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업종분석 리포트

철강 - 철강재 가격의 진(眞) 방향성이 나타날 것

작성자 :
유진투자증권
작성일 :
02-22 09:53
조회수 :
549

주요 이슈 1: 中 대형 철강사들 3월 기준가격 인상

■ 중국 춘절 연휴 직후인 지난주는 시장 참여자들의 정상 복귀 이전으로 거래량이 제한적이었음. 따라서 이번주가

  시장의 진 방향성이 드러나는 시점이 될 것.

■ 연휴 직후 강세를 보인 철강석 가격과 안산강철 및 우한강철의 3월 기준가격 인상(HRC 100위안)을 반영하여 철강재

  가격 역시 주 초반에는 지지될 것으로 판단함.

 

주요 이슈 2: 中 사강그룹, 2016년 22% 감산 계획

■ 사강 그룹은 철강 생산량 기준 글로벌 6위, 중국 내 3위 철강기업집단으로 2014년 3.63천만톤을 생산함. 2015년은

  3.42천만톤으로 전년대비 3.2% 감산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됨.

■ 사강그룹이 발표한 발표한 2016년 생산계획은 2.64천만톤으로 전년대비 22% 가량 축소된 수준임. 즉, 감산폭이

  전년대비 대폭 확대되는 양상. 감산을 통해 개선에 중점을 두겠다는 뚜렷한 전략을 시사함.

■ 2015년 중국 10대 철강그룹 조강생산량은 전체 조강생산 감소폭을 상회하는 -4.0%yoy(1.14천만톤)를 기록하여

  감산을 주도한 모습. 10대 철강그룹의 조강생산량은 중국 전체의 34.3%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 12월 중순 이후 반등한 철강재 가격 모멘텀의 지속 가능성은 철강사들의 가격 방어 의지에 달려 있는 만큼

  10대 철강사뿐 아니라 중소형사들의 감산 의지가 유지될 수 있는지가 관건.

 

주요 이슈 3: Anglo American, 철광석 시장에서 Exit 계획

■ Anglo American이 2015년 5.6십억불 적자를 기록한 후 철광석 광산들(Kumba Iron Ore, Minas-Rio)의 지분

  매각을 결정함. 이는 철광석 시장의 공급 이슈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판단에 기반함.

■ 철광석 시장은 향후 3년간 2.66억톤의 신규 생산이 유입될 전망이고 전세계 조강 생산량 감소로 수요는 줄고 있음.

■ 따라서 최근 톤당 58불을 상회했지만 여전히 철광석 가격은 다운사이드 리스크가 있는 상황으로 판단함.

  치킨게임을 진행하고 있는 메이저 3사의 수익성 지표 악화여부가 관건임.

 

 

 

 

유진투자증권.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