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업종분석 리포트

화장품 - 중국의 변화, 제대로 바라보기

작성자 :
메리츠종금증권
작성일 :
04-20 09:42
조회수 :
567

화장품 업체들의 면세채널의 성장, 예상보다 높은 수준 지속될 전망

 

중국인 입국자 수 둔화 대비 화장품 면세 판매의 성장이 높은 이유는 중국 관광객들의 소비에서 설화수, 후 등 고가격대 제품 비중 확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으로 추산된다. 중장기적으로 국내 면세점 성장률은 둔화될 수 있겠지만, 중국의 자국 면세 확대 정책으로 해외 면세 비중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결론적으로 화장품의 면세 판매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다.

 

 

중국 정부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중국 소비 시장의 실적인 성장이다

 

작년 중국 정부가 해외 역직구를 적극 장려하였으나, 실질적으로 고품질 상품보다 오히려 역직구 사이트를 통해 저가격, 저품질의 해외 상품들이 수입되면서 최근 중국 정부는 다시 해외 역직구의 세제 변화를 통해 자국 소비 시장의 가격을 정상화시키고 짝퉁 및 저품질 상품 유통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탄탄한 브랜드와 제품력을 바탕으로 중국 내 안정적인 유통망과 조직 시스템을 구축한 기업들에게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이슈다.

 

최근 화장품 수출 판매액 둔화는 작년 높은 기저에 따른 것이며, 중국 현지 생산비중이 높은 대형 화장품 업체들보다는 상품 수출 형태가 많은 중견 화장품 업체들과의 실적과 연관성이 높다. 하반기 중견 화장품 업체들의 안정적인 중국 벤더 전환 및 위생허가를 통한 직접 진출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하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결국 중국 소비자의 실질적인 수요 중심이 아닌 공급 중심의 중국 수출 데이터와 한국 화장품 기업 실적과의 상관관계는 점차 낮아질 것이다.

 

 

중국 시장, 결국 차별화된 브랜드와 프리미엄화가 관건

 

글로벌 화장품 기업인 에스테로더의 주가가 52주 신고가 경신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에스테로더는 글로벌 화장품 업체 중 가장 프레스티지 비중이 높고 중국 내 점유율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한국의 아모레퍼시픽 또한 프레시트지 강점을 바탕으로 점유율이 가장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 따라서 업종 Top-pick으로 유지한다. 한편 쿠쿠전자는 중국 내 프리미엄 밥솥 시장의 확대의 수혜가 예상되며, 렌탈 서비스 또한 신규 카테고리 및 해외 신시장 진출로 고성장이 지속될 전망이다.

 

 

 

 

메리츠종금증권.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