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8.14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8-14 11:29
- 조회수 :
- 212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낙태/피임, 제대혈, 웹툰,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비만치료제, 탈모 치료, 구충제(펜벤다졸, 이버멕틴 등), 광고, 탄소나노튜브(CNT), 줄기세포, 치매, 항공기부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리튬, NI(네트워크통합), 손해보험,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건강기능식품, 토스(toss), 유심(USIM),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인터넷 대표주, 백신여권,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폐배터리, 면역항암제 등...
약세 테마 : IT 대표주, 카지노, 보안주(물리), 아이폰, 야놀자(Yanolja), 뉴로모픽 반도체, 리츠(REITs), 반도체 대표주(생산), 해운, 김밥(냉동김밥 등), HBM(고대역폭메모리),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전선, 생명보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무선충전기술, 갤럭시 부품주, 폴더블폰, 항공/저가 항공사(LCC), LED장비, PCB(FPCB 등), 휴대폰부품,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유리 기판, 온디바이스 AI 등...
[특징 테마]
웹툰 : 네이버웹툰 모회사 웹툰 엔터(+81.20%),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서 네이버웹툰의 모회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웹툰 엔터)가 월트디즈니와 파트너십을 맺었다는 소식에 81.20% 폭등 마감. 웹툰 엔터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힘. 이번 계약에 따라 디즈니와 마블, 스타워즈, 20세기 스튜디오의 인기 지식재산(IP)이 세로 스크롤 방식의 웹툰으로 제작될 예정. 첫 번째 웹툰화 작품으로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어벤져스', '스타워즈', '에이리언', '아주 오래된 이야기' 등 5편이 선정됐다며, 웹툰 엔터는 영어 앱에 디즈니 전용관을 마련하고 약 100편의 협업 시리즈를 선보일 계획으로 제작에는 인공지능(AI)을 사용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식이 적용된다고 전해짐.
▷언론에 따르면, 월가에서는 이번 파트너십을 웹툰 플랫폼 가치 상승의 계기로 평가하고 있다고 전해짐. 투자은행 레이먼드 제임스는 디즈니처럼 까다로운 IP 보유자의 승인을 받은 것은 웹툰 플랫폼의 가치와 독특한 고객층과의 연결성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다른 주요 IP 보유자들도 웹툰과 협업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 JP모건 역시 이번 협력이 디즈니의 최대 규모 출판 파트너십 중 하나라고 평가.
▷이 같은 소식 속 미스터블루, 엔비티, 와이랩, 핑거스토리, 탑코미디어 등 웹툰 테마가 상승.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 정부, 수소에너지 국정과제 추진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가 전일 향후 5년간의 국정 청사진을 담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공개한 가운데,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은 국가비전과 3대 국정원칙, 5대 국정목표, 12대 국정과제, 재정지원 계획, 입법 추진계획 등으로 구성됐음. 이 가운데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는 전국 전력망과 수소·재생에너지 인프라를 연결하는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계획을 본격화한다고 알려짐.
▷특히, 국정기획위원회가 새 정부 국정과제 123개를 발표한 가운데, 전국을 5개 권역과 3개 특별자치시도로 재편해, 수도권 1극 체제를 넘겠다는 구상이 담겼음. 지역 맞춤형 미래산업으로 강원도에는 바이오와 수소에너지, 인공지능 기반 첨단산업을 꼽았으며, 전라남도는 재생에너지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산단' 전환과 '청정수소 에너지 산업벨트'를 구축으로 석유화학 위기를 극복한다는 구상이 담겼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비나텍, 원익머트리얼즈, SK디앤디, 범한퓨얼셀, 미코 등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테마가 상승.
남북경협 : 李 정부 첫 경제전략에 '남북경협' 포함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다음주 공개할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 남북 경협 준비 문구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구체적인 사업 내용 대신 남북 간 대화 여건이 조성되면 경협을 본격 추진하겠다는 방향성이 담길 것으로 알려짐. 정부가 매년 두 차례 발표하는 경제정책방향에 ‘남북 경협 준비’ 관련 문구가 포함된 것은 2020년 이후 5년 만으로 대북 제재 상황에서도 남북 교류 협력 사업을 사전에 발굴해 한반도 긴장 완화 등 여건이 무르익으면 개성공단을 비롯한 남북 경협을 추진해 부진한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임.
▷정부가 마련 중인 경제성장 전략에는 북미 대화 진전 등 여건이 조성됐을 때 경협을 본격화하기 위한 선제적 준비가 포함된다며, 여건 조성 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으로 개성공단 재가동, 나진·하산 프로젝트, 광역두만개발계획(GTI) 북한 재가입, 한강하구 공동 이용 사업 등이 검토되고 있음. 이와 관련,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남북 경제협력이 이뤄질 수만 있다면 잠재성장률 3%대 달성은 충분히 가능하다”며 “지금 당장 할 수 없어도 상황이 조성되면 언제든지 진행할 수 있도록 경협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30년간 개성공단 가동의 누적 경제성장 효과는 159조2,000억원에 달한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신원, 인디에프, 도화엔지니어링, 재영솔루텍 등 일부 남북경협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서흥(008490) : 2분기 호실적에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900.20억원(전년동기대비 +9.98%), 영업이익 201.22억원(전년동기대비 +83.62%), 순이익 239.43억원(전년동기대비 +695.13%).
HS애드(035000) :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기업가치 제고 계획('25년내 보유 중인 자기주식 359,765주 전량 소각 등) 공시. 연결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의 30% 이상이었던 기본 배당성향을 향후 3년간 50%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이후엔 최대 60%까지 높인다는 계획으로 기본 배당 외에도 매년 주당 300원의 추가 배당을 향후 3년간 실시할 방침임. 또한, 올해부터 처음으로 중간배당도 실시한다며, 보통주 1주당 100원(시가배당율 1.2%) 현금배당(중간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8-28) 공시. 아울러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 35만 9765주(발행주식 총수의 2.17%)를 연내 전량 소각할 예정.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89.98억원(전년동기대비 -20.66%), 영업이익 4.61억원(전년동기대비 -92.50%), 순손실 6.1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에이블씨엔씨(078520) : 2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76.93억원(전년동기대비 +3.06%), 영업이익 71.87억원(전년동기대비 +39.56%), 순이익 39.43억원(전년동기대비 +9.10%).
현대해상(001450) : 2분기 재무안정성 개선 분석 등에 강세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업종 전반적으로 발생보험금 증가세가 지속되는 국면에서 동사의 2분기 보험손익은 예상된 수준의 부진을 나타냈지만, 긍정적인 점은 CSM의 기중 조정 규모가 축소되고 시장금리 상승에 의한 AOCI 개선으로 K-ICS비율이 170%로 상승하면서 재무안정성이 직전보다 개선된 것과, 연이은 신계약 마진 제고로 인해 미래서비스손익을 담보하는 CSM이 질적으로 좋아진 것이었다고 밝힘. 다만, 자산-부채 듀레이션 갭은 -3.0년으로 전분기보다 0.8년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상장사 중 가장 언매칭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
▷동사의 투자 포인트인 관리급여 신설과 자본 규제 강도의 약화 기대감은 유효하다며, 커버리지사 중 유일하게 YTD 10% 미만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한 동사는 재료 실현에 시간이 필요할지언정 상승여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 이에 업종 차선호주로 유지한다고 언급.
▷한편, 2Q25 별도 당기순이익은 2,478억원(-30% YoY)으로 당사 추정치에 부합하지만 시장 컨센서스를 8% 하회했다고 밝힘. 특히, 2Q25 보험손익은 2,127억원(-43% YoY)으로 감소했다며, 전년 동기에 이례적으로 흑자를 나타낸 예실차가 적자로 전환된 것과 PAA손익의 감소가 YoY 감익의 주 원인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8,000원[유지]
SJG세종(033530) : 2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814.56억원(전년동기대비 +4.45%), 영업이익 372.08억원(전년동기대비 +54.94%), 순이익 229.07억원(전년동기대비 +16.97%).
메리츠금융지주(138040) : 2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및 주주환원 정책 기대감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35조원(전년동기대비 -16.67%), 영업이익 9,497.33억원(전년동기대비 -5.55%), 순이익 7,375.68억원(전년동기대비 +0.18%).
▷이와 관련,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은 1% (YoY) 감소한 7,251억원으로 추정치 부합했고, 시장 기대치는 9% 상회했다며, 메리츠화재/메리츠증권의 순이익은 각각 4%/5% (YoY) 증가하며 자회사 모두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설명.
▷이어 하반기에는 매일 약 75억원의 자사주를 매입 중이며, 자사주 매입/소각의 수익률이 요구수익률을 상회하고 있음에 따라 당분간 자사주 중심의 주주환원 정책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예상 주주환원수익률은 6% 중반대까지 상승했는데, 견조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는 동시에 자사주 매입/소각에 따라 빠른 BPS 증가가 예상되는 바 향후 안정적인 주가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판단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유지]
금호타이어(073240) : SBTi 온실가스 감축 목표 승인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로부터 2030년 단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2045 넷제로(Net-Zero) 목표에 대한 승인을 획득했다고 밝힘. SBTi는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유엔글로벌콤팩트, 세계자원연구소 등이 공동 설립한 글로벌 연합기구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파리협정의 1.5°C 시나리오에 부합하는지를 과학적으로 검증한다고 알려짐.
▷이와 관련, 김명선 동사 생산기술총괄 부사장은 "2045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제품 설계, 원재료, 생산, 운송, 사용, 폐기 단계 전반에 걸쳐 탄소중립 감축을 추진중"이라며, "온실가스 감축 뿐만 아니라 친환경 제품 개발 및 지속가능한 재료 확대 등 고도화를 앞두고 있다"고 밝힘.
삼성생명(03283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분석 및 하반기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지배순이익은 7,589억원(보험손익 5,535억원, 투자손익 3,546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다며, 양호한 예실차와 손실계약비용 덕분이라고 밝힘. 특히, 타사와 달리 손실계약비용 환입(752억원)이 있었는데, 이는 예금보험료 요율 인하에 따른 사업비 가정 변경, 보유계약 데이터 변경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어 K-ICS비율은 186.7%(+9.6%p q-q)로 상승했으며, 3분기는 삼성전자 주가 상승에 힘입어 190% 상회를 예상한다고 밝힘. 여기에 할인율 규제 재검토 등 자본 우려 완화에 따라 하반기에는 전향적인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6,000원[유지]
현대글로비스(086280) : 비계열 비중 증가 및 추가적인 마진 개선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전일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마진 피크를 우려하는 시각이 있을 수 있으나, 계열 물량이 없는 타 선사의 수익성을 감안하면, 비계열 비중 증가와 함께 추가적인 마진 개선 기대도 가능하다고 밝힘. 관세 등의 영향으로 현대차의 수출 실적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황이 오히려 비계열 물량 확대를 위한 기회가 되고 있다고 언급.
▷아울러 7월 PCTC 용선료는 5,000CEU급/6,500CEU급이 각 47,500달러/32,000달러로 전월 대비 각 5%/9% 하락했지만, 비계열 물량의 주 고객인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22.2% YoY(전월 14.5%) 증가했다고 밝힘. 중국 선사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는 우려도 있지만, 여전히 높은 시장 성장을 감안시 동사의 고객 확보 여력은 충분하며, 더구나 동사는 이미 백홀 물량(ex. 유럽 -> 아시아)를 충분히 확보, 원가 경쟁력도 충분하다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80,000원 -> 210,000원[상향]
더블유게임즈(192080) : 성장성과 수익성 개선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소셜카지노 게임 시장 성장 둔화로 게임주 중 가장 낮은 벨류에이션 상태였으나, M&A를 통한 신규사업(게임)으로 성장률이 회복되고 있고, DTC 비중 증가에 의한 영업이익률 개선으로 성장성과 수익성 개선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2026년 개선된 실적과 성장성, 수익성 회복을 감안한 Target PER 10배를 적용, 목표주가를 78,000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BUY를 유지. 참고로 동사는 현 시가총액의 60%인 약 7천억원의 순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4분기중 발행주식 총수의 1~2% 자사주 소각 예정이라고 설명.
▷한편, 지난 7월 인수한 ‘와우게임즈(유럽 소셜카지노)’ 8월부터 연결 편입되어 월매출 약 50억원, 영업이익률 25~30%에 해당하는 영업이익이 추가될 예정이며, 신규 사업인 아이게이밍, 팍시게임즈 매출이 고성장 중이어서, 하반기 매출은 상반기 대비 12.8%의 두자릿수 성장이 전망된다고 언급. 신규 사업(게임) 마케팅비 증가로 영업이익률 하락하였으나, 구글/애플(30% 플랫폼 수수료)이 아닌 낮은 결제수수료(10%미만)의 제3 결제자(Direct To Consumer)비중 증가(23년 5.8%, 2Q25 12.8%, 동종 기업 Playtika 30%)로 영업이익률은 지속 개선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4,000원 -> 78,000원[상향]
HMM(01120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분석 등에 소폭 하락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25년 2분기 영업이익은 2,332억원으로 당사 추정 및 시장 기대치를 약 37% 하회했다고 밝힘.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은 항화물비, 연료비 등 비용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 및 동사의 컨테이너 운임이 시장운임과 비교 시 전분기 대비 큰 하락폭을 나타나면서 수익성이 악화된 영향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이어 5월말~6월에 상승한 운임이 2분기 실적에 기여한 부분도 적었던 것으로 추정하며, 미주항로의 컨테이너 수송량 감소(-2.8% yoy), 유럽항로의 컨테이너 수송량 증가(+20.4% yoy)도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한다고 언급.
▷다만, 연내 2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진행할 예정인만큼 업황 및 실적 전망 부진에도 불구하고 주가의 하락 폭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Marketperform[유지], 목표주가 : 26,000원 -> 23,000원[하향]
한화생명(088350) :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영업이익 2,407.04억원(전년동기대비 -36.59%), 순이익 1,657.65억원(전년동기대비 -44.56%).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지투지바이오(456160)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58,000원을 상회한 86,5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중. 한편, 동사는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플랫폼 업체로 약효지속성 의약품 개발을 위한 미립구 원천기술(InnoLAMP)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술이전 및 임상용역서비스 사업, CDO/CDMO 사업 등을 영위. 주력 파이프라인으로는 GB-7001(1개월 약효 지속 당뇨/비만 치료제), GB-5001(1개월 약효 지속 치매 치료제), GB-6002(3일 이상 약효 지속 수술 후 통증 치료제) 등이 있음.
모비데이즈(363260) :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1.83억원(전년동기대비 +21.93%), 영업이익 24.75억원(전년동기대비 +318.07%), 순이익 17.1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강스템바이오텍(217730) : 글로벌 빅파마와 오가노이드 사업 관련 협력 기대감 등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글로벌 제약 J사와 A사로부터 오가노이드 사업 관련 협력 제안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특히, 세계 최대 헬스케어 기업 J사와 피부 오가노이드 사업 협력을 위한 막바지 절차를 진행 중으로, 최근 J사로부터 피부 오가노이드 사업 관련 최종 승인을 위한 내부 절차를 진행 중이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알려짐. J사는 세계 최대 규모의 헬스케어 기업이자 글로벌 제약사 시가총액 톱3에 속하는 거대 기업으로 지난 1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시작으로 '바이오USA 2025'에서 후속 미팅을 가졌으며, 이후 수차례 연구 협의를 거쳐 피부질환 모델 평가를 구체화하고 있다고 전해짐.
▷또한, 자가면역 질환 치료제 기업 A사 역시 신약개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동사의 오가노이드 기술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알려짐.
산돌(419120) :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9.32억원(전년동기대비 +41.64%), 영업이익 10.62억원(전년동기대비 +206.93%), 순이익 12.36억원(전년동기대비 +299.94%).
SG(255220) : 2분기 흑자전환에 급등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51.37억원(전년동기대비 +5.34%), 영업이익 21.5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34.84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나우로보틱스(459510) : '글로벌 Z사'향 로봇 개발 검증테스트 돌입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Z사와의 다관절 로봇 개발이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일부 품목에 대한 검증 테스트에 돌입한다고 밝힘. 앞서 동사는 Z사와 중대형 다관절 로봇을 공동 개발해 ODM 형태로 생산·납품한다는 협약을 맺은 바 있음.
▷Z사향 매출이 본격 더해질 것으로 보이면서 올해 실적 개선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음. 내부적으론 최근 수주 잔고와 추가로 협의 중인 예상 수주 물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올해 연매출이 지난해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전방산업 투자결정이 1분기 이후에 이루어 지는 관행에 따라 회사 매출이 주로 하반기에 집중되는 계절성이 있다"며, "수주잔고 및 수주 진행분 등을 감안하면 올해 매출은 전년대비 견조한 실적을 유지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
감성코퍼레이션(036620) : 상반기 실적 호조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상반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1,003.00억원(전년동기대비 +14.95%), 영업이익 155.88억원(전년동기대비 +6.39%), 순이익 125.62억원(전년동기대비 +4.20%).
▷동사는 언론을 통해 선제적인 제품 개발, 마케팅 강화가 호실적의 배경이었다고 설명. 이와 관련, 이상 고온 현상에 맞춰 냉감 기능성 제품군을 미리 확대하고 고기능 신소재를 적용해 기능성과 착용감을 동시에 잡았다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제품 디자인과 소재 개발에 대한 선제적이고 지속적인 투자와 고객 경험 중심의 마케팅 전략이 긍정적인 실적 성장으로 이어졌다"며, "하반기에는 해외 시장 진출 확대와 메인 모델 교체 등을 통해 더욱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고 밝힘.
JYP Ent.(035900) :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영업이익은 각각 2,158억원(+126% YoY)/528억원(+466%)으로 컨센서스 429억을 상회했다고 언급. 앨범은 ITZY/NEXZ/킥플립 및 스트레이키즈의 앨범 약 200만장이 반영되었으며, 콘서트는 스트레이키즈의 역대 최대 월드 투어 19회 및 북미 공연 초과 수익(RS) 등이 반영되면서 역대 최대인 620억원(+342%)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어 실적 서프라이즈는 MD를 포함한 기타 부문으로 MD 매출이 스트레이키즈 월드 투어에 더해 Stray Kids X 다마고치, TWICE X 산리오 일본 팝업 등이 더해지며 669억원(+356%)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영향이라고 분석.
▷아울러 올해 하반기에는 트와이스가 케이팝데몬헌터스 흥행에 따라 빌보드 내 자체 최고 순위를 달성하고 있고, 2026년 북미·유럽까지 이어지는 월드 투어가 진행된다며, 스트레이키즈는 잔여 월드 투어와 2번의 컴백이 예상되며, 이외 니쥬의 일본 자체 최대 규모 투어와 중국 보이그룹 CIIU의 8월 데뷔 등이 계획돼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0,000원 -> 95,000원[상향]
브이티(018290) : 해외 매출 비중 상승 속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1,115억원(-2% y-y), 영업이익이 291억원(+8% y-y)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했고, 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은 959억원(+39% y-y), 영업이익은 266억원(+33% y-y)을 기록했다고 밝힘. 2분기 해외 매출 비중은 67%(+9%p y-y)로, 그간 일본에 집중되었던 글로벌 매출이 미국/기타 지역으로 확대, 고단가 리들샷 비중이 상승함에 따라 전사 매출총이익률이 61.9%(+8.5%p y-y)로 개선되었다고 설명.
▷아울러 하반기는 전년비 마케팅 전반 강화할 계획이나, 비율 자체는 상반기 기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 리오더 기대와 국별 신규 오프라인 채널 입점 등을 통해 상저하고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뷰노(338220) : 2분기 역대 최대 매출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2.54억원(전년동기대비 +44.82%), 영업손실 1.6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축소), 순손실 8.1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축소). 특히, 매출액은 10분기 연속 증가세이자 분기 기준 최대치를 기록.
에이치피오(357230) : 2분기 실적 호조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48.73억원(전년동기대비 +19.63%), 영업이익 56.30억원(전년동기대비 +110.23%), 순이익 40.02억원(전년동기대비 +112.30%).
▷동사는 언론을 통해 상반기 매출 1,303억원, 당기순이익 52억원을 기록했다며, 영업이익률은 5.5%를 기록해 지난해 연간 2.85%에서 크게 개선됐다고 밝힘. 이는 수익성 중심 경영 체계 확립, 대형 유통 채널 매출 성장, 대표 제품군의 전략적 확장 등 세 가지 축이 맞물린 결과라고 언급.
벨로크(424760) : 2분기 흑자전환에 상승
▷전일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95.70억원(전년동기대비 +85.07%), 영업이익 3.9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3.7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디앤디파마텍(347850) : MASH 신약, 우시앱텍 우수사례로 선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대사 이상 지방간염(MASH) 치료제가 중국 바이오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우시앱텍의 우수사례로 선정됐다고 밝힘. 이와 관련, 우시앱텍은 동사의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GLP)-1·글루카곤(GCC) 수용체 이중 작용제 ‘DD01’의 임상 2상 1차 평가지표 결과를 바탕으로 ‘공정 개선 우수사례’로 선정했다고 언급. 우시는 임상 2상 결과 외에도 동사와의 긴밀한 협업과 신속한 의사결정, 글로벌 제조공정개발(CMC) 역량 등을 종합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음.
▷이슬기 동사 대표는 “우시와의 긴밀한 협력은 현재까지 나온 DD01 관련 많은 성과의 주춧돌이 됐다”며, “글로벌 CDMO의 우수 사례 선정을 향후 약물 생산 측면에서의 장점으로 강조해, 성공적인 DD01 기술 이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힘.
동국생명과학(303810) : 2분기 호실적 및 상반기 창사 이래 최대 실적 경신에 소폭 상승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348.88억원(전년동기대비 +2.48%), 영업이익 32.12억원(전년동기대비 +3.94%), 순이익 28.5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동사는 언론을 통해 상반기 매출액 699억원, 영업이익 63억원을 기록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고 밝힘. 이는 조영제 및 MEMD(Medical Equipment & Medical Devices) 부문의 고른 매출 확대와 함께 수익성 중심의 제품 믹스 개선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 특히 조영제 부문은 병원 수출 건수가 의정갈등 이전 대비 74% 수준까지 회복됨에 따라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였고, 신규 거래처 확보를 통해 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며 매출 확대를 견인했다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2분기 실적은 수익성 중심의 자사제품 전략과 글로벌 기술 기반 확장의 결과물”이라며, “하반기에는 자사 신제품 출시, 수출 협상 진전, 인벤테라와의 공동 R&D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가시적인 실적 모멘텀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힘.
덱스터(206560) : 美 아마존 MGM 스튜디오 '버터플라이' 버추얼 프로덕션 참여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아마존 MGM 스튜디오가 제작한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오리지널 시리즈 '버터 플라이(Butterfly)'의 ICVFX 부문에 기술 참여했다고 밝힘. ICVFX(In-Camera VFX, 인카메라 시각효과)는 실시간으로 렌더링 되는 배경과 카메라의 움직임을 연동해, LED 디스플레이로 구현한 가상 배경과 실제 배우의 연기를 동시에 촬영하는 버추얼 프로덕션 기법이며, ICVFX 기술을 활용해 할리우드 프로젝트를 수행한 국내 스튜디오는 동사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짐.
▷동사 관계자는 "'버터플라이' 프로젝트는 기술적인 솔루션뿐만 아니라 촬영 전략 전반, 리소스 설계 등 ICVFX를 위한 동사의 종합적인 버추얼 프로덕션 역량을 글로벌 프로젝트를 통해 인정받은 사례"라며, "동사는 영화, OTT, 광고 등 국내외 VP 프로젝트를 지속 수행하는 한편, AI 기술을 활용한 가상 콘텐츠 다각화 및 제작 효율화를 이뤄 버추얼 프로덕션 기술 부문에서 역시 '아시아 리딩 기업'으로서 영역을 구축하는 중"이라고 밝힘.
인바디(041830) : 2분기 실적 호조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61.70억원(전년동기대비 +11.79%), 영업이익 103.94억원(전년동기대비 +10.42%), 순이익 73.97억원(전년동기대비 -9.69%).
▷이와 관련,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매출액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며 6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으며,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분석.
▷아울러 동사의 올해 실적은 매출 2,321억원(14% YoY), 조정 EBITDA 487억원(10% YoY, 조정 EBITDA 마진 21.0%)을 기대한다고 언급. 현 주가는 12개월 선행 EV/EBITDA 4.6배로 동사의 지난 3년 평균(5.0배) 대비 저평가되고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5,000원 -> 37,000원[상향]
알테오젠(196170) : UBS증권, 고평가 분석 속 매도 리포트에 소폭 하락
▷UBS증권은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 '매도', 목표주가 27만원으로 기업분석을 개시했음. USB증권은 매도 의견을 제시한 근거로 동사의 주가가 파이프라인 가치 대비 과도하게 성장했다는 점을 꼽았으며, 이와 관련 매출에 따라 로열티를 받는 키트루다SC 기술이전 계약 가치는 현재 시가총액의 13% 수준인 3조2,000억원으로 평가했음.
▷한편, 동사는 공식 홈페이지에 입장문을 내고 UBS가 발간한 리서치 보고서에 대해 정면 반박했음. 이와 관련 "UBS 리포트는 키트루다 피하주사(SC) 전환율, 추가 파이프라인 성공 확률, 수익 추정, 특허 영향 등 주요 항목에서 근거 없는 가정을 토대로 알테오젠의 가치를 저평가하고 있다"고 밝힘. 이어 "UBS 리포트는 정맥주사(IV) 제형의 피하주사(SC) 전환율을 왜 9%로 설정했는지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며, "존슨앤드존슨(J&J)의 다잘렉스는 SC 출시 2년 만에 84%가 SC 매출로 전환됐고, 로슈의 티센트릭은 영국 승인 후 9개월 만에 32% 전환율을 기록했다"고 반박했음. 또한, "히알루로 니다제를 활용해 IV를 SC로 전환하는 데 실패한 사례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며, "근거 없이 낮은 확률을 가정해 계약 가치를 깎아내리고 있다"고 일축했음.
펨트론(168360) : 48.78억원(자기자본대비 17.40%)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에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48.78억원(자기자본대비 17.40%)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심텍(222800) : 466.14억원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에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466.14억원(자기자본대비 10.68%)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제4회 전환사채 및 제5회 신주인수권부사채, 제7회 전환사채의 파생상품 평가손실 및 거래손실) 발생 공시.
애머릿지(900100) : 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속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전성일(주주) 대상 912,408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096원, 상장예정:2025-09-11) 공시.
아이에이(038880) :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제3자유상증자대금 부당사용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공시.
지슨(446840) : 스팩합병 상장 첫날 급락
▷금일 키움제8호스팩과의 스팩합병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는 2,125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락세를 기록중. 한편, 동사는 국내 최고의 전파분석 기술을 보유한 무선보안솔루션 사업을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스마트 무선도청 상시 방어 시스템(Alpha-I), 상시형 무선도청 탐지 시스템(Alpha-S), 이동형 전파 탐지기(Alpha-P), 무선백도어 해킹 탐지 시스템(Alpha-H), 상시형 불법촬영 탐지 시스템(Alpha-C) 등이 있음.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