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7.29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7-29 11:16
- 조회수 :
- 215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피팅(관이음쇠)/밸브, 조선기자재,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조선,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LNG(액화천연가스), 생명보험, 건설기계, 웹툰, 남북경협, 재택근무/스마트워크, 건설 대표주, 원자력발전, 네옴시티, 셰일가스(Shale Gas), CCTV&DVR, 메타버스(Metaverse), 남-북-러 가스관사업, 전선, 우크라이나 재건, 보안주(물리),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
약세 테마 : 타이어, 정유, 화학섬유, 온디바이스 AI, 리튬, 카지노, 통신, 뉴로모픽 반도체, 탄소나노튜브(CNT), 캐릭터상품,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제습기, 2차전지(나트륨이온), 석유화학, 자원개발, 2차전지(전고체), 페라이트, 두나무(Dunamu), 윤활유, 전기자전거, 시스템반도체, 자동차 대표주, 아이폰,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희귀금속(희토류 등), 자율주행차, 폴더블폰, 2차전지(생산) 등...
[특징 테마]
조선/ 조선기자재 : 한미 조선 협력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IBK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7월 28일 현지시간 Tradewinds는 한미 관세 협상 일환으로 한국의 대미 조선업 투자가 4,000억달러(한화 550조원) 규모로 협상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고 언급. 해당 투자에는 미국 현지 조선소 설립 또는 인수, 중소형 기자재 업체들의 미국 시장 진출 지원 및 현지 조선업 허브 구성, 상선 및 함정의 공동 모듈러 건조(ex. 블록 건조) 등이 포함됐다고 설명.
▷아울러 조선 업종은 실적(과거), 수주(현재), 모멘텀(미래) 삼박자가 모두 좋아 최고 호황기에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 특히, 과거 2000년대 사이클 당시 없었던 미국발 모멘텀이 기다리고 있다며, 과거 대비 멀티플이 높아야 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판단하고 조선업종은 여전히 매수하기 매력적인 구간이라고 밝힘.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인하를 인질로 대미 투자를 요구하고 있는데, 미국은 분명 국내 조선업체들의 협력을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조선업종 내 협력이 관세 협상의 주요 카드로 부상하고 있다고 밝힘. 특히, 향후 미 해군의 MRO 집행예산 중 OPN (Other Procurement, Navy) 부문이 해외 조선소에 개방되어 전투함에 대한 국내 조선사들의 MRO 수주가 가능해진다면, 이로 인한 신규 도크 수요는 현재 군산에 있는 유휴 도크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분석.
▷또한, 조선 업종은 밸류에이션 리스크 제외시 하방압력이 제한적인 구간에 있다며, 이와 관련 후판가 인상에 대한 우려는 이미 최근 조정에 반영되었고, 상선 업황은 하반기 수주 모멘텀 회복으로 연간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며, 2Q25 호실적을 전제한다면 이후 MASGA를 통한 대미 투자 패키지의 수혜를 가장 큰 rerating catalyst라고 판단한다고 밝힘. 이에 조선 업종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힘.
▷이에 금일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동성화인텍, 태광, 한국카본, 대창솔루션, 케이프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남북경협 : 북미 대화 기대감 속 상승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우리 국가수반과 현 미국대통령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면서도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과거에만 집착한다면 조미(북미) 사이의 만남은 미국측의 '희망'으로만 남아있게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조미 수뇌들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비핵화 실현 목적과 한선상에 놓이게 된다면 그것은 대방에 대한 우롱으로밖에 달리 해석될 수 없다고 강조.
▷미국 백악관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북한 비핵화를 위한 북미 협상은 불가능하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대화 의지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힘. 백악관 당국자는 2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완전히 끝내기 위해 김정은 위원장과 소통하는 데 여전히 열려 있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좋은사람들, 인디에프, 일신석재, 아난티, 제이에스티나, 신원 등 남북경협 테마가 상승.
화장품 : 하반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화장품 업종에 대해 2H25E 기업 가치 반등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일부 기업의 높은 컨센서스가 주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미국 오프라인·유럽·중동 등의 회복세로 하반기 실적 개선이 전망된다고 밝힘. 특히, 실리콘투는 유럽 창고 확장에 따른 재고 증가로 실적 회복 기대감이 크다고 언급.
▷아울러 2024년 하반기 실적 둔화는 아마존 내 가격 경쟁 심화 및 MOCRA 규정으로 인한 미국 진출 지연이 주요 원인이었으나, 2025년에는 해당 리스크가 상당 부분 해소되었다고 설명. 아마존 프라임 데이에서 에이피알이 화장품 카테고리 1위를 기록했고, 아누아, 토리든 등도 메가와리 행사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며 온라인 채널 내 점유율 확대가 두드러졌다고 밝힘.
▷또한, 인디 브랜드와 ODM 업체들의 실적 상향으로 외국인 지분율이 상승하고 있으며, 달바글로벌은 상장 두 달 만에 외국인 보유율이 10%에 근접했다고 밝힘. 이는 글로벌 화장품 대비 국내 업체의 실적 우위에 따른 주가 하방 경직성 확보로 해석된다며, Ulta Beauty 등 미국 주요 유통 채널에서 K뷰티 브랜등늬 입점도 두 배 이상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브이티, 코스메카코리아, 네이처셀, 에이피알, 네오팜, 제닉, 펌텍코리아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팜젠사이언스(004720) :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 '미그리스정' 허가 획득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 ‘미그리스정’(미그리톨)의 제네릭 의약품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힘. 이는 오리지널 의약품인 '미그보스필름코팅정'을 대조약으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을 거친 결과이며, 다음 달 '미그리스정'을 정식 출시할 계획이라고 언급.
▷'미그리스정'은 식이요법만으로 혈당 조절이 어려운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 옵션으로, 1일 3회, 1회 50mg 복용으로 처방되며, 기존 치료제 대비 GLP-1 분비 촉진을 통한 포만감 증가, 식욕 억제, 탄수화물 흡수 지연 등 복합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는 '미그리스정' 허가가 제네릭 포트폴리오 강화뿐 아니라, 수탁 제조 3곳을 통한 안정적인 수익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풀무원(017810) : 中 냉동김밥 인기 소식 등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냉동김밥이 중국 현지 유통 채널과 소셜미디어(SNS) 중심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전해짐. 최근 현지에서 ‘간편하고 고급스러운 한식 한 끼’로 입소문을 타고 있으며, 중국 MZ세대(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 출생)가 주로 이용하는 SNS인 샤오홍슈·더우인(중국 틱톡)·웨이보 등에는 동사 냉동김밥을 시식하는 영상·리뷰가 다수 올라왔고, ‘데우기만 하면 한국 맛집 김밥’이라는 글 등이 게재됐다고 알려짐.
▷동사의 냉동김밥은 지난해 9월 중국 대형 유통업체인 샘스클럽(Sam’s Club)에 입점한 가운데, 이후 11개월 만에 현지 누적 판매량 250만줄을 돌파했으며, 현지 누적 판매 금액은 5,300만위안(한화 약 104억원)에 달한다고 알려짐. 앞서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이 중국에서 K(케이)푸드 열풍을 키운 것처럼, 동사 냉동김밥의 인기가 이어질지 주목되고 있다고 전해짐.
▷한편, 냉동 김밥을 판매하는 우양도 시장에서 부각.
NHN(181710) : 자회사 NHN클라우드, GPU 확보 사업 참여사 선정 소식에 강세
▷언론에 따르면, 동사 자회사 NHN클라우드가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사업 참여 사업자로 선정된 것으로 전해짐. 이번 사업은 첨단 GPU를 확보해 국내 AI 연구와 서비스 개발의 기반을 확대하고, 산학연 등 주요 수요처에 안정적으로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 것으로 전해짐.
▷정부는 해당 사업자들과 협력해서 첨단 GPU 1만3,000장을 확보할 계획이며, 이중 NHN클라우드는 총 7,656장의 B200을 확보·구축하며 전체를 B200으로 구성해 수냉식으로 가동할 계획임.
HDC현대산업개발(294870) : 4,453.23억원 규모 연산10구역 재개발정비사업 수주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연산10구역 재개발정비사업조합과 4,453.2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5%) 규모 공급계약(연산10구역 재개발정비사업) 체결 공시.
LF(093050) :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259,605주(5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7-29~2025-10-28) 공시.
효성(004800) : 자회사 호실적에 따른 올해 추정 배당금 상향 조정 등에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이익이 당사 및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하는 깜짝 실적을 시현했다며, 주된 이유는 효성중공업의 실적 서프라이즈에 따른 지분법 손익 증가, 연결자회사인 효성티앤에스의 실적 개선, 지분법 손실을 예상했던 효성화학이 온산 터미널 매각이익 반영에 따라 지분법 이익을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특히, 연결자회사인 효성티앤에스는 미국 대형은행 및 유럽 시장 수주물량 확대와 동남아(인도, 인니)시장 매출 호조와 비용절감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되는 중인 가운데, 하반기에도 선진국향 매출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지분법 자회사인 효성중공업의 실적도 하반기 견조한 흐름을 예상되는 가운데, 실적 호전에 따라 연말 배당 증가에 대한 기대감 유입 가능하다고 밝힘. 이에 25년 추정 DPS 3,000원에서 3,500원으로 상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2,000원 -> 115,000원[상향]
iM금융지주(139130) : 2분기 실적 호조 및 자사주 소각 결정 등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27조원(전년동기대비 +12.42%), 영업이익 1,985.53억원(전년동기대비 +493.29%), 순이익 1,592.80억원(전년동기대비 +417.57%). 아울러 보통주 1,375,516주 소각 결정 공시. 소각예정금액은 200.00억원 규모임.
▷이와 관련,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정상화된 수준의 순이익을 보인데 이어 2분기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면서 실적 안정성에 대한 신뢰를 높여가고 있다고 밝힘. 특히, 2024년 적자를 기록하는 등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이었던 투자증권 실적 회복이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
▷아울러 작년 실적부진을 초래한 원인인 증권 자회사 순이익 및 충당금비용이 대규모 비용인식을 통해 안정화되었기 때문에 향후 변동성이 생기더라도 이전 수준은 아닐 전망이라며, 올해 연결순이익 전망치를 상향조정했고 ROE는 작년 3.7%에서 올해 7.8%로 개선될 전망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6,500원 -> 17,500원[상향]
동국제강(460860) : 하반기 이익 개선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이익은 299억원(-26.1% YoY)을 기록하며 전분기에 이어 개선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분석. 후판의 판매량은 234만톤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7.2% 증가했는데, 이는 조선업 호조와 중국산 열연 예비판정(2월) 영향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 봉형강 역시 계절적 성수기 진입함에 1분기 대비 판매량이 25.0% 가량 개선되었으며, 4분기부터 SOC 투자 및 부양책에 따른 봉형강 수요 회복이 점진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하반기 동사의 이익은 상반기 대비 소폭 회복될 것으로 전망. 특히, 지난 2분기 후판 판가 및 스프레드 회복으로 인한 이익 측면의 긍정적인 영향이 증명되었으며, 이는 하반기 철근 수요 불확실성에 따른 이익 훼손을 상쇄 가능하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업사이드는 존재한다고 판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3,000원 -> 15,000원[상향]
현대오토에버(307950) : 하반기 차량용 SW 부문 추가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및 로보틱스 신사업 불확실성 등에 하락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하며 주가 반등에 성공했지만, 하반기 차량용 SW 부문의 추가적인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및 로보틱스 신사업 관련 보수적인 소통은 현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자동차 품목관세로 인한 고객사의 차량용 SW 제품군 수요 감소로 매출액 성장률 둔화 추세가 확인됐다고 밝힘.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현재로서는 언제, 어떤 로보틱스 제품군에 대해 신사업 전개를 시작할 수 있을 지 파악할 수 없다고 코멘트했다고 밝힘. 특히, Boston Dynamics가 아직 Spot, Atlas 양산 체제를 구축하지 못했음을 한계점으로 제시했다고 설명. 이에 동사는 현 주가에서 추가적인 업사이드를 타진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멀티플 상단을 부여할 근거가 필요하며, 결국 경영진 차원에서의 로보틱스 신사업 공식화 및 숫자 기반 성장성 제시가 뒷받침되야한다고 분석.
▷투자의견 : Marketperform[유지], 목표주가 : 150,000원[유지]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프로티나(468530) : 신규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4,000원을 상회한 23,75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현재 급등세를 기록중임. 한편, 동사는 단백질 빅데이터 업체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PPI)을 분석하는 SPID(단일분자 단백질 상호작용, Single molecule Protein Interaction Detection) 플랫폼을 기반으로 PPI 바이오마커 개발 솔루션으로 사업화 한 PPI PathFinder™ 서비스와 항체 최적화 및 디자인 솔루션으로 사업화 한 PPI Landscape™ 서비스를 제공중임.
소룩스(290690) : 합병 예정 아리바이오, 중화권 지역 상용화 관련 최종 파트너사로 中 푸싱제약 선정 소식 등에 급등
▷아리바이오는 언론을 통해 중국의 글로벌 제약사 푸싱제약이 경구용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AR1001의 중화권 지역 상용화를 맡게 될 최종 파트너사로 선정됐다고 밝힘. 아리바이오 AR1001의 중국 독점판매권을 보유한 뉴코 유나이티드 파마슈티컬은 전일 상하이 푸싱제약과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를 포함한 대중화권에서 AR1001의 제조 및 상업화를 위한 독점 판매 계약 체결을 발표했다고 언급.
▷언론에 따르면, 총계약규모는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로, 선급금·단계별 마일스톤(기술료)이 포함됐으며 여기에 두 자릿수 로열티가 더해진 것으로 알려짐. 이에 아리바이오는 코스닥 상장사인 동사와 합병에서 걸림돌 중 하나였던 ‘중국 계약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알려짐.
씨이랩(189330) : 엔비디아, 개인용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 국내 예약 주문 소식 속 엔비디아 공식 파트너사로 부각되며 급등
▷언론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인용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의 국내 예약 주문을 시작한다고 전해짐. DGX 스파크는 데스크톱 컴퓨터에 GB10 슈퍼 칩을 탑재해 최대 1페타플롭(1초당 1천조 번의 연산을 할 수 있는 능력)의 AI 능력을 제공한다고 알려짐.
▷예약 주문 및 대량 구매 주문은 엔비디아 공식 홈페이지와 한국 파트너사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한국엔 한정 수량 1,500대가 배정된 것으로 전해짐. 4TB 파운더스 에디션 제품의 한국 출시가는 715만원으로 확정됐으며, 미국 출시가가 3,999달러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한 프리미엄을 적용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엔비디아의 공식 파트너사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와토스코리아(079000) : 2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2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7-28~2025-09-30, 삼성증권(Samsung securities)) 공시.
펩트론(087010) : 241.77억원 규모 교환사채 발행 결정 등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확보를 위해 케이비-수성 제2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등 대상으로 241.77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326,895원, 교환청구일:2025-08-06 ~ 2030-07-05) 공시.
▷보통주 73,961주(241.77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기간:2025-08-05) 공시.
네오팜(092730) : 2분기 실적 개선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 8% 증가한 324억원과 66억원으로 추정한다고 밝힘. 특히, 아토팜(YoY +10%)을 비롯, 제로이드(YoY +30%), 리얼베리어(YoY +40%)가 국내외 다양한 채널에서 고신장하면서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높은 제품력과 국내 브랜드 인지도는 해외 사업 확장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며, 2024년~27년 CAGR 10% 이상의 외형 성장과 이익 개선은 가능할 것으로 전망. 국내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과거 10년 이상 안정적인 실적 개선 이력은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요인이라며, 현재 주가는 12MF PER 10배로 저평가 상태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26,000원[신규]
플레이디(237820) : 2분기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97.92억원(전년동기대비 -1.25%), 영업이익 16.97억원(전년동기대비 +53.99%), 순이익 16.27억원(전년동기대비 +45.26%).
뉴로핏(380550) : 로슈와 뇌 영상 분석 기술검증 계약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빅파마 로슈(Roche)와 뇌 영상 분석 기술검증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는 AI를 기반으로 로슈의 임상시험에서 생성된 뇌 자기공명영상(MRI) 데이터를 활용해 뇌 영상을 분석하고 로슈는 해당 기술 성능의 검증을 수행할 예정임. 동사는 이미 로슈와 상당 수준의 데이터 공유를 진행했으며, 이번 기술검증 계약으로 협력이 공식화됨에 따라 후속 협력 논의도 빠르게 추진할 계획.
▷이와 관련, 빈준길 동사 공동대표는 "대규모 의료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번 연구 계약을 맺은 것은 고무적"이라며 "세계 최대 제약사 중 하나인 로슈와 연구 협업을 진행하게 돼 기쁘고, 향후 사업 계약으로 발전시켜 신규 기술개발 및 치료제 임상시험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나인테크(267320) : 유리기판 혁신 도금기술 특허 출원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나노엑스와 공동으로 유리기판 기반의 미세홀 도금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힘. 이번 공동 출원된 기술은 유리기판에 미세홀을 형성한 후 미세홀에 도금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이며, 특히 종횡비(aspect ratio)가 8대1 이상의 고 종횡비를 갖는 미세홀 내부에도 금속을 균일하게 도금시킬 수 있어 전기적 신뢰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동사와 나노엑스는 이번 특허를 기반으로 양산 공정 개발 및 고객사 테스트 확대를 추진 중이며, 향후 고부가가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키징 시장에서 글로벌 기술 선도를 목표로 협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임.
▷동사 관계자는 “이번 공동 특허출원은 나노엑스의 소재 및 정밀가공 기술과 동사의 반도체 공정장비 기술력이 결합된 결과”라며, “기판 제조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고기능·고신뢰 전자소자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힘.
JTC(950170) : 최대주주 변경 수반하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및 공개매수 속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구철모가 유한회사 유벤투스홀딩스투자목적회사에 보유주식 20,867,000주를 899.15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예정일:2025-09-12) 공시.
▷외국법인등의 주식 등에 대한 외국에서의 공개매수(공개매수자:유한회사 유벤투스홀딩스 투자목적회사, 매수예정수량:10,433,500주, 매수가격:4,309원) 공시.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일본 법인인 만큼 의무공개매수 제도를 따라야 하기 때문에 공개매수 방식을 취했으며, 공개매수 가격이 시가보다 낮아 일반 투자자들이 응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짐.
크라우드웍스(355390) : 2분기 적자지속에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9.94억원(전년동기대비 +8.84%), 영업손실 30.0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58.5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