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25.07.25 오전장 특징테마 및 특징주]
- 작성자 :
- 밥TV운영자
- 작성일 :
- 07-25 11:13
- 조회수 :
- 878
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항공기부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스테이블코인, 웹툰, 맥신(MXene), 페라이트, NFT(대체불가토큰), 조선, 전자결제(전자화폐), 조선기자재, 캐릭터상품, 의료AI,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무선충전기술,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핀테크(FinTech), 비철금속, 애플페이, 모바일게임(스마트폰), IT 대표주, 인터넷 대표주, 마이크로 LED, 마이데이터,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등...
약세 테마 : 2차전지(생산), 건설 대표주, 보톡스(보툴리눔톡신), 강관업체(Steel pipe), 국내 상장 중국기업, 2차전지(전고체), 모더나(MODERNA), 전력저장장치(ESS), 석유화학, 리모델링/인테리어, 건설기계, 타이어, 우크라이나 재건, 시스템반도체, 종합상사, 2차전지(소재/부품), 카지노, 리튬, 시멘트/레미콘, 화이자(PFIZER), 갤럭시 부품주, 핵융합에너지, CCTV&DVR, 건설 중소형 등...
[특징 테마]
스테이블코인 등 : 이르면 내주 스테이블코인 법안 발의 가능성 등에 상승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하원에서 스테이블코인(법정화폐와 가치가 연동된 가상자산) 법안 '지니어스법(GENIUS Act)'이 최종 통과된 가운데, 국내에서도 관련 법안 제정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빠르면 내주 스테이블코인 법안이 발의될 전망임.
▷이와 관련,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편입을 위한 정책토론회'에 참여, "현재 부처의 주요 인물들과 태스크포스를 꾸려 스테이블코인 법안 발의를 준비하고 있다"며 "다음주께 발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힘. 이어 "스테이블코인으로 인해 통화·외환 정책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법안 발의에서도 이러한 요소를 모두 고려할 예정"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미투온, 더즌, 카카오페이, LG씨엔에스, 형지글로벌, 다날 등 스테이블코인, 전자결제(전자화폐) 테마가 상승.
항공기부품 : 트럼프 관세 협상카드 '보잉' 항공기 구매 제시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외신에 따르면,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관세 협상에서 양보하면서 보잉이 글로벌 계약을 따내는 혜택을 누리고 있다고 전해짐.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협상 카드로 각국에 보잉사 항공기 구매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으로 백악관은 일본이 지난 22일 미국과 무역 합의를 하면서 보잉 항공기 100대를 구매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음.
▷보잉 항공기 구매에 나선 것은 일본만이 아니라며, 앞서 체결된 영국과 인도네시아의 무역 합의에도 보잉 항공기를 주문한다는 내용이 담겼음. 또한, 인도 역시 협상 카드로 보잉 항공기 주문을 고려하고 있다며, 앞으로 체결될 미국과 중국 간 장기 무역 협정에도 비슷한 합의가 들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보잉을 고객사로 두고 있는 하이즈항공, 아스트, 휴니드,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등 일부 항공기부품 테마가 상승.
2차전지 등 : 美 테슬라(-8.20%) 약세 영향 등에 하락
▷23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테슬라가 발표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분기 테슬라의 총매출은 224억9,6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 감소. 블룸버그통신은 이 같은 매출 감소 폭은 “테슬라 역사상 최소 10년 만에 최대치”라고 언급. 이어 2분기 주당순이익(EPS)는 0.40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3% 줄었고,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42% 감소한 9억2,300만 달러를 기록. 영업이익률은 전년동기(6.3%)보다 2.2%P 낮아진 4.1%,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6% 감소한 11억7,200만 달러를 기록.
▷특히, 실적 발표 후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아마도 힘든 몇 분기를 보낼 수 있다"며, "자율주행 사업을 크게 확대하는 내년 말까지 영업 실적이 좋지 않을 수 있다"고 내다봤음. 이어 바이바브 타네자 테슬라 최고재무책임자(CFO)도 연방 정부 정책에 따른 전기차 세액공제(7,500달러) 폐지와 배출가스 규제 기준 변경이 테슬라 사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시인했음.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엘앤에프, 신성에스티, 율촌화학, SKC, 유일에너테크, 천보,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엔켐, 한중엔시에스 등 2차전지 등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한화엔진(08274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등에 급등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실적은 매출액 3,877억원(YoY +35%, QoQ +22%)으로 컨센서스보다 15%나 많았고, 영업이익은 338억원(YoY +81%, QoQ +51%)으로 36% 상회, 순이익도 216억원(YoY +51%, QoQ +11%)으로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다고 밝힘. 특히, 2분기 영업이익률이 8.7%(YoY +2.2%p, QoQ +1.7%p)로 성장했는데, 이는 매출 레버리지, 고가의 컨테이너선 엔진 납품 증가와 함께 고가물량의 MIX 상승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
▷아울러 동사는 하반기에도 컨테이너선 엔진 납품 증가로 실적 호조를 안내했다며, 본 게임은 23년 수주 엔진이 중심이 되면서 24년 수주 물량도 납품되는 내년이 대단히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0,000원 -> 48,000원[상향]
OCI홀딩스(010060) : OBBBA 법안 통과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OBBBA 법안 통과로 ‘26년부터 태양광 프로젝트가 투자세액공제(ITC, 48E)를 수취하기 위해서는 PEF로부터 Material Assistance를 받지 않아야 하여 원가에서 non-PFE 소재 비중이 점차 높아진다고 밝힘. 태양광 모듈 원가에서 폴리실리콘 비중은 절대적이고 Non-PEF 폴리실리콘 수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동사는 OBBBA 법안 통과로 non-PEF 폴리실리콘 주문이 급증하면서 9월부터는 설비 가동률 100%를 전망하고 있다고 언급.
▷한편, 2Q25 실적은 매출 7,762억원(-18.1% qoq, -18.3% yoy), 영업이익 -777억원(적전 qoq, 적전 yoy) 기록하여 컨센서스를 대폭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05,000원 -> 128,000원[상향]
LG디스플레이(034220) : 3분기 실적 호조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실적은 매출액 6조6,000억원(+18.4%, 이하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 2,328억원(흑자전환)으로 컨센서스(2,443억원) 수준이 전망된다며, 북미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 효과로 모바일 부문(+69.9%)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추정. 이어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수요 불확실성 및 중화권 패널 업체의 M/S 확대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증설된 모바일 생산 능력 및 기술 경쟁력 중심으로 견조한 출하 증가 가능성도 올라가고 있다고 분석.
▷아울러 22~24년 적자 기록에 따른 투자자의 기대감은 낮으나 흑자전환 가시화 구간에 진입하며 주가 우상향을 예상한다고 언급. 2025년 선행 BPS(주당순자산가치) 기준 P/B(주가 순자산비율) 0.5배 수준으로 역사적 하단에 근접해 밸류에이션 매력이 존재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3,000원[유지]
카카오페이(377300) : 골드만삭스, 동사 지분 대량 확보 등에 강세
▷전일 장 마감 직전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전자공시. GOLDMAN SACHS INTERNATIONAL이 주식대차거래 및 장내매매, 교환사채권 인수계약 체결로 동사 주식 8,647,487주(6.41%)를 보유하게 됐다고 밝힘. 주권 기준으로는 2,229,192주(1.65%), 보유목적은 단순투자임.
HD현대마린솔루션(443060) : 3분기 실적 개선 및 MSCI 편입 기대감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컨퍼런스 콜에서 3분기 매출 발생이 예정된 AM부문 벌크성 매출이 존재한다고 밝혔으며, 다시 말해 본업에 +@로 추가될 수 있는 실적 개선 요소가 있다고 전망. 유휴발전소 재건사업을 패키지 단위로 수주하여 3분기 매출인식 확대될 예정.
▷아울러 8월에 있을 MSCI 구성 종목 변경에서 편입대상으로 지정될 경우 리밸런싱 수급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동사의 3분기를 더욱 미지의 영역으로 이끄는 요인이라고 설명.
▷한편, 동사는 2Q25 매출 4,677억, 영업이익 830억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매우 소폭 하회했으며, 불리한 환율 조건에서 1분기보다 OPM이 +0.6%p 상승한 17.7%를 기록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20,000원 -> 225,000원[상향]
현대글로비스(086280) : 2분기 호실적 분석 등에 상승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매출액은 7조 5,160억원(+6.4% YoY)을 기록했다며, 물류(+6.3% YoY) 부문이 국내외 완성차 내륙운송 및 수출입 물동량 증가로 선방, 해운(+5.6% YoY) 역시 비계열 물량 선적 확대로 견조했으며, 유통(+6.7% YoY) 부문은 KD물량 확대에 힘입어 호조세였다고 밝힘. 영업이익은 5,389억원(+22.7% YoY)으로 시장 기대치(5,136억원)를 상회했다며, 해운 부문이 2,002억원(OPM 14.7%, +155% YoY)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전사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
▷아울러 동사는 금번 실적발표를 통해 25년 영업이익 가이던스를 사실상 상향했다(기존 1.8~1.9조원→1.9조원 이상, 시장 기대치 2조 355억원 충족)며, 동사의 주가는 최근 상승에도 불구, 여전히 과거 5개년 평균(12개월 선행 P/E 7배)을 하회하고 있고, 관세 불확실성 감소와 더불어 저평가 해소를 기대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70,000원 -> 180,000원[상향]
보령(003850) : 일라이 릴리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 국내 공동 판매 파트너 유력 후보 거론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미국 일라이 릴리의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성분명 티르제파타이드)’가 다음 달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현재 국내 영업·판매를 맡을 가장 유력한 공동 판매 파트너로 동사가 꼽히고 있다고 전해짐. 동사는 2016~2024년 릴리의 GLP-1 당뇨병 치료제 ‘트루리시티(둘라그루타이드)’의 국내 공동 판매·유통을 맡았으며, 릴리의 항암제 ‘젬자(젬시타빈)’와 ‘알림타(페메트렉시드)’, 조현병 치료제 ‘자이프레사(올란자핀)’ 등 주요 품목의 국내 판권도 갖고 있다고 알려짐.
▷마운자로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보다 늦게 나왔지만, 더 강력한 체중 감량 효과를 입증해 이미 미국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했다며, 국내 유통을 맡으면 ‘황금 알을 낳는 거위’가 될 게 확실시되자 제약사마다 각자 장점을 내세워 러브콜을 하는 것으로 알려짐.
한화시스템(272210) : 국방과학연구소 시커 시제품 제작 사업의 우선협상자로 선정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국방과학연구소(ADD·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가 공고한 시커 시제품 제작 사업의 우선협상자로 이달 중순 선정된 것으로 전해짐. 현재 계약 협상 중인 것으로 전해졌으며, 최종 선정되면 동사는 차세대 전투기 KF-21용 장거리 공대공 유도무기에 부착될 제품을 만들고, 사업 규모는 55억여 원으로 협상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번 시제품은 기존 시커와 달리 능동주상배열(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타입으로 만들어질 예정이며, 미사일이 발사되면 목표물 근처까지는 항공기에 부착된 AESA 레이더가 안내하고 근처부터는 AESA 타입의 시커가 목표물을 조준 타격하는 형태로 이런 형태의 시커 개발은 국내 최초인 것으로 전해짐.
한미반도체(042700) : 하이브리드 본더 개발에 1,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천 서구 주안국가산업단지에 총 1,000억원을 투자해 연면적 4,415평(1만4,570㎡), 지상 2층 규모로 하이브리드 본더 팩토리를 건립 중이며, 2026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 이번 투자로 동사는 총 2만7,083평(89,530㎡) 규모의 생산 라인을 완비하게 될 예정.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차세대 고적층 HBM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이 필수"라며 "한발 앞선 투자로 국내외 메모리반도체 업체들의 차세대 HBM 개발에 필요한 핵심 장비를 적기에 공급해 시장 리더십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힘.
▷25년2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800.47억원(전년동기대비 +45.81%), 영업이익 863.08억원(전년동기대비 +55.68%).
현대모비스(012330) : 2분기 영업이익 역대 최대 및 1,1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1,071,621주 규모 소각 결정 등에 소폭 상승
▷25년2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93조원(전년동기대비 +8.74%), 영업이익 8,700.00억원(전년동기대비 +36.76%), 순이익 9,344.08억원(전년동기대비 -6.34%). 동사는 美 자동차 부품 관세에도 불구하고, 고수익 제품 공급 확대와 A/S 부품 사업 호조로 높은 수익을 달성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보통주 371,621주(1,1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5-07-28~2025-10-24) 공시. 보통주 1,071,621주 소각 결정(소각예정일:2025-11-03) 공시. 소각예정금액은 3,712.00억원 규모임.
▷보통주 1주당 1,500원(시가배당율 0.5%)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8-11) 공시.
KB금융(105560) : 실적, 주주환원 모두 시장 기대 충족 분석 등에 소폭 상승
▷NH투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25년 2분기 지배순이익은 1.7조원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했으며, NIM 하락(-5bp q-q)으로 이자이익은 정체되었지만 비이자이익에서 큰 폭으로 개선(1.4조원, +17% y-y)되었다고 분석. Credit cost는 2분기 55bp(+12bp y-y)로 상승했지만 사측은 하반기 30bp대로 하락 안정화 예상.
▷아울러 전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6월말 CET1 비율 13.74%(+4bp q-q), 자본정책 공식에 따라 하반기 자사주 8,500억원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 경우 ‘25년 이익 전망 기준 연간 총 주주환원율은 53%에 달할 예정. 또한, 향후 배당가능이익 확보를 위해 자회사 배당 확대와 동시에 감액배당도 시행 검토하며, 아직은 불확실하나 감액배당은 소액주주에게 비과세 혜택 여지가 생긴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설명. PBR이 0.8배 수준에 도달한 만큼, 향후에는 주주환원의 배당 비중 확대를 통한 배당소득 분리과세 수혜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밝힘.
▷전일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20조원(전년동기대비 +21.54%), 영업이익 2.13조원(전년동기대비 -7.37%), 순이익 1.74조원(전년동기대비 +2.14%). 6,6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5-07-24~2026-01-09, 하나증권(Hana Securities Co., Ltd.)) 및 보통주 5,724,197주 소각 결정, 보통주 1주당 920원(시가배당율 0.8%)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5-08-11) 공시.
SNT에너지(100840) :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및 하반기 수주 모멘텀 본격화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5 실적은 매출액 1,407억원(+22.1% qoq, +109.2% yoy), 영업이익 274억원 (+112.5% qoq, +445.1% yoy)으로 당사 추정치를 상회하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고 분석. 호실적의 이유는 UAE 헤일앤가샤 프로젝트 매출 인식 반영에 따라 당사 추정치를 상회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했고, 향후 인식될 중동 프로젝트도 고마진으로 동사의 높은 경쟁력을 재확인했다고 설명.
▷한편, 2Q25 수주잔고는 8,000억원 기록했으며, 1H25에는 신규 수주의 일시적 둔화에 기인하여 수주잔고가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하였으나, 2H25부터 본격화되는 신규 수주모멘텀에 따라 연간 수주잔고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1,000원 -> 60,000원[상향]
LX세미콘/LX하우시스 : 2분기 실적 부진 등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LX세미콘,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786.15억원(전년동기대비 -21.91%), 영업이익 102.29억원(전년동기대비 -81.75%), 순이익 83.19억원(전년동기대비 -81.22%).
▷아울러 LX하우시스, 25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194.79억원(전년동기대비 -12.99%), 영업이익 127.98억원(전년동기대비 -66.15%), 순손실 0.8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이와 관련, LS증권은 LX하우시스에 대해 2분기 실적 부진은 건축자재 부문에서 입주의 본격적 감소에 따른 업황 둔화로 탑라인 성장성 정체, 주택매매거래량 반등에도 불구하고 내수 침체에 따른 인테리어 수요 둔화, 이에 따른 B2C 이익 기여 감소로 BEP 수준의 이익이 나타난 것에 크게 기인한다고 분석. 아울러 자동차소재/산업용 필름 부문의 안정적인 실적 기조가 이어지고 점은 긍정적이나, 메인 사업부인 건축자재 부문의 감익을 커버하기는 역부족인 상황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 -> HOLD[하향], 목표주가 : 36,000원[유지]
[종목]: LX세미콘, LX하우시스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아모센스(357580) : 총 150억원 규모 CB 취득·소각 결정 등에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50.00억원 규모 제2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후 만기전 사채 취득 및 100.00억원 규모 제3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후 만기전 사채 취득 공시. 취득 사유는 사채권자와 협의에 따른 만기전 취득이며, 취득 후 소각 예정임.
▷한편, 동사의 데이터센터용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 분야 미국 파트너사인 블룸에너지가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22.95% 급등한 점도 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음.
뉴로핏(380550)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4,000원을 상회한 28,6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중임.
▷한편, 동사는 뇌질환 인공지능(AI) 솔루션 전문업체로, 주요 제품으로 퇴행성 뇌질환(MRI 기반) 진단 지원 소프트웨어 Neurophet AQUA, PET 영상 정량 분석 소프트웨어 Neurophet SCALE PET, 알츠하이머병 종합 이미징 바이오마커 솔루션 Neurophet AQUA AD 등이 있음.
나노실리칸첨단소재(286750) : 엠젠솔루션과 AI 재난안전 시스템 및 나노기술 관련 MOU 체결 소식에 강세
▷엠젠솔루션은 언론을 통해 동사와 인공지능(AI) 재난안전 시스템 및 나노 기술 관련 전략적 제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공동 연구개발, 신사업 발굴, 공동영업 및 미래형 프로젝트 구축 사업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미래형 화재진압과 첨단 보안,안전 솔루션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방침임.
▷아울러 양사는 공동 TF(Task Force)를 구성하고, 정기적인 협의체 운영을 통해 실질적 사업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며, 또 기술 및 마케팅 분야에서 상호 적극적으로 협조할 예정.
대화제약(067080) : ‘리포락셀’, 中 보험급여 임박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경구용 파클리탁셀 위암치료제 리포락셀액이 이달 중 중국 보건당국에 보험약가 등재 신청서를 제출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전해짐. 리포락셀 중화권 독점판권을 획득한 하훼이 바이오파마는 지난달 중국 식약당국과 리포락셀 보험등재를 위한 1차 협의 절차를 마치고, 내주 중 약가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알려짐. 7월 중 보험약가 신청서가 접수되면 3달 가량의 심사를 거쳐 이르면 10월 중 약가를 획득하고, 내년 1월부터 40만 원대의 급여가로 공식 출시될 전망이라고 전해짐.
▷올해 3월경부터 상하이를 중심으로 론칭된 리포락셀은 현재 비급여(30mg 기준 94만원)로 발매된 상황인데, 관련 제제가 모두 주사제 위주로 편재돼 있고, 복약 편의성을 크게 개선한 점 등을 감안했을 때 이변이 없는 한 등재가 유력시 된다고 전해짐. 또한, 연말까지 50억~70억 원 규모의 매출이 예상될 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급여 전환 이후 약가 접근성까지 확보되면 매출 규모는 급증할 것으로 전망.
바이오포트(188040) : 하반기 실적 개선 가속화 전망 등에 상승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는 신제품 출시(칠리맛 후라이드 오징어, 새우칩, 잡채 등), 노동 감사 종료 후 커피빈 제품의 미국 납품 시작, 신규 채널 확대에 힘입어 실적 개선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 주요 신규 채널로는 중국 편의점(로슨/세븐일레븐)향 파우치 음료, 허마션솅 등 마트향 스낵/음료, 미국 트레이더조스 내 액상차/간편식 납품 등이라고 언급.
▷또한, 연내 필리핀 S&R을 통한 화장품 유통을 시작으로 카테고리 확장도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밝힘. 올해 실적 가이던스는 원가 상승 및 납품 지연 등을 반영해 매출액 850~900억원, 영업이익률 7%로 소폭 하향(상장 당시 매출액 950억원, 영업이익률 10%)했다며, 상반기 성장 둔화는 아쉬우나, 높은 수출 비중과 지속적인 유통망 확장 추이를 고려할 때, 중장기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이라고 밝힘.
한국피아이엠(448900) : 이스라엘 총기 제조사, 동사 베트남 공장 현장실사 진행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이스라엘 총기 제조 기업이 최근 자사의 베트남 공장을 방문해 기술력 및 생산역량에 대한 현장실사를 진행했다고 밝힘. 이번 실사는 이스라엘 총기 제조사가 동사의 인도네시아 국영 방산업체 핀다드향 공급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선제적으로 요청해 진행됐으며, 해당 기업은 베트남 정부향 총기 공급 효율성과 규모를 극대화하고자 MIM 기술로 생산 기술 전환을 추진 중이라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해외 생산거점을 통한 양산 대응력뿐 아니라 글로벌 방산업체향 공급 레퍼런스를 보유 중인 점을 높게 평가받아 이스라엘 대표 총기 제조기업으로부터 공장 실사를 진행했다"며, "이번 실사는 기존 베트남 파트너사를 통해 장기간 준비한 것으로, 실사까지 마무리됐기 때문에 조만간 성과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 이어 "글로벌 민수 총기 업체들이 MIM으로 총기 소재 제조 방식 전환에 나서고 있기 때문에 향후 방산 분야 MIM 제품 공급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글로벌 총기 제조사와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이어나가 수출 중심으로 방산 분야 실적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힘.
이녹스(088390) : 13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속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를 위해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등 대상으로 13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2,550원, 전환청구일:2026-08-01 ~ 2030-07-01) 공시.
세경하이테크(148150) :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공시번복(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철회)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결정시한:2025-08-19) 공시.
@인포스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