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업종분석 리포트

에너지 - 유가 상승 반전할 것인가?

작성자 :
NH투자증권
작성일 :
02-04 09:56
조회수 :
454

Ⅰ. 유가 전망 - Recovery?

- 저유가에도 북미 셰일업체들의 첨단시추기술, 비용절감 등을 통해 탄력적으로 대응. 산유국들의 공급경쟁으로 저유가 국면 지속

- 유가가 배럴당 20달러대로 급락하면서 산유국들의 감산 공조 의사를 내비쳤으나 현재로서 가능성 낮음. 산유국들 감산 합의 불발에 따른 실망감, 봄철 비수기, 중국 증시 불안 등에 의해 단기적으로 유가 하락위험이 남아있으나 20달러대 바닥 인식에 따른 저가 매수, 비경제적 유전의 공급 감소 위험, 미국 셰일오일의 생산 둔화 등으로 유가는 하방경직성을 띨 전망

- 3~4월 미국 셰일체들의 리파이낸싱 어려움 및 디폴트 가속화, 산유국들의 재정난 심화, OPEC 정책 불확실성, 여름성 드라이빙 시즌 수요 기대 등에 의해 유가는 1분기 저점 형성 후 2분기 상승 예상

- 유전손익분기점 이하의 원유생산둔화에 의한 리밸런싱이 이뤄지겠으나 셰일업체들의 탄력적 공급,산유국들의 공급경쟁 등에 의해 유가는 40~50달러대에서 제한적 상승 예상. WTI 평균가 2016년 배럴당 41달러, 2017년 48달러 전망

 

Ⅱ.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 Renewable?

- 20세기에는 에너지 공급부족 해결이 중요했으나 21세기는 에너지 소비 선택 이슈로 변화. 융합, 혁신기술로 공유경제사회, 기후변화에 대한 저탄소사회, 에너지효율을 강조하는 미래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의 구조적 변화 예상

- 천연가스와 재생에너지는 저유가로 원유와 더욱 치열한 경쟁 예상. 다만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저탄소 정책, 기술개발에 의한 비용 절감 등으로 태양광,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

 

Ⅲ. 에너지 투자전략 - Return?

- 원유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제시. 원유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가격하락위험이 남아있으나 유가 20달러대 바닥 형성에 대한 에너지투자의 저가매수기회로 판단

- 높은 유가 변동성과 롤오버 비용 등을 감안해 원유 ETF는 단기트레이딩으로만 활용, 중장기적 관점에서 에너지대표기업ETF나 원유DLS 등 신규 매수 추천

- 에너지섹터 투자 우선순위: 다운스트림 > 미드스트림 > E&P

 

 

 

 

NH투자증권.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