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분석 리포트
조선 - 신조선가 후퇴 가능성에 대한 소고
- 작성자 :
- 삼성증권
- 작성일 :
- 06-30 10:37
- 조회수 :
- 507
선가 지수의 구조적인 하락반전 가능성은?
선가하락 우려를 야기한 요인은 두 가지. 중고선가 하락과 후판가격 약세. 먼저 중고선가는 최근 두 달간 6%하락. 중고선가는 신조선가의 선행지표로 알려져 있음. 중고선가는 해운사가 건조기간을 기다리지 않고, 배를 구매하기 위해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을 의미. 높은 중고선가는 해운시장에서의 선박 수요가 그만큼 강하다는 것을 의미. 해운시장의 호조는 궁극적으로 선주들의 선박구매 의사를 자극. 이를 감안하면 중고선가는 해운운임지수와 함께 신조선가의 선행지표라 할 수 있음. 그러나 최근의 신조선가 상승은 선박의 수요요인(해운시황) 보다는 공급 부문에서의 구조조정이 야기한 면이 더 컸다는 점에 주목. 또한 현재의 신조선가 지수는 해외 2nd tier 조선사들에게는 여전히 손익분기점을 간신히 넘기는 수준으로 추정. 재무상태가 악화된 중소조선소들은 이미 생존을 위한 적자 수주를 감내할 만한 능력을 상실. 구조조정으로 전세계 선박 건조량이 감소하는 국면에서는, 조선사들이 다시 선가 경쟁을 벌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판단. 두 번째로 후판가격 하락은 조선사들의 단기 수익성에는 긍정적이나, 장기적으로 선주들에게 선가를 올릴 명분이 약해졌음을 의미. 그러나 이 역시 1)최근의 원화 강세가 한국 조선사들의 선가 인상요구 명분이 되어 줄 수 있고, 2)선주들이 연비가 좋은 한국산 선박 선호를 감안 시, 구조적인 선가 인하 요인이 되지는 않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