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8.07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8-07 11:21
- 조회수 :
- 219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인터넷 대표주, 지역화폐, 조선, 엔터테인먼트, NFT(대체불가토큰), 전자결제(전자화폐), 영화, 조선기자재,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우크라이나 재건, 모더나(MODERNA), 초전도체, 음원/음반,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카지노, 미용기기,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웹툰,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스테이블코인,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건설기계 등...
약세 테마 : 통신, 줄기세포, 정유,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LPG(액화석유가스), 리튬, 치매, 윤활유, 홈쇼핑, 강관업체(Steel pipe), 철강 주요종목, 화이자(PFIZER), 석유화학, 남-북-러 가스관사업, 면역항암제, 사료, 백신여권, 밥솥, 비만치료제, 백화점, 건설 대표주, 폐배터리, 타이어, 제습기, 2차전지(전고체), 요소수, 비철금속, 2차전지(장비) 등...
[특징 테마]
조선/ 조선기자재 : 韓美 마스가(MASGA) 프로젝트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이 미국 해군의 군수지원함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수주에 성공하며, 마스가(MASGA) 프로젝트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전해짐. HD현대중공업은 전일 미 해군 7함대 소속 4만1,000톤급 화물보급함 ‘USNS앨런셰퍼드’호의 정비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힘. 정부가 마스가를 제안한 후 첫 미 해군 MRO 수주로 HD현대중공업은 이번 수주를 통해 한화오션에 이어 두 번째로 미 해군 MRO 시장에 진출하게 됐음.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한미 조선업 협력 방안이 결정적 역할을 하면서 미 MRO 사업은 한국 조선소에서 더욱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 한국은 마스가를 통해 미국 조선업 부활을 위한 1,500억 달러(약 208조원) 규모의 전용 펀드를 운용할 계획으로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설과 조선 전문 인력 양성, 상선·특수선 건조 및 MRO 등에 대부분의 자금이 투입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미 해군 MRO 시장은 연간 20조원 규모로 추정된다며, 미 해군 함정의 80%가 2010년 이전 건조돼 MRO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국내 조선사들은 MRO 사업을 디딤돌 삼아 미 해군 함정 신조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HJ중공업,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오리엔탈정공, 인화정공, 동성화인텍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 트럼프 美 대통령, 푸틴·젤렌스키와 3자회담 추진 소식 등에 상승
▷6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 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고, 연이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함께하는 3자 회담을 진행한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3국 정상회담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그럴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어디서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나 오늘 푸틴 대통령과 매우 좋은 대화를 나눴다"고 언급. 이어 "전쟁을 끝낼 수 있는 매우 좋은 기회가 있다"며, "종전으로 가는 길은 길었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지만, 회담이 곧 이뤄질 높은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
▷3자 회담에는 트럼프, 푸틴, 젤렌스키 대통령만 참석하고 유럽 정상들은 포함하지 않을 계획이며, 유럽 정상들은 이런 계획을 수용한 것처럼 보였다고 전해짐. 다만, 이에 푸틴 대통령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이 동의했는지 여부는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상황임.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에 위트코프 특사가 러시아에서 푸틴 대통령을 만난 사실을 공개하며 "이후 난 몇 명 유럽 동맹국들에 (특사와 푸틴 간의 협의 내용을) 업데이트했다"고 언급. 푸틴 대통령과 회담 계획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모두가 이 전쟁이 반드시 종결되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며 "우리는 앞으로 며칠, 또는 몇 주 안에, 그것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음.
▷이 같은 소식 속 SG, 에스와이스틸텍, 대동기어, 다산네트웍스, 현대에버다임, 전진건설로봇, 대모, 엔알비, 에스와이 등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가 상승.
스테이블코인/ 전자결제(전자화폐) 등 : 서클 히스 타버트 총괄사장, 한국 방문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테더(USDT)와 함께 글로벌 양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로 꼽히는 서클의 최고위층이 이달 말 한국을 찾을 예정. 서클의 2인자 히스 타버트 총괄사장이 국회와 은행권, 가상자산 업체 경영진 등과 일정을 조율 중으로 가상자산기본법을 발의한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서준 해시드 대표 등이 타버트 총괄사장 측과 만남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알려짐. 업계에선 타버트 총괄사장의 방한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에 속도를 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 특히, 서클이 달러 스테이블코인인 유에스디코인(USDC)을 발행하고 있는 만큼 향후 국내 유통과 사업 협력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쿠콘, 카카오페이, 더즌, 한컴위드, 헥토파이낸셜, LG씨엔에스, SGA 등 스테이블코인, 전자결제(전자화폐), SI(시스템통합) 테마가 상승.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 정부, '탈플라스틱 로드맵' 국정과제 추진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이재명 대통령이 올해 안에 마련하기로 한 '탈플라스틱 로드맵'을 국정과제로 추진한다고 전해짐. 로드맵에는 일회용품 규제 추진 방향, 전 주기에 걸친 플라스틱 재활용 방안 등이 담길 예정이라고 알려짐. 이와 관련, 전일 정치권에 따르면, 환경부는 최근 국정기획위원회에 탈플라스틱 로드맵 공약 관련 세부 이행계획을 보고했으며, 이번 계획에는 일회용품 규제 정책을 정리하는 방안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고 전해짐.
▷정부 관계자는 "과거에 발표됐다가 유예됐던 정책들 중 추진할 정책은 제대로 추진하고, 무리한 정책은 어떻게 대안을 마련해 추진할지 등이 탈플라스틱 로드맵에 옮겨질 것"이라며, "'온고지신'형 정책 추진이 될 전망"이라고 설명. 이에 따라 정권이 바뀔 때마다 부침을 겪었던 일회용품 규제 정책의 방향이 정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삼륭물산, 세림B&G, 디아이씨, 코오롱ENP 등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 삼성전자, 애플 차세대 칩 미국 파운드리 공장서 생산 소식 등에 상승
▷삼성전자가 애플의 차세대 칩을 미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에서 생산할 예정. 애플은 지난 6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애플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위치한 삼성의 반도체 공장에서 삼성과 협력해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용되는 혁신적인 새로운 칩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힘. 이어 "이 기술은 미국에 먼저 도입함으로써 이 시설은 전 세계로 출하되는 아이폰을 포함한 애플 제품의 전력 효율성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칩을 공급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생산하기로 한 차세대 칩이 아이폰 등에 들어가는 이미지센서로 추정하고 있음.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 6월 경상수지는 142억7,000만달러 흑자를 시현하며 역대 최대폭의 흑자를 기록. 수출은 603억7,000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3% 증가한 가운데, 특히 반도체(11.3%), 컴퓨터주변기기(13.6%) 등 IT품목의 호조가 지속됐음.
▷한편, 트럼프 美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반도체에 약 10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의 대미 시설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우리는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집적회로(chips)와 반도체(semiconductors)"가 부과 대상이라고 밝힘. 이어 "만약 미국에 (반도체 제조 공장을) 건설한다면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를 비롯해 에이디테크놀로지, 두산테스나, 코아시아, 네패스아크, LB세미콘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카카오(035720) :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등에 강세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02조원(전년동기대비 +1.16%), 영업이익 1,859.26억원(전년동기대비 +38.78%), 순이익 1,718.15억원(전년동기대비 +97.15%). 별도기준 매출액 6,546.18억원(전년동기대비 +1.59%), 영업이익 1,078.39억원(전년동기대비 -17.03%), 순이익 171.46억원(전년동기대비 -23.41%).
▷한편, 정신아 동사 대표는 이날 열린 2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 콜에서 "현재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준비하고 있다"며, "AI가 외부 서비스와 연결되는 프로토콜을 확대하면서 에이전트가 중심이 되는 생태계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언급. 이어 "AI 에이전트 시대에서도 강력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하반기부터 관련 프로젝트를 시작했다"며, "다양한 버티컬 액션이 가능하도록 그룹사 및 외부 파트너사들과의 연동도 기획 중"이라고 설명.
하이브(352820) : 2분기 실적 호조 및 3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057.00억원(전년동기대비 +10.17%), 영업이익 659.00억원(전년동기대비 +29.46%), 순이익 155.00억원(전년동기대비 +53.46%).
▷이와 관련,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매출 성장은 공연이 YoY +31% 급증하며 견인했고, MD/라이선싱도 YoY +40%로 동반 급증했다고 언급. 영업이익률은 9.3%로 전분기비 5.0%p, 전년동기대비 1.4%p 개선되었으며 BTS 매출 비중 증가가 주효했던 것으로 추정. 특히, 아오엔 데뷔 비용 및 남미 오디션 제작비 등의 일회성 비용이 약 100억원 반영된 점을 고려하면 올해 이익 체력은 확실한 회복세라고 밝힘.
▷아울러 3분기 공연 모객수는 150만명(YoY +123%)으로 대폭 증가가 확실시되고, 이에 따라 3분기 영업이익도 819억원으로 QoQ +24%, YoY +51% 급증할 것으로 전망. 아티스트별 모객은 엔하이픈 38만명, BTS 진 33만명, 세븐틴 24만명, TXT 17만명, 르세라핌 16만명 등 고르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50,000원[유지]
에이피알(278470) :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속 하반기 외형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3,277억원(+111% YoY), 영업이익은 846억원(+81% YoY, OPM 25.8%)으로 시장기대치를 상회했다며, 해외 채널이 예상보다 높은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레버리지 효과 덕분에 이익이 크게 성장했다고 분석.
▷아울러 하반기에도 외형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2025년 실적 추정치를 매출 1조4,696억 원(YoY +103%), 영업이익 3,497억원(YoY +185%, OPM 23.8%)으로 상향조정한다고 밝힘. 글로벌 채널 확장과(B2B를 통한 진출 국가 확대, 일본 내 연말까지 3,000개 매장 입점, 미국 Ulta Beauty 1,400개 매장 입점 예정) 온라인 바이럴 효과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상승이 매출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00,000원 -> 270,000원[상향]
넷마블(251270) : '일곱개의 대죄:Origin' 日 공략 본격화 소식 속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픈월드 액션 RPG '일곱 개의 대죄: Origin'의 대형 옥외광고를 일본 시부야와 신주쿠 일대에서 진행한다고 밝힘. 동사는 도쿄 시부야 센터가의 히트 비전과 신주쿠 가부키초의 크로스 신주쿠 비전에 위치한 대형 전광판을 통해 '일곱 개의 대죄: Origin' 사전등록을 알리는 15초 영상 광고를 공개했음.
▷동사는 정식 출시에 앞서 '일곱 개의 대죄: Origin'을 국내외 시장에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특히 8월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게임쇼 '게임스컴 2025'의 전야제 쇼케이스 '오프닝 나이트 라이브'에 참가해 신규 영상을 공개할 것으로 전해짐.
신세계 I&C(035510) : 2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814.35억원(전년동기대비 +25.30%), 영업이익 134.54억원(전년동기대비 +28.04%), 순이익 117.47억원(전년동기대비 +23.90%).
현대홈쇼핑(057050) :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237.85억원(전년동기대비 -2.86%), 영업이익 301.84억원(전년동기대비 -9.87%), 순이익 287.24억원(전년동기대비 +2.17%).
▷언론에 따르면, 홈쇼핑 부문은 효율화로 수익성을 방어했지만, 종속회사들의 업황 부진이 전체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전해짐. 특히, 자회사인 현대L&C는 국내 건설경기 위축 여파로, 패션 자회사인 한섬 역시 지속적인 소비 위축 영향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짐.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아이티켐(309710) : 신규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6,100원을 상회한 38,8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중. 한편, 동사는 유기소재 전문 업체로 경쟁력 있는 합성기술을 기반으로 의약품(API 및 중간체) 및 디스플레이(OLED) 등 전자재료 분야에서 글로벌 고객사들의 요구에 최적화된 양산(Scale-up) 수준의 정밀화학제품을 연구, 생산, 판매 중.
삼기에너지솔루션즈/삼기 : 삼기아메리카, 현대차 美 앨라배마주 공장에 3,000억원 규모 하이브리드차 부품 공급 소식에 급등
▷삼기에너지솔루션즈와 삼기가 공동 투자(지분 100%)한 미국 법인 삼기아메리카는 언론을 통해 현대자동차 앨라배마주(州) 공장(HMMA)에 3,000억원(약 2억1000만달러) 규모의 하이브리드차 부품을 공급한다고 밝힘. 계약기간은 2026년10월부터 2033년까지 총 8년이며, 공급 품목은 하이브리드 용 Lower Crank Case 외 1종임.
▷이번 수주는 최근 미국 내 하이브리드차 판매 급증세에 따른 것으로, 회사 관계자는 "완성차 판매량에 따라 공급 물량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언급.
▷우득현 삼기 통합SCM 본부장은 “최근 미국 내 자동차 관세 15%로 미국 현지 생산 확대가 필요한 상황에서 미국 내 현지공장을 갖추고 있는 삼기아메리카의 경쟁력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 이어 “현대차그룹의 부품 현지화 전략 가속화에 따라 당사의 기여도가 더 높아지고 있다”며, “현대차그룹 외 타 OEM사와도 현지 공급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음.
[종목]: 삼기에너지솔루션즈, 삼기
핌스(347770) : 2분기 흑자전환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23.92억원(전년동기대비 +33.46%), 영업이익 14.8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6.4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LB세미콘(061970) : ASE코리아와 반도체 패키징 협력 MOU 체결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ASE Korea와 전략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MOU는 양사가 보유한 고유의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바탕으로 글로벌 고객 대상 공동 마케팅 및 프로모션 활동을 강화하고, 고성능·고집적 반도체 패키지 수요 증가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추진.
▷양사는 공정별 역할을 분담해 상호보완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며, 동사는 범핑과 웨이퍼 테스트를 담당하고, ASE 코리아는 패키징 공정을 전담해 고객사에 패키지·테스트 후공정에 대한 일괄납품 솔루션을 제공.
▷이와 관련, 동사 김남석 대표는 "ASE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첨단 패키징 기술을 고도화해 새로운 고객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힘.
피노(033790) : 엘앤에프와 84.8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7.67%) 규모 NCM 전구체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주식회사 엘앤에프와 84.8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7.67%) 규모 공급계약(NCM 전구체) 체결(계약기간:2025-08-16~2025-10-27) 공시.
소룩스(290690) : 합병예정 아리바이오, UAE 기술 수출 계약금 수령 소식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와 합병을 추진 중인 아리바이오가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인 아부다비개발지주(ADQ)가 설립한 글로벌 제약사 아르세라(Arcera)로부터 알츠하이머 치료제 AR1001의 기술 수출 계약금을 수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아리바이오는 지난 6월 아르세라와 체결한 총 6억달러 규모 기술 수출의 계약금을 이날 수령할 예정이며, 이 계약은 AR1001의 중동·중남미·아프리카·우크라이나·독립국가연합(CIS) 지역에 대한 독점 판권을 부여하는 내용이라고 알려짐.
▷이와 관련, 아리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계약금 유입은 아리바이오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AR1001에 대한 기술력과 상업화 성공 가능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확실한 신호"라고 언급.
인포바인(115310) : Miri CapitalManagement 장내매수 속 강세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전자공시. 미국 자산운용사 Miri CapitalManagement LLC가 동사 주식 193,706주(6.07%)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보고사유는 일반투자목적으로 장내에서 발행회사 주식 매수임.
메쎄이상(408920) : 2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4.36억원(전년동기대비 +33.92%), 영업이익 64.69억원(전년동기대비 +118.32%), 순이익 53.07억원(전년동기대비 +159.51%).
로킷헬스케어(376900) : '당뇨발 맞춤형 피부 재생' 미국 특허 등록 결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특허청(USPTO)으로부터 ‘당뇨병성족부병증 환자 맞춤형 피부 재생 시트 및 제조 방법’의 특허 등록 결정을 통보받았다고 밝힘. 해당 특허는 AI 기반으로 환부 데이터를 바이오 프린팅이 가능한 패치로 자동 디자인하고, 환자 자가 ECM에서 추출해 만든 맞춤형 생체 재료를 정밀 프린팅해 근본적인 상처 재생을 유도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주주와 투자자에게 로킷헬스케어의 성장 잠재력과 시장 선점 가능성을 높이 평가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특허로 환자 맞춤형 재생치료의 글로벌 진입장벽을 낮추고 주주 가치 제고와 투자 수익 확대를 이끌 것"이라고 밝힘.
휴젤(145020) : 미국 고성장 가이던스 재확인 분석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은 매출액 1,103억원(+15.5% y-y, +22.8% q-q), 영업이익 567억원(+33.6% y-y, +45.5% q-q, 영업이익률 51.4%)으로 컨센서스 부합했다고 밝힘. 미국/중국 등 톡신 선적 호조세(미국 100억원 전후, 중국 130억원 수준 추정)에 힘입어 톡신 수출 422억원(+37.1% y-y, +98.4% q-q)을 달성하며 2020년 이후 최대 영업이익률을 견인했다고 설명.
▷이어 단기 주가 부진 이유였던 수출 데이터와 실제 연결 매출과의 괴리는 ‘휴젤 아메리카(현지법인) -> Benev(유통사)’로 넘어가는 과정에서의 회계 처리 방식에 기인하며, 전년 대비 미국 매출 100% 이상 성장 가이던스를 재확인했다고 밝힘.
▷아울러 주력 시장 성장 외에도 3Q25 브라질향 톡신 선적(톡신 시장 규모 2,400억원 추산) 재개 및 K-뷰티 호황에 발맞춰 품목(HA, PDRN)/국내외 채널 확장 중인 화장품의 추가 성장 모멘텀 또한 유효하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70,000원 -> 500,000원[상향]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4,200주(13.73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8-14~2027-02-14) 공시.
엑셈(205100) : 통합 가시성 솔루션 '엑셈원' 삼성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 등재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옵저버빌리티(통합 가시성) 솔루션 ‘엑셈원’이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마켓플레이스에 등재됐다고 밝힘. 이에 따라 공공·금융·기업 고객 대상으로 엑셈원 홍보와 영업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고평석 동사 대표는 "SCP 마켓플레이스뿐만 아니라 AWS 마켓플레이스 등 엑셈원의 유통망을 꾸준히 늘릴 계획"이라며 "올 하반기에 AI 이상탐지와 챗봇을 엑셈원에 탑재해 경쟁사와의 기술 격차를 확대하고 대형 신규 고객들을 반드시 확보하겠다"고 밝힘.
샤페론(378800) : 핵심 파이프라인 원료물질 대량 생산 기술 특허 등록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 알츠하이머병, 코로나19 치료제 등 주요 파이프라인의 핵심 원료물질의 대량생산 공정에 관한 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힘. 이번에 등록한 특허는 기존 생산법 대비 합성단계의 간소화, 고순도 정제 및 불순물 제거 등 효율성과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혁신 기술이며, 이미 일본과 인도에서 등록을 마쳤고 미국, 유럽, 중국 등에도 출원된 상태로 알려짐. 동사는 이를 기반으로 파이프라인을 상업화하고 각국 시장으로의 진출 기반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략을 구체화할 예정.
▷동사 관계자는 "이번 특허는 신약 후보물질뿐 아니라 실제 상업화 필수 공정까지 지식재산권으로 촘촘히 방어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에버그린 특허 전략을 통해 장기 독점권과 미래 수익성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업계에서는 동사의 원료물질 에버그린 특허망이 글로벌 신약 상업화와 기업가치 향상에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음.
시노펙스(025320) : 혈액여과기 유럽 'CE MDR' 인증 위한 임상시험 성공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유럽 시장 진출의 핵심 관문인 CE MDR(의료기기 규제) 인증을 위한 환자 대상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힘. 이번 임상시험은 CE MDR의 강화된 ‘멀티롤(Multirole)’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설계됐으며, 동사는 이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유럽 CE MDR 인증을 위한 기술문서 작성 등 후속 프로세스를 진행 중이고, 연내 인증 신청 접수를 마무리할 계획임.
▷이와 관련, 이진태 동사 인공신장사업본부장은 "이번 임상은 새롭게 강화된 CE MDR승인 규정에 맞춰 서울과 부산 3곳의 혈액투석전문병원에서 25명의 환우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기대 이상의 좋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힘.
헥토이노베이션(214180) : 2분기 역대 최대 매출액 경신에 상승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17.91억원(전년동기대비 +17.94%), 영업이익 134.22억원(전년동기대비 +19.55%), 순이익 133.14억원(전년동기대비 +29.72%). 별도기준 매출액 294.49억원(전년동기대비 +4.02%), 영업이익 87.03억원(전년동기대비 -2.42%), 순이익 77.97억원(전년동기대비 -0.11%). 연결기준 매출액이 처음으로 900억원을 돌파하며 분기 최대 실적을 또 한 번 경신했음.
▷이와 관련, 이현철 동사 대표는 "각 사업부문에서 견조한 실적 성장을 이어가며 역대 분기 최대 매출액을 경신했다"며, "하반기에도 지속적인 신규 서비스 확대와 더불어 B2C 플랫폼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사업 영역을 더욱 확장할 것"이라고 밝힘.
벡트(457600) : 토룩과 AI 로봇 기반 스마트 교육·복지 융합 솔루션 공동 개발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공지능(AI) 로봇 기술기업 토룩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AI 로봇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연계한 교육·복지 공간 조성에 협력하며, 동사의 스마트 교육 디바이스와 토룩의 AI 로봇 콘텐츠 플랫폼을 결합해 체험형 교육 솔루션 개발, 몰입형 전시·교육 공간 구축과 AI 로보틱스 기술 융합, 정부-기업 간 거래(B2G), 기업 간 거래(B2B), 전시체험, 해외 진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을 추진할 계획.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AI 로봇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결합한 미래형 교육공간에 대한 시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토룩과의 협업을 통해 국내외 에듀테크 시장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확보할 것"이라고 밝힘.
한국피아이엠(448900) : 이스라엘 최대 총기 제조사로부터 품질 테스트 통과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이스라엘 최대 총기 제조사 'IWI(Israel Weapon Industries)'로부터 품질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밝힘. 최근 IWI로부터 베트남 공장 실사 후 총기 핵심 소재 샘플을 전달하고 IWI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데 성공했다며, 테스트 통과를 기점으로 IWI향 추가 물량 확보에 나설 방침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IWI가 베트남 정부에 총기 납품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번 테스트 통과를 기점으로 IWI향 추가 제품 공급 논의를 이어나가 방산 분야 실적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최근 진행한 실사 이후 IWI와 후속 미팅도 예정돼 있는 상황이며, IWI가 베트남 외에도 다양한 글로벌 생산거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신규 수출 관련 협력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 : 최대주주 파라택시스 홀딩스, 뉴욕증시 상장 추진 소식에 소폭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최대주주이자 기관 투자자 중심의 디지털 자산 운용 플랫폼 기업인 파라택시스 홀딩스는 실버박스 캐피탈 계열사가 후원하는 특수목적법인 실버박스 코퍼레이션 IV와 기업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해짐. 이번 기업합병이 완료되면 법인명이 파라택시스 홀딩스로 변경되며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PRTX’라는 종목 코드로 거래될 예정이라고 알려짐.
▷한편, 동사는 파라택시스 코리아로 사명을 변경할 예정인 가운데, 파라택시스 코리아 신임 대표(CEO)로 내정된 앤드류 김(Andrew Kim)은 "파라택시스 코리아의 핵심 파트너사인 파라택시스 홀딩스가 미국 시장에 자산 관리 플랫폼을 상장하고 기업 성장을 위한 자본 기반을 확충할 획기적인 거래 소식을 발표하게 되어 기쁘다"며, "미국 자본 시장 내 한국 트레저리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입증된 만큼 한국에서 당사의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파라택시스 홀딩스와의 파트너십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밝힘.
대진첨단소재(393970) : 총 158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속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채무상환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본건 펀드 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등 대상으로 93.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9,349원, 전환청구일:2026-08-14 ~ 2028-07-14) 공시. 아울러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케이비증권 주식회사(본건 펀드 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등 대상으로 65.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9,349원, 전환청구일:2026-08-14 ~ 2028-07-14) 공시.
제이에스링크(127120) : 8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속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를 위해 에스에이밸류업3호조합 등 대상으로 8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5,346원, 전환청구일:2026-09-03 ~ 2028-08-03) 공시.
디에스케이(109740) :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시너지이노베이션외 2인이 윤진파트너스㈜외 5인에 보유주식 11,075,440주를 815.96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예정일:2025-10-13) 공시.
동국생명과학(303810) : 무상증가 권리락 효과 발생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4,890원임.
캔버스엔(210120) : 10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철회 속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위드윈투자조합76호 대상 10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철회 공시. 철회사유에 대해 전환사채 배정대상자의 사채금 미납에 따라 전환사채 발행을 철회하기로 결정하였다고 밝힘.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