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분석 리포트
바이오-2H17주식시장 이슈 점검
- 작성자 :
- 신한금융투자
- 작성일 :
- 05-24 16:02
- 조회수 :
- 395
시니어 시프트 시대의 성장 산업
비즈니스 타깃이 고령 세대로 옮겨가는 시니어 시프트 시대가 도래했다. 일본의 경우 단카이 세대(1947~49년 출생)가 고령 인구에 진입한 이후 소비를 주도했다. 국내도 2020년부터 일본과 유사한 흐름이 기대된다. 고령 시대 대표적 유망 산업인 의료/헬스케어와 음식료 산업을 중심으로 고령친화산업의 고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다.
헬스케어 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융합
4차 산업과 융합한 의료/헬스케어 산업은 일반적 치료에서 질병 예방과 개인 맞춤형 치료로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왔다. 웨어러블, 스마트기기/빅데이터와 AI의 융합/3D 프린팅과 로봇 산업의 성장이 기대된다. 국내 관련 산업은 당국의 규제 완화와 고령 시대 진입, 기업의 노력이 맞물려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시작할 전망이다.
고령층 위한 신정부 정책 추진 방향
치매지원센터 확대와 치매 전문 병원 설립을 골자로 하는 신정부 정책에 주목한다. 치매 의료비 90% 건강보험 적용으로 향후 치매 검진과 치매 치료제 시장 성장이 기대된다.
고령층, 헬스케어/뷰티/건강기능식품 시장 성장 견인
고령층은 고함량 비타민제를 중심으로 일반의약품 시장 성장을 견인 중이다. 또한 액티브 시니어의 등장으로 안티에이징 화장품 시장 확대가 가속화되는 추세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개별인정형 제품을 중심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2026년까지 성장이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