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7.31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7-31 11:24
- 조회수 :
- 215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남북경협, 조선, 퓨리오사AI, 태풍 및 장마, 영화, 음원/음반, 마리화나(대마), 엔터테인먼트, 4대강 복원, 비료, 해운,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캐릭터상품, 영상콘텐츠, 쿠팡(coupang), 지역화폐, 카지노, 패션/의류, DMZ 평화공원, 시멘트/레미콘, NFT(대체불가토큰), 웹툰, 창투사, 여행, 페라이트, 건설 중소형,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농업, 조림사업, 두나무(Dunamu),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등...
약세 테마 : 강관업체(Steel pipe), 남-북-러 가스관사업, 자동차 대표주, 정유, 스마트카(SMART CAR), 2차전지(생산), 철강 중소형, 종합상사, 셰일가스(Shale Gas), LED장비, 자원개발, 은행, 비철금속, 3D 낸드(NAND), 자율주행차, 윤활유,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전기차,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전기차(충전소/충전기), 도시가스 등...
[특징 테마]
남북경협 등 : 트럼프, '한미정상회담 2주 내 개최' 발언 속 북미 대화 재개 및 남북 관계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이 무역협상을 타결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SNS 통해 "미국이 한국과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합의를 체결하게 돼 기쁘다"며, "2주 안에 이재명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밝힘.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대화 의지를 드러낸 바 있어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평화·북핵문제 등이 논의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는 모습.
▷한편, 최근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달성을 위해 김정은 위원장과의 대화에 열려 있다"는 입장을 공식화했음. 이에 대해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28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를 통해 "미국 측의 일방적 평가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으나, 시장에서는 대화 여지를 남긴 발언으로 해석하는 모습. 특히, 통일부는 지난 29일 김여정 부부장의 발언을 인용하며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면 미국과 대화할 수 있다"는 발언을 언급하며,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안정을 위한 북미회담 재개를 적극 지지한다"고 밝힘. 이어 "한미 양국은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북한과의 대화의 문이 열려 있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밝혀왔다"며, "앞으로 평화적 분위기 속에서 남북 간 신뢰를 회복하고 북미 회담 재개를 촉진하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음.
▷이 같은 소식 속 제이에스티나, 좋은사람들, 인디에프, 일신석재, 아난티, 남광토건, 대아티아이, 부산산업 등 남북경협/ 철도/ DMZ 평화공원 테마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 韓·美 관세협상 타결 속 1,500억 달러 규모 한미 조선협력 펀드 조성 소식 등에 상승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SNS ‘트루스소셜’에서 "미국이 한국과 전면적이고 완전한 무역 합의를 체결하기로 했다"고 밝힘. 협상 내용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미국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언급. 이어 구체적인 금액에 대해서는 "이재명 한국 대통령이 2주 내로 양국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으로 올 때 발표될 것"이라고 설명했음.
▷이와 관련,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통상 협상 타결에 대해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을 없애고, 미국 관세를 주요 대미 수출 경쟁국보다 낮거나 같은 수준으로 맞춤으로써 주요국들과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고 평가. 특히, 대미 투자 3,500억달러 중 1,500억달러는 ‘조선협력 전용 펀드’ 비용으로 "우리 기업의 미국 조선업 진출을 든든하게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무역협의 결과 브리핑 자리에서 MASGA(조선협력) 프로젝트가 이번 무역합의에 가장 기여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태광, 하이록코리아, HD현대마린솔루션 등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퓨리오사AI : 퓨리오사AI, 1,700억원 투자 유치 소식에 상승
▷AI 반도체 기업 퓨리오사AI는 언론을 통해 시리즈 C 브릿지 라운드에서 총 1,7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힘. 이로써 퓨리오사AI는 국내 딥테크 기업 중 드물게 기업가치 1조원을 돌파하며 유니콘 반열에 올라섰으며, 이번 라운드는 프리 머니(pre-money) 기준 8,300억원의 기업가치를 바탕으로, 총 40여개 기관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짐. 특히, 이번 라운드에서는 기술 및 시장 리스크가 높은 초기 기업에는 잘 투자하지 않는 사모펀드(PE)가 총 400억원 규모로 복수 참여해 눈길을 끌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퓨리오사AI는 이번 투자금을 레니게이드 양산과 3세대 제품 초기 개발에 사용할 예정. 이와 관련,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투자 유치는 레니게이드 양산에 진입하는 중요한 시점에 자본시장이 당사의 기술력과 비전에 대해 강한 신뢰를 보내고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한다. 반드시 글로벌 엔터프라이즈를 대상으로 매출 확대를 이끌어 내겠다”며 “정부의 AI 스타트업 스케일업을 위한 모험자본 확대 기조 역시 매우 고무적이다”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팬스타엔터프라이즈, 포바이포, DSC인베스트, TS인베스트먼트 등 퓨리오사AI 테마가 상승.
리튬 : 미래첨단소재, 4.5만t 규모 무수리튬 수주 및 하이드로리튬, 고순도(99.9%) 염화리튬 국산화 성공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미래나노텍은 언론을 통해 이차전지 소재 계열사 미래첨단소재가 국내 대형 양극재 제조사에 4만5,000t 규모로 무수리튬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 물량인 4만5,000t은 양극재 17만t 수준을 제조할 수 있는 규모로, 미래첨단소재는 이번 계약을 통해 내년 상반기부터 해당 기업에 3년간 무수리튬을 납품할 예정이라고 전해짐.
▷또한, 지난 29일 하이드로리튬은 언론을 통해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핵심 원료인 고순도(99.9%) 염화리튬 제조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하이드로리튬은 고순도 염화리튬 제조를 위해 자체적으로생산한 초고순도 수산화리튬을 원료로 사용함에 따라 원료부터 최종제품인 염화리튬까지 모두 내재화 했으며, 초고순도 수산화리튬 제조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신제품 개발의 시행 착오와 어려움을 모두 극복하고 고순도 염화리튬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 완료했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미래나노텍 및 하이드로리튬을 비롯해 강원에너지, 새빗켐, 엔켐, 리튬포어스 등 리튬 테마가 상승.
화장품 :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 등에 상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 내용에 대해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며 대통령인 내가 선택하는 투자를 위해 3,500억 달러를 미국에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 이어 "추가로 한국은 1천억 달러 상당의 액화천연가스(LNG)나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한국의 투자 목적을 위해 큰 액수의 돈을 투자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언급. 또한, "이 액수는 향후 2주 내로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이 양자회담을 위해 백악관으로 올 때 발표할 것"이라면서 "난 새 대통령에게 그의 선거 승리에 대해서도 축하하고 싶다"고 밝힘.
▷한편,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최대 25%의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강점으로 삼아온 K뷰티 기업들에 영향이 있을 것이란 우려가 커진 바 있음. 관세 협상이 최종 불발될 경우, K뷰티 수출에도 적잖은 타격이 예상되기도 했음. 식약처에 따르면, 국내 화장품의 올 상반기 수출 규모는 55억달러(한화 약 7조6,213억원)를 잠정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14.8% 증가. 특히, 미국 수출액은 10억2,000만달러(약 1조3,800억원)으로 1위 중국(10억8,000만달러)을 바짝 쫓고 있으며, 최근 5년간 미국 수출액은 2배 이상 증가해 K뷰티의 글로벌 성장을 견인하고 있음.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8(2020년=100)로 전달보다 1.2% 상승. 이 가운데, 재화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보다 0.5% 늘었다며, 의복 등 준내구재(4.1%), 화장품 등 비내구재(0.3%)에서 판매가 늘어났음.
▷이 같은 소식 속 엔에프씨, 씨앤씨인터내셔널, 제이준코스메틱, 에이피알, 실리콘투, 한국콜마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자동차 대표주/부품/전기차 :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속 자동차 관세 15%에 대한 실망감 등에 하락
▷대통령실은 이날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상호관세만이 아니라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도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힘.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미국이 한국에 8월 1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한 상호관세 25%는 15%로 낮아진다"며 "또한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다"고 언급. 다만, 대통령실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자동차 품목 관세가 15%로 결정된 것에 대해 "12.5%를 최선을 다해 주장했지만 거기까지였다. 유럽 같은 경우도 다 15%"라며 "아쉬운 부분"이라고 밝힘.
▷한편, 완성차업계의 위기감은 지속되고 있음.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 미국의 대일본, 대EU 관세율은 품목별로 1~10% 수준이었음. 미국은 두 국가와 FTA를 체결하지 않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약 2~3% 수준의 관세가 적용돼 왔음. 반면, 미국과 FTA를 체결한 우리나라는 거의 대부분 품목에서 0% 관세를 적용받았음. 일본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자동차에 대한 품목관세를 기존 25%에서 12.5%로 절반을 낮췄으며, 기본관세 2.5%를 더하면 총 15%의 관세이고 EU 역시 동일한 조건으로 미국과 합의했음. 이에 일본과 EU 사례를 감안하면 한국도 자동차에 대해 12.5%의 관세를 적용받는 것이 맞지만, 이러한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아 일부 실망감이 나오는 모습.
▷이와 관련, 기아, HL만도, 현대위아, 현대모비스, 현대차, 모티브링크, 에스엘, 삼기, 화신 등 자동차 대표주/부품/전기차 테마가 하락.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등 :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속 철강 관세 유지 소식 등에 하락
▷3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힘. 상호 관세가 10%P 인하됐지만, 철강 등 금속 제품 관세는 이전 수준을 유지했음. 이와 관련, 미 상무부는 이번 무역 협상에 대해 "자동차 관세는 25%에서 15%에서 조정한다"면서도 "철강, 구리, 알루미늄은 변동이 없다"고 밝힘.
▷특히, 일본과 달리 알래스카 LNG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언급이 빠지면서 관련주들 중심으로 실망 매물이 출회되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하이스틸, 동양철관, 대동스틸, 넥스틸, 이렘, 유에스티, 휴스틸, 세아제강 등 철강 중소형/ 철강 주요종목/ 강관업체(Steel pipe)/ 남-북-러 가스관사업 등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한미반도체(042700) : HBM4(6세대 HBM)용 장비 전량 수주 기대감 등에 강세
▷동사는 전일 서울 영등포구 포스트타워에서 기업설명회를 통해 향후 사업전략을 설명. 김정영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장비사의 실적은 고객사의 투자에 연동된다”며 “향후 HBM 생산 기업들이 HBM4(6세대 HBM) 생산에 집중할 것이라 보는데 자사는 HBM4 생산을 위한 TC본더 장비를 전량 수주할 것”이라고 밝힘. 이를 바탕으로 올해 매출이 많게는 1.1조원 정도로 지난해 대비 최대 두배 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
▷또한, 추가 고객 확보를 위한 잠재 기업과도 소통하고 있다며, 김 부사장은 “인공지능(AI) 반도체, HBM 생산과 관련해서 국내 신규 고객사 몇몇곳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이고 준비 중”이라고 밝힘. 업계에선 현재 고객인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국내에서 HBM을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인 삼성전자도 이 중 한 곳으로 추정되고 있음.
롯데정밀화학(004000) : 3분기 영업이익 증익 기대감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5 영업이익은 230억원(+164.2% QoQ)의 큰 증익이 예상된다고 밝힘. 특히, 염소계열 영업이익은 15억원으로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정기보수 영향은 제거될 것으로 예상되며, 견조한 ECH 시황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라고 분석. 이어 ECH 가격은 7월 $1,400/톤을 돌파했다며, 반덤핑 관세의 영향은 지속되는 상황에서 글리세린 가격 상승은 지속, ECH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2H25 펀더멘탈 개선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6년에도 염소 펀더멘탈 개선, 식의약 증설 Ramp-up에 따른 전반적 증익이 예상된다고 언급. 특히, ECH 공급망 재편은 발생 중인 상황에서 2025년 이후에도 업황 개선은 지속될 것으로 추정. 한편, 현재 12MF P/B는 0.45배로 부진했던 2024년의 0.5배 대비해서도 낮은 상황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8,000원 -> 54,000원[상향]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에 소폭 상승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27조원(전년동기대비 +168.70%), 영업이익 8,644억원(전년동기대비 +156.34%), 순이익 2,877억원(전년동기대비 +79.92%).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2분기는 지상방산 부문 실적 호조와 한화오션의 안정적 실적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을 이어갔다"며, "하반기는 중동과 유럽 등을 중심으로 수주를 확대하고 누리호 4차 발사의 성공을 통해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힘.
한화비전(489790) : 2분기 전기대비 순손실 확대 속 소폭 하락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571.62억원(전기대비 +1.2%), 영업이익 562.68억원(전기대비 +27.0%), 순손실 101.88억원(전기대비 적자폭확대).
한화솔루션(00983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3분기 적자전환 전망 등에 하락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영업이익은 1,021억원(QoQ +237%, YoY 흑전)으로 컨센(1,392억원)을 27% 하회했다며, 케미칼의 적자폭 축소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의 회복이 더뎠다고 밝힘. 지배순이익은 -2,016억원으로 컨센을 대폭 하회했다며, TPO 매각과 동시에 소수지분 투자에 따른 평가차손 약 600억원 등이 반영된 영향이라고 설명.
▷이어 3Q25 영업이익은 -1,604억원(QoQ 적전, YoY 적지)으로 적자전환을 전망한다며, 현재 컨센 2,401억원을 크게 하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신재생의 적자를 가정했다며 신재생 영업이익은 -1,230억원(QoQ -2,792억원)을 전망한다고 밝힘.
▷아울러 주택용 에너지의 이익 추정치 조정과 모듈 원가 상승 불구하고 판가 전가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 때문에 하반기 영업이익 추정치를 하향했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 -> Neutral[하향], 목표주가 : 40,000원 -> 33,000원[하향]
삼성물산(028260) :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02조원(전년동기대비 -8.93%), 영업이익 7,526.14억원(전년동기대비 -16.41%), 순이익 5,265.24억원(전년동기대비 -28.27%).
▷한편, 한남4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조합과 1.56조원(최근 매출액대비 3.73%) 규모 공급계약(한남4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체결 공시.
포스코DX(022100) :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728.57억원(전년동기대비 -22.70%), 영업이익 170.82억원(전년동기대비 -29.83%), 순이익 144.41억원(전년동기대비 -29.17%).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 2분기 실적 부진 분석 및 3분기 적자지속 전망 등에 하락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은 매출액 827억원, 영업적자 53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힘. Captive 고객을 중심으로 출하량이 QoQ +60% 증가했으나, 판가 하락으로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다고 언급. 이어 전방 산업이 부진한 상황에서 중국의 저가 분리막도 과잉 공급되다 보니 가동률 상승을 위해 판가 하락을 피할 수 없었다고 분석.
▷아울러 동사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881억원, 영업적자 506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Captive 고객향으로 출하량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OBBB 법안 통과 이후 북미 중심으로 불확실성은 높아졌다고 언급. 낮아진 판가로 인해 수익성 개선도 제한적일 것으로 추정.
▷투자의견 : BUY -> HOLD[하향], 목표주가 : 27,000원 -> 26,000원[하향]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엠에스파워제일차 주식회사(기타) 등 대상 10,489,508주(2,9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28,600원, 상장예정:2025-08-28) 공시.
SK이노베이션(096770) : 2분기 적자폭 확대에 하락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9.30조원(전년동기대비 +2.69%), 영업손실 4,175.6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순손실 1.03조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관세 영향,유가 하락 등 어려운 대외 환경으로 인해 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밝힘. 반면, "배터리 사업부문은 북미 공장 가동률 확대 등으로 역대 최대규모의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를 기록하는 등 영업이익 개선세가 전분기 대비 크게 높아졌다"고 밝힘.
대웅제약(069620) : 나보타 100 unit 중국 품목허가 신청 자진취하 등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나보타 (Clostridium Botulinum Toxin Type A) 100 unit 중국 품목허가 신청 자진취하 공시. 이와 관련, 품목허가가 통상 승인되는 기간을 초과하는 상황으로 본 인허가 건은 회사 내부의 종합평가와 사업 개발 전략 조정에 따라, 확실하게 허가를 받기 위해 충분한 보완을 거쳐 재 제출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하여 이에 기존 제출한 허가신청을 자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힘.
▷25년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3,639.32억원(전년동기대비 +11.79%), 영업이익 625.09억원(전년동기대비 +26.02%), 순이익 489.04억원(전년동기대비 +643.44%).
세방전지(004490) :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4,253.67억원(전년동기대비 +10.78%), 영업이익 300.21억원(전년동기대비 -24.78%), 순이익 190.78억원(전년동기대비 -54.08%).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NEW(160550) : 동사 배급 영화 '좀비딸' 올해 개봉 영화 오프닝 최고 성적 소식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배급을 맡은 영화 '좀비딸'이 올해 개봉한 영화 중 오프닝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고 전해짐.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좀비딸’은 개봉 전 시사회 관람객까지 합쳐 누적관객 46만 2,000명을 기록했으며, 이는 올해 한국 영화, 외화를 포함해 최고 성적이라고 알려짐.
▷또한, 역대 한국 코미디 영화 최고 오프닝 스코어를 달성했다고 전해짐. '좀비딸'은 역대 관객 수 2위 ‘극한직업’의 첫날 스코어(36만 8,582명)까지 제쳤으며, 최근 5년간 개봉한 비시리즈 한국 영화 가운데 최고 오프닝 스코어도 달성했다고 전해짐.
미래나노텍(095500) : 계열사 미래첨단소재, 국내 대형 양극재 제조사에 4.5만t 규모 무수리튬 공급예정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이차전지 소재 계열사 미래첨단소재가 국내 대형 양극재 제조사에 4만5,000t 규모로 무수리튬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 물량인 4만5,000t은 양극재 17만t 수준을 제조할 수 있는 규모로, 미래첨단소재는 이번 계약을 통해 내년 상반기부터 해당 기업에 3년간 무수리튬을 납품할 예정이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미래첨단소재 관계자는 "무수리튬 양산을 본격화하면서 국내외 수요 대응력이 크게 강화됐다"며, "올 하반기 생산능력 증설과 함께 양극재 첨가제를 포함한 주요 소재군 공급망도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제이브이엠(054950) :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75.37억원(전년동기대비 +25.93%), 영업이익 109.03억원(전년동기대비 +58.70%), 순이익 89.00억원(전년동기대비 +47.30%).
▷이와 관련, 신한투자증권은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추정치 대비 +10.4%, +43.0% 상회하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으며, 수익성 높은 수출이 고성장하여 2분기 역대 최고 영업이익률 달성(22.9%, +4.7%pt)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3,000원 -> 38,000원[상향]
아모텍(052710) : 미국 반도체 기업으로부터 AI용 MLCC 제품 공급 승인 소식에 급등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미국 반도체 기업으로부터 AI용 MLCC 제품 공급 승인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동사가 AI용 MLCC를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올해 하반기 중 초도 물량을 납품할 계획. 또한, 다른 미국 반도체·네트워크 장비 업체들과도 공급을 협의 중이어서 추가 수주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일본 상위 MLCC 기업의 고사양 제품 수준의 성능 구현이 가능하며 특히 초고주파 영역에서 데이터전송 효율을 극대화하는 특성이 우수하다”면서 “고성능 AI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서버 등 초고속 데이터 송수신 환경에서는 데이터 처리의 '신호 무결성' 확보가 중요하고 특히 100㎓ 이상 초고주파 환경에서는 신호 무결성이 더욱 중요해 AI용 MLCC 제품 성장성이 클 것”이라고 밝힘.
비트맥스(377030) : 국내 상장사 최초 비트코인 500개 돌파 소식 속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비트코인 56.04개를 추가 매입하며, 총 보유량이 500.1234BTC에 달했다고 밝힘. 국내 상장사 가운데 비트코인 보유량이 500개를 넘은 것은 동사가 유일하며, 이번 추가 매입으로 동사는 전 세계 비트코인 보유 상장사 순위에서 기존 50위에서 49위로 한 계단 상승한 것으로 전해짐. 아시아 상장사 기준으로는 13위에 해당하며, 10위권 진입도 가시권에 들어섰음.
ISC(095340) : 3분기 분기 최대 실적 전망 등에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수익성은 시장기대치를 소폭 밑돌았지만, 3분기에는 매출 682억원, 영업이익 183억원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실적 발표회에서 번인테스터 및 번인 소켓 초도 공급, AI 가속기용 실장테스터 및 소켓의 초도 공급 사실을 밝힌 바 있는데 후공정 장비 사업 인수에 따른 본업과의 시너지는 2026년부터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빅테크 업체들의 견조한 설비투자(CAPEX) 계획과 연이은 AI 데이터센터 투자 건이 발표되고 있다며, AI 가속기 신규 칩 연구 개발 및 양산 적용이 본격화되는 상황인 만큼 수혜가 예상된다면서 상저하고 실적 흐름 감안 시 조정 시마다 매수 접근이 유효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3,000원[유지]
HK이노엔(195940) : 하반기 케이캡 매출 성장 지속 전망 등에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 케이캡 국내 및 수출 매출 성장이 지속되고, H&B 사업부 실적 회복이 예상되며, 화이자 코로나 백신 유통사로 낙찰되면서 관련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케이캡의 미국 품목 허가 신청, 미란성 유지요법 임상3상 데이터 발표, 유럽 L/O 등 R&D 모멘텀이 유효하다며 적정주가를 상향 조정한다고 밝힘.
▷한편, 2Q25 실적은 매출액 2,631억원(+20.0% YoY, +6.4% QoQ), 영업이익 195억원(-19.8% YoY, -23.0% QoQ; OPM 7.4%)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고 밝힘. 다만, 7월 말부터 신규 생산 음료 제품으로 출고가 재개되고, 보상 여부에 따라 실적 회복 속도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언급. 이어 주요 품목인 케이캡을 비롯해 신규 도입 품목 아바스틴(항암제) 등 ETC 매출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3,000원 -> 65,000원[상향]
딥노이드(315640) : 산업부 '의료 특화 생성형 AI' 국책과제 선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글로벌 연계형 멀티모달 의료 특화 초거대 생성형 AI 기술 개발 국책과제 선정 공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에서 주관하는 국책과제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사업의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총 연구비는 116.71억원, 정부지원 연구개발비는 85.50억원, 동사분 정부지원 연구개발비는 49.87억원(자기자본대비 26.19%)임.
▷이와 관련, 최우식 동사 대표는 언론을 통해 "이번 프로젝트로 의료 AI 기술력을 초거대 생성형 모델로 확장하게 됐다"며 "현재 의료 AI 시장의기술 경쟁이 치열한 만큼 상용화를 통한 실증 능력이 중요하다.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한국 의료 AI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입증하겠다"고 밝힘.
네오이뮨텍(950220)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유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1,078원임.
우리넷(115440) : 양자암호통신 산업 성장 수혜 분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기존 전송망 장비 뿐만 아니라 양자암호통신에서도 독보적인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향후 산업 성장의 최대 수혜주로 발돋움 할 것으로 전망. 트래픽 증가 추세와 5G-SA 도입, 백본급 전송망의 국산화를 감안하면 수요 업사이드(상승여력)가 큰 시장이라며, 향후 통신사 장비에 양자암호통신 솔루션이 탑재됨에 따라 공급가와 이익률의 인상이 전망된다고 밝힘.
▷이어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고 향후에도 실적 견인할 요소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양자 암호통신 피어(동종) 업체 대비해서 멀티플이 낮은 수준이어서 멀티플 확장이 예상된다며,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잠재력을 인정받으면 큰 폭의 주가 상승도 가능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10,000원[신규]
와이바이오로직스(338840) : 35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아주좋은벤처펀드2.0 등 대상으로 35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1,430원, 전환청구일:2026-08-07 ~ 2030-07-07) 공시.
대원미디어(048910) : 닌텐도 스위치2 효과로 실적 반등 기대감 등에 상승
▷지엘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스위치2 출시 효과와 스포츠 카드 매출 성장 등 다각화된 성장 전략을 통한 실적 반등이 예상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2025년 상반기 출시된 닌텐도 스위치2는 전작 대비 높은 관심과 수요를 보이며, 동사의 유통 부문 매출 회복에 강한 모멘텀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 이어 동사는 닌텐도 유통 외에도 캐릭터 IP 기반의 패션ㆍ테마파크ㆍ스토어 협업과 스포츠 트레이딩 카드 유통 등 다각화된 수익원을 확보하고 있다고 분석.
▷아울러 스위치2 관련 연간 매출은 약 1,400억 원 수준으로 전망되며, 유통과 카드사업 동반 성장에 따라 2025년 당기순이익 흑자전환과 배당 재개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지엔씨에너지(119850) : AI 관련 매출 상승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그로쓰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AI관련 매출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SK텔레콤은 AWS와 합작으로 7조 원규모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조성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동사는 연간 1조 원의 AI 관련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 이어 이재명 정부의 AI 고속도로 정책은 인프라 구축을 넘어 산업 전반의 구조적 변화를 예고한다며, 인프라ㆍ반도체ㆍ데이터ㆍ인재를 하나의 유기적 생태계로 엮는 전략이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한국은 글로벌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실질적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밝힘.
SGC E&C(016250) : 2분기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360.35억원(전년동기대비 +11.33%), 영업이익 149.44억원(전년동기대비 +1,496.58%).
루닛(328130) : 30억원 규모 정부과제 선정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주관하는 ‘2025년 전략기술형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글로벌기술도입형)’ 과제에 선정돼 ‘AI 기반 개인맞춤형 유방암 전주기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고 밝힘.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해외 우수 기술의 국내 도입 후 추가개발을 통해 국내사업의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고 해외 시장진출 확대 등 개방형 혁신 활동을 촉진하고자 하는 사업이며, 동사는 이번 선정을 통해 총 3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고, 2028년 6월까지 3년간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 이번에 개발하는 플랫폼은 개인별 유방 밀도, 유방암 위험도, 예후진단 등을 고도화하고, AI 기술을 통합한 차세대 유방암 통합관리 솔루션임.
바이오니아(064550) : 2분기 흑자전환에 소폭 상승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83.92억원(전년동기대비 +12.68%), 영업이익 55.54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6.0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매출 상승 요인들이 여전히 존재하는 가운데, 상반기 대비 개선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구조조정을 통해 비용 효율화 기반을 마련한 만큼, 하반기에는 본격적인 사업 성과 창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주성엔지니어링(036930) : 2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87.92억원(전년동기대비 -19.04%), 영업이익 65.75억원(전년동기대비 -81.76%), 순이익 50.40억원(전년동기대비 -84.76%).
▷이와 관련,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영업이익이 컨센서스 295억원 대비 78% 하회했다고 밝힘. 아울러 장비 매출 일부가 3분기로 이연되면서 매출액이 기대치를 하회했고, 이익률이 높은 중국향 매출 비중이 1분기 70%에서 2분기 40%대로 낮아져 영업이익과 이익률 모두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7,000원 -> 38,000원[하향]
미트박스(475460) : 美 소고기 추가 개방 무산 소식에 급락
▷언론에 따르면, 한미 무역 협상에서 소고기 시장 추가 개방이 제외됐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한미 관세협상 타결 브리핑에서 "미국과 협의 과정에서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강한 요구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밝힘.
▷한편, 동사는 축산물 직거래 플랫폼 업체로 최근 미국이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등 미국산 소고기 수입 규제 완화를 요구할 것이라는 관측 속 부각된 바 있음.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