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Quick Menu 원격지원 연장결제 카드결제 방송접속오류 온라인상담 즐겨찾기 Quick Menu

업종분석 리포트

[건설] 건설/부동산 Weekly: 하락 양극화는 하급지 하락부터

작성자 :
교보증권
작성일 :
04-27 10:59
조회수 :
431
애널리스트 백광제,이수림

건설/부동산 Weekly News


- 5월 아파트 입주물량 전월 대비 79% 증가한 26,782가구 전망. 상반기 예상된 월별 물량 중 가장 많은 양. 수도권과 지방 모두에서 증가했으며 시도별로는 인천 입주물량이 가장 많으며 경기, 부산, 대구 등 순. (조선비즈)
- 세종시 일대 아파트 가격 38주 연속 하락. 장기간 하락세의 원인으로는 공급 확대와 지지난해의 가격 급등에 따른 매수세 위축이 꼽힘. 기업 이전 등의 호재 일어나지 않는 한 당분간 하락세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 (서울경제)
- 전국 아파트 매매·전세 시장 양극화가 이달 역대 최대치를 기록. 이달 전국 아파트 5분위 배율은 매매 10.13, 전세 7.96으로 전국 가격 상위 20%의 아파트는 하위 20% 대비 매매가는 10배, 전셋값은 8배 높은 상황. (매일경제)
- 尹정부 인수위, 분당·일산 집값 불안조짐에 1기 신도시 재건축 정책 "중장기 과제로 검토할 것", 속도조절 나서. (매일경제)
- 尹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신중론을 견지하는 가운데, 사업유형별로 공급 가능 물량 파악하고 있으나 부지에 대해선 여전히 논의 중. 주택 공급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지에 대한 내용이 빠질 경우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 피할 수 없을 것. (헤럴드)
- 서울시, 압구정동·여의도·목동·성수동 등 4곳에 대해 '토지거래허가구역' 1년 더 연장. 토지거래허가구역의 일정 규모 이상의 주택 등 거래 시 구청장의 허가 필요. 최근 재건축·재개발 지역 집값 움직임에 안정을 위해서인 것으로 해석. (머니S)
- 국토교통부가 아파트 건설비용 등의 기준이 되는 기본형건축비의 인상이 규정상 6월 이후 검토 가능하다는 입장. (경향신문)
- 시멘트 이어 레미콘값도 상승 전망. 경인지역 레미콘사와 건설업계 단가 협상중. 앞서 레미콘사들은 2월 기준으로 시멘트 가격 15∼17% 인상, 골재 가격도 15% 이상 급등함에 따라 레미콘 단가를 15∼20%가량 올려줄 것을 요구. (매일경제)











[건설] 교보증권 Daily종합.pdf