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분석 리포트
반도체 - DRAM 고정가 상승세 제동 vs. 현물가 전고점 돌파
- 작성자 :
- IBK투자증권
- 작성일 :
- 06-03 08:44
- 조회수 :
- 561
지난해 11월 이후 지속돼왔던 DRAM 고정거래가격의 상승세가 멈춘 이유는 비수기로 인한
PC 부진과 이미 업체들이 재고축적을 완료했다는 점, 그리고 6월 하스웰 출시를 앞두고
PC OEM들이 재고조정을 위해 기존 제품 출하량을 조절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대부분
OEM들은 5~7주 수준의 부품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당분간 DRAM 고정가격은 현 수준에서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
다. 일단 최근의 DRAM을 둘러싼 여러 긍정적인 변수들에 일차 제동이 걸렸다는 점에서
분명히 심리적으로는 부담스러운 소식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가운데 현물가격의 상승세는 지난 2주 동안 계속 진행 중이라는 점에 주목해
야 한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경험적으로 볼 때, 정작 DRAM 업체들의 주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고정가격이나 실적전망보다 오히려 현물가격의 변동이기 때문이다. 특히 DDR3
2Gb 제품의 경우 1.81달러로 지난 3월과 4월 중 기록했던 고점을 돌파했다는 점에서 최근
의 상승 흐름을 긍정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PC 부진과 이미 업체들이 재고축적을 완료했다는 점, 그리고 6월 하스웰 출시를 앞두고
PC OEM들이 재고조정을 위해 기존 제품 출하량을 조절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대부분
OEM들은 5~7주 수준의 부품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당분간 DRAM 고정가격은 현 수준에서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
다. 일단 최근의 DRAM을 둘러싼 여러 긍정적인 변수들에 일차 제동이 걸렸다는 점에서
분명히 심리적으로는 부담스러운 소식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가운데 현물가격의 상승세는 지난 2주 동안 계속 진행 중이라는 점에 주목해
야 한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경험적으로 볼 때, 정작 DRAM 업체들의 주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고정가격이나 실적전망보다 오히려 현물가격의 변동이기 때문이다. 특히 DDR3
2Gb 제품의 경우 1.81달러로 지난 3월과 4월 중 기록했던 고점을 돌파했다는 점에서 최근
의 상승 흐름을 긍정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