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업종분석 리포트

건설 - 디벨로퍼 사용설명서

작성자 :
하이투자증권
작성일 :
04-06 09:49
조회수 :
702

■ 무엇이 일본 디벨로퍼를 만들었는가

 

일본의 경우 한국과 달리 디벨로퍼와 건설회사의 기능과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디벨로퍼는 시공을 제외한 토지취득, 자금조달, 사업기획, 매각 및 보유 등 부동산개발의 전체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차별적 성장을 이루어 왔다.

 

일본의 디벨로퍼는 ①우량한 토지의 개발을 통해 운영수익을 추구하는 Asset-Heavy 형태의 디벨로퍼로 출발하여 ②리츠(REITs)를 비롯한 다양한 금융구조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Value-Chain을 확장하며 본격적으로 성장하였다. ③또한 등가교환을 통한 재개발사업처럼 자본투하규모는 축소하면서 외형성장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Asset-Light 전략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④무엇보다 도시재생으로 대표되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세계적인 부동산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는 판단이다.

 

 

■ 한국의 디벨로퍼가 뛴다

 

건설사 중심의 부동산개발환경 정착으로 본격적인 디벨로퍼의 성장이 더딜 수 밖에 없었던 한국에서도 과거보다 전문적이고 자금력이 있는 디벨로퍼의 등장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①우량한 토지의 개발을 통해 운영수익을 추구하는 Asset-Heavy 형태의 디벨로퍼가 등장하고 있으며 ②정부가 리츠를 부동산 선도산업으로 육성키로 함에 따라 리츠 제대롤 활용한 대형 디벨로퍼의 등장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③아울러 디벨로퍼는 아니지만 부동산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금력과 시행능력을 겸비한 부동산 신탁사의 성장도 지속되고 있다.

 

다양한 정부지원책으로 한국 부동산개발업이 선진화의 길목에 접어드는 시점에서 업종의 key Player가 될 서부 T&D, 현대산업, 한국토지신탁을 매수 추천한다.

 

 

 

 

하이투자증권.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