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분석 리포트
반도체 - 유가와 반도체 주가
- 작성자 :
- 하이투자증권
- 작성일 :
- 02-17 10:10
- 조회수 :
- 725
■ 유가와 반도체 업황/주가와의 비례 관계
지난 20년 간 유가와 반도체 업황/주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기존의 통념(유가의 상승이 가처분 소득의 감소와 이에 의한 IT, 반도체 수요의 부진을 불러온다)과는 달리 양 요소 간 강력한 비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1, 2> 참조). 한국 IT, 반도체 수출액은 유가 동향을 약간의 차이로 선행해 왔는데 이는 내구재 소비의 강세가 유가의 상승을 불러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최근 반도체 주가가 유가의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1) 유가의 상승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이미 전세계 IT 수요가 개선되고 있음을 암시하거나 또는 2) 유가 급락에 따라 최근 크게 침체된 이머징 국가들의 경기 및 소비가 향후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 이 두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 단 반도체 주가의 추세 상승을 위해서는 수요 개선에 따른 유가 급등이 필요
다만 미국, 유럽, 일본, 중화권 (중국, 홍콩)을 제외한 이머징 지역 향 한국 IT, 반도체 수출의 비중은 현재 모두 20%대 초반 수준에 불과하다(<그림5, 6> 참조). 즉, 공급 조절에 의한 유가의 상승이 전세계 경기 및 IT 수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도가 아쉽게도 제한적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반도체 주가의 추세적 상승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유가의 공급 제한에만 의존하지 않고 IT 수요의 개선을 동반하여 대폭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이 나타나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