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리포트
2019년을 대비한 자산관리의 포석
- 작성자 :
- 한국투자증권
- 작성일 :
- 12-07 14:24
- 조회수 :
- 501
11월 금융시장 불안 지속
11월을 돌이켜 보면 10월 글로벌 주식시장 급락 이후 여진이 이어졌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통상마찰이 이어지며 양국 보복관세 현실화 우려,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중앙은행 스탠스에 대한 경계감, 경제 전망치 하향 등이 시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시장 변동성 확대로 금융자산 비중 확대보다 현금 확보와 같은 유동성이 증가했습니다. 유가 레벨 다운과 상품가격 약세 지속 역시 시장에 부담을 주었습니다.
12월 2019년 자산관리를 준비해야 할 시점
작년 한국인의 자산관리를 처음 시작할 때 글로벌 경기는 회복에서 확장국면으로 진입하고 있었습니다. 위험자산의 확대를 기반으로 한 자산관리의 성과는 긍정적이었습니다. 내년은 변화의 시점이며 변화에 대한 수용을 하고 자산관리를 해야 합니다. 글로벌 경기가 성장은 하겠으나 속도는 줄어드는 국면에 진입합니다. 성장 속도가 줄어들 때 금융시장은 대외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변동성과 리스크를 고려해 기대수익률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산관리 관점에서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 및 국가에 대한 조정을 통해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산배분 애널리스트는 미국 달러 변화에 민감한 신흥 시장에 대한 주의를 언급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국내 경기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으며, 주식전략 애널리스트는 각국 시장에 대한 톤을 낮췄습니다. 내년 경제여건과 금융환경을 조망해보면 성장 속도와 금리 레벨이 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에 내년 자산관리 준비를 위해 투자자 여러분께 자산 구성의 변화를 제안드립니다.
결론적으로 자산관리 변화의 시점
금융시장의 가시성이 낮아진 만큼 자산관리에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경기를 포함한 금융환경의 변화가 야기한 현 상황을 수용하고 다음 전략을 짤 때입니다. 내년 상반기까지 투자기간을 바라봤을 때 자산 비중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험자산은 선진국과 신흥국을 분리해서 투자할 것을 제안 드립니다. 안전자산의 경우 변동성 구간을 활용하기 위해 현금 보유도 권해 드립니다. 자산별 전망에 대해서는 각 애널리스트 의견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내년부터는 가독성을 높이고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자료를 만들고자 형식과 글의 스타일이 바뀔 예정입니다. 2019년 기해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