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 리포트
미국 실업률 6.5%,출구전략 시행조건은 언제 충족되나?
- 작성자 :
- HMC투자증권
- 작성일 :
- 05-29 08:33
- 조회수 :
- 521
미국 출구전략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 아직 미국 경제회복이 본격적인 궤
도에 오르지 못했으며, 특히 고용시장의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구전략의
조기 시행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 주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 연준 멤버들 가운데에도 조
기 출구전략을 주장하는 매파가 적지 않아 FOMC회의 시점, 그리고 회의록이 공개되는 시점 등
에는 출구전략에 대한 우려가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미국 연준은 나름 출구전략의 조건을 제시한바 있다. 소위 에반스 룰로 불리는 실업률 6.5%,
물가상승률 2.5%가 그것이다. 현재 물가상황(CPI yoy 1.1%, core CPI yoy 1.7%)과 실업률
(7.5%) 동향은 당분간 출구전략이 논의될 수준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물가의 경우는
원자재 가격의 안정과 함께 생산자 물가가 0%에 근접해 가는 등, 당분간 안정상태를 이어갈 가능
성이 높아 보이며, 실업률의 경우도 현재의 고용시장 개선 속도를 감안하면 하반기까지 6.5%에
근접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에 오르지 못했으며, 특히 고용시장의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구전략의
조기 시행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 주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 연준 멤버들 가운데에도 조
기 출구전략을 주장하는 매파가 적지 않아 FOMC회의 시점, 그리고 회의록이 공개되는 시점 등
에는 출구전략에 대한 우려가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미국 연준은 나름 출구전략의 조건을 제시한바 있다. 소위 에반스 룰로 불리는 실업률 6.5%,
물가상승률 2.5%가 그것이다. 현재 물가상황(CPI yoy 1.1%, core CPI yoy 1.7%)과 실업률
(7.5%) 동향은 당분간 출구전략이 논의될 수준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물가의 경우는
원자재 가격의 안정과 함께 생산자 물가가 0%에 근접해 가는 등, 당분간 안정상태를 이어갈 가능
성이 높아 보이며, 실업률의 경우도 현재의 고용시장 개선 속도를 감안하면 하반기까지 6.5%에
근접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