가 누적 50만 건을 넘어섰다고 밝힘. 회사 측은 국내 최대 규모의 심전도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AI 알고리즘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정밀하고 신뢰성 높은 부정맥 진단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분석했음. 이에 입원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씽크thynC™)’가 전체 실적을 견인하는 가운데, 양대 성장축인 모비케어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특히, 기존 외래 환자 대상 모비케어 서비스를 포함해 연말 건강검진 수요 집중 시기에는 건강검진 기관에서 부정맥 스크리닝 서비스 매출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를 통해 연간 흑자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오테크닉스(039030) :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모태이자 캐시카우인 레이저 마커가 후공정 첨단 패키징 수요 확대와 고집적화에 따른 범핑과 마킹 수요 대응으로 상반기부터 견실 실적 반등이 나타났다고 언급. 레이저 커팅, 디본더, 레이저 어닐러 등 신규 성과가 쌓여가며 중장기 성장에 대한 확신에도 힘을 싣고 있다며, 여기에 삼성전자 투자 사이클과 맞물리면서 2025년, 2026년 실적 성장이 본격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아울러 2026년 EPS에서 Target Multiple 40배를 적용하였으며 Target Multiple은 최근 5개년 평균 P/E의 20% 할증 값으로 고부가 신규 장비 개발 이후 성과가 본격적으로 쌓이는 시점임을 감안하였다고 설명. 이어 소부장 장비 내에서 모멘텀의 가장 풍부한 업체로 리레이팅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270,000원[신규]
파크시스템스(140860) : 반도체 선단공정 미세화 수혜 본격화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반도체 선단공정 미세화와 검사 수요 확대로 구조적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힘. 동사의 원자현미경은 샘플 표면을 비접촉 방식으로 검사할 수 있는 유일 장비로, 반도체 선단공정의 미세화와 수율 관리에 필수이라며, 독일 Accurion(2022), 스위스 Lyncee TEC(2025) 인수를 통해 물리적 방식의 한계를 극복해 후발 주자와의 격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는 2014년 이후 매년 두자리수 이상을 매출 성장률을 보여왔을 정도로 업황의 영향을 크게 타지 않는다며, 압도적 경쟁 우위와 기술 변화에 부합하는 업체임을 방증한다고 설명. 이어 주가 rerating 위한 재료는 계속 쌓여갈 것으로 최근 주가 하락은 기회 요인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330,000원[신규]
비보존 제약(082800) :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 초도 물량 국내 입고 속 본격 출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의 초도 물량이 국내로 입고돼 본격적인 출시 준비에 들어간다고 밝힘. 오는 5일 입고되는 첫 번째 물량은 약 5,000바이알 규모로 종합병원 약사위원회(DC)심의 등에 우선 공급될 예정. 또한, 약 5,300바이알 규모의 추가 물량도 순차적으로 국내에 들여와 9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유통에 나설 계획임.
▷동사 관계자는 "미국에서 위탁생산된 초도 물량의 국내 반입을 시작으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의 국내 판매가 본격화된다"며, "세계 최초 비마약성·비소염제성 진통제인 어나프라주 출시를 계기로 중등도 이상 급성통증 치료 시장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것"이라고 밝힘.
아이텍(119830) : 국내 팹리스 성장 수혜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독립리서치 아리스는 국내 팹리스 기업의 AI반도체 시장에 대한 도전과 성과가 지속되는 가운데, 안정적으로 테스트를 해줄 수 있는 역량이 부각되면서 최대 수혜 기업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 특히, 동사는 지난 4월 반도체 전문기업 딥엑스(DeepX)의 반도체 테스트 하우스로 선정되었다는 소식을 전했으며, 딥엑스의 첫 양산 제품인 DX-M1의 MPW(하나의 웨이퍼에 여러 종류의 칩을 동시에 제작하는 방식) 단계부터 제품 검증과 테스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협업을 진행중이고, 초미세공정 양산 제품에 대한 시스템 레벨 테스트(SLT)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
케이지에이(455180) : 모빌로보틱스와 첨단 로봇 및 미래 모빌리티용 확장형 전원 솔루션 관련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모빌로보틱스와 휴머노이드 등 첨단 로봇 및 미래 모빌리티용 확장형 전원 솔루션의 양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으로 동사는 'FIB'와 'FIS' 양산을 담당하며, 모빌로보틱스는 제품의 지속적인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R&D)과 사업화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피지컬 AI 시대의 가장 큰 숙제는 배터리이며, FIB·FIS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이라며 “자율주행 로봇, UAM, 드론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는 만큼 관련 시장에서도 많은 러브콜이 기대된다”고 밝힘.
MDS테크(086960) : MDS인텔리전스, ‘암호키 관리솔루션’ 신SW상품대상서 과기부장관상 수상 소식 등에 소폭 상승
▷동사의 핵심 계열사 MDS인텔리전스는 자사 개발 제품인네오키매니저(NeoKeyManager) v4.0이 6월 신소프트웨어(SW)상품대상으로 선정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힘. 네오키매니저 v4.0은 사내 암호 키와 인증서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 관리하는 강력한 플랫폼이며,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KMIP 표준을 준수하는 KMS로 인정받아 금융, 공공, 제조 등 암호 키 관리가 중요한 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용 가능한 신뢰하는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설명.
▷이와 관련, MDS 인텔리전스 지창건 대표는 “네오키매니저가 v4.0으로 업그레이드됨에 따라 더 효율적으로 암호 키 관리를 할 수 있다”며 “차량 소프트웨어 보안을 더욱 강화하고 SSL/TLS 인증서 신청부터 발급, 배포, 갱신,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솔루션으로도 확장시키는 등 앞으로도 지속적인 혁신으로 글로벌 보안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힘.
와이제이링크(209640) :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3,830원임.
이삭엔지니어링(351330) : SK하이닉스 수주 지속으로 연내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김창수 대표가 SK하이닉스 수주 지속으로 연내 턴어라운드가 예상된다고 밝힘. 김창수 대표는 "올해 하반기는 동사의 손익과 사업측면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기존 사업에서는 SK하이닉스로부터의 수주가 이어지고 신사업도 국내외에서 유의미한 성과가 예상된다. 리사이클링 신사업 역시 순항 중으로 사업 전반에 훈풍이 불고 있다. 주요 모멘텀에 힘입어 하반기에는 턴어라운드가 유력해 보인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굵직한 호재에 힘입어 하반기 흑자 전환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며, 상장 이래 확장해 온 여러 사업에서 성과가 가시권에 들어왔고, 지난해 이연된 수주를 포함하면 1,150억원 규모의 수주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짐.
원익IPS(240810) : 하반기 이후 실적 반등 전망 등에 소폭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 는 디스플레이 매출 인식이 늘어나면서 실적 숨고르기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나, 4Q25 에 전환 투자 및 P4의 메모리 신규 투자 효과가 집중되면서 3년 만에 3천억대 매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이와 관련, 삼성전자 테일러 팹 모멘텀이 기대감에서 구체화되고 있다며, 초기 증설 규모는 20K/m 수준으로 추정되어 동사에 1,300 억원 매출 규모가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이어 현지 고객 확보가 용이해져 향후 추가적인 투자 확대도 가시적이라며, 그 동안 파운드리 투자가 사실상 없었던 점을 고려하면 파운드리 투자의 시작은 동사의 새로운 성장 동력임이 분명하다고 밝힘.
▷아울러 4년 만에 투자 사이클이 도래하고 있는 시점으로 장비 chain 전반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가운데, 전방 투자에 따른 실적 베타가 가장 큰 업체는 동사라며, 장비 업체 내 Top-pick 관점을 유지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7,000원 -> 55,000원[상향]
신테카바이오(226330) : 100억원 규모 CB발행 결정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채무상환자금 확보를 위해 (주)상상인저축은행 등 대상으로 10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5,660원, 전환청구일:2026-09-12 ~ 2028-08-12) 공시.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